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Effect of Community Health Determinants on the Trajectory of Suicide Mortality: Using Group-based Trajectory Model : 지역사회 건강결정 요인이 자살률 궤적에 미치는 영향: 집단중심추세모형의 적용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dvisor | 조성일 | - |
dc.contributor.author | 장라온 | - |
dc.date.accessioned | 2024-09-24T18:11:08Z | - |
dc.date.available | 2024-09-24T18:11:08Z | - |
dc.date.issued | 2024 | - |
dc.identifier.other | 000000183247 | - |
dc.identifier.uri | https://hdl.handle.net/10371/209802 | - |
dc.identifier.uri |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83247 | ko_KR |
dc.description |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보건대학원 보건학과, 2024. 2. 조성일. | - |
dc.description.abstract | Objectives: Despite a decline in the suicide rate in South Korea since 2011, it continues to rank among the highest globally. Notably, there is a lack of systematic research on the trajectory of suicide rates. Consequently,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trends in suicide rates across 229 cities, counties, and districts throughout the country over the past two decades. The study seeks to identify risk groups and to gain a more detailed understanding of the trends in suicide rates.
Methods: To analyze the trajectory of changes in suicide rates, a group-based trajectory model was applied using age-standardized suicide rates as the dependent variable. This approach aimed to identify clusters of regions with similar patterns of suicide rate changes and to identify their characteristics. Next, to examine the community health determinants that influenced the decreasing trend in suicide rates since 2011,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of 14 variables with suicide rate were performed to examine the factors that influenced the suicide rate trajectory groups. Results: Over the past two decades, South Korea exhibited three distinct trajectories in suicide rates. Approximately 49.7% demonstrated a trajectory with a slight decrease, 20.7% maintained a trajectory with minimal change, and 29.6% displayed a trajectory with a significant decrease in suicide rates. The disparities among these trajectories gradually diminished since 2003, indicating a reduction in regional disparities in suicide rate trajectories.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revealed that males and older age groups had a higher likelihood of belonging to trajectories with elevated suicide rates. Higher rates of walking practice were associated with lower suicide rates, along with regions featuring increased numbers of family physicians, psychiatric hospitals, and care facilities. Furthermore, a greater number of cultural facilities, sports facilities, social welfare facilities, and parks were observe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suicide rates. Conversely, factors such as current smoking, obesity, and divorce were found to have a negative impact in regions with higher suicide rate trajectories. Conclusions: South Korea's regional suicide rate trajectorie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main groups. The narrowing gap between these trajectories implies an overall reduction in suicide rates and disparities. Considering the various community health determinants identified in this study, proactive interventions at the community level are expecte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reducing suicide rates. These interventions include anti-smoking campaigns, healthcare initiatives such as promoting walking to reduce obesity rates, strengthening the healthcare system with the inclusion of family physicians and psychiatric hospitals, and expanding community facilities such as cultural and sports facilities and parks. Keywords: Suicide, Trajectory, Trajectory Analysis, Group-based Trajectory Model, Ecological study | - |
