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Impact of Weather Factors on Food Purchase and Sales : 날씨가 식품 구매 및 판매에 미치는 영향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Authors
- Advisor
- 문정훈
- Issue Date
- 2024
- Publisher
- 서울대학교 대학원
- Keywords
- Weather ; Spicy food ; Alcoholic beverages ; Two-part model ; QUAIDS
- Description
-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농업생명과학대학 농경제사회학부(지역정보학전공), 2024. 2. 문정훈.
- Abstract
- 기후변화로 인하여 날씨의 변동성이 증가함에 따라 날씨가 소비자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날씨가 식품 구매와 판매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첫 번째 연구에서는 소비자 패널들의 농식품 구매 영수증 데이터와 투파트 모델을 사용하여 당일의 날씨와 어제 대비 날씨의 변화량이 내식에서의 매운 음식 구매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는 당일의 평균 기온, 강우량, 미세먼지 농도, 일교차가 매운 음식의 구매확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미세먼지 농도는