dc.description.abstract | 연구 목적: 한국의 자살률은 2011년 이후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지만, 여전히 세계적으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자살률의 변화 궤적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난 20년간 전국 229개 시·군·구 단위의 지역 자살률 궤적을 분석함으로써, 고위험 지역을 식별하고 자살률의 변화 패턴을 보다 세밀하게 이해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자살률의 변화 궤적을 분석하기 위해 통계청 사망원인통계의 연령표준화 자살 사망률 데이터를 종속변수로 사용하여 집단심추세모형을 적용하였다. 이를 통해 자살률의 변화 패턴이 유사한 지역을 식별하고 그 특징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다음으로 2011년 이후 자살률 감소 추세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사회 건강결정 요인을 살펴보기 위해 자살률과 지역을 단위로 하는 14개 변수를 다항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통해 자살률 궤적 그룹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지난 20년 동안 229개 지역에서 세 가지의 뚜렷한 자살률 궤적을 확인하였다. 전체 지역의 약 49.7%가 소폭 감소하는 궤적에, 20.7%는 변화가 거의 없이 유지되는 궤적, 그리고 29.6%는 자살률이 크게 감소하는 궤적으로 분류되었다. 또한 세 궤적의 차이는 2003년 대비 점진적으로 줄어들어 지역의 자살률 궤적 격차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여성보다는 남성이, 연령대가 높을수록 자살률이 높은 궤적에 속할 확률이 높게 나타났다. 자살률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지역사회 건강 결정 요인으로는 걷기 실천율이 높은 지역, 가정의학과 및 정신과 의원, 요양 시설이 많은 지역은 낮은 자살률 궤적에 들어갈 확률이 높게 나타났다. 문화 시설, 스포츠 시설, 사회복지 시설, 공원 등이 많은 지역일 수록 자살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현재 흡연, 비만, 이혼은 자살률이 높은 궤적을 보이는 지역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지난 20년 동안 한국 지역의 자살률 궤적은 크게 3가지로 분류되었으며, 시간이 지날수록 자살률 궤적과 궤적 간 격차가 줄어드는 것을 통해 한국의 자살률과 그 격차가 감소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 확인된 여러 지역사회 건강 결정 요인을 바탕으로, 지역사회 차원에서 자살률 감소를 위해 금연 캠페인, 걷기 등 건강관리 프로그램의 활성화, 가정의학과 정신과 의원 등 보건의료 체계의 강화, 그리고 문화 및 스포츠 시설, 공원 등 지역사회 인프라의 확충을 통한 적극적인 지역보건 정책이 자살률을 감소시키고, 지역간 자살률 격차를 줄이는데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주요어: 자살, 자살률 궤적, 자살률 궤적 관련 요인, 궤적분석, 집단중심추세모형, 생태학적 연구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Chapter 1. Introduction 9
1.1. Background 9 1.2. Objectives 14 Chapter 2. Methods 15 2.1. Data source and subjects 15 2.1.1. Dependent Variables 16 2.1.2. Covariates 17 2.1.3. Explanatory Variables 17 2.2. Statistical Analysis 19 Chapter 3. Results 23 3.1. Descriptive Characteristics of Dependent Variables 23 3.2. Regional Suicide Rates Trajectories 24 3.2.1. Suicide Rates Trajectories(2003-2022) 24 3.2.2. Suicide Rates Trajectories(2011-2022) 35 3.3.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46 3.3.1 Descriptive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Health Determinants 46 3.3.2 Community Health Determinants of the Suicide Trajectory Groups 48 3.3.3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for Suicide Trajectory Groups 49 Chapter 4. Discussion 53 Chapter 5. Conclusion 57 Bibliography 58 Abstract in Korean 94 | - |
dc.format.extent | 73 | - |
dc.language.iso | eng | - |
dc.publisher | 서울대학교 대학원 | - |
dc.subject | Suicide | - |
dc.subject | Trajectory | - |
dc.subject | Trajectory Analysis | - |
dc.subject | Group-based Trajectory Model | - |
dc.subject | Ecological study | - |
dc.subject.ddc | 614 | - |
dc.title | Effect of Community Health Determinants on the Trajectory of Suicide Mortality: Using Group-based Trajectory Model | - |
dc.title.alternative | 지역사회 건강결정 요인이 자살률 궤적에 미치는 영향: 집단중심추세모형의 적용 | - |
dc.type | Thesis | - |
dc.type | Dissertation | - |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 | Jang Raon | - |
dc.contributor.department | 보건대학원 보건학과 | - |
dc.description.degree | 석사 | - |
dc.date.awarded | 2024-02 | - |
dc.contributor.major | 보건학 | - |
dc.identifier.uci | I804:11032-000000183247 | - |
dc.identifier.holdings | 000000000051▲000000000062▲000000183247▲ | - |
- Appears in Collections:
- Files in This Item:
Item View & Download Count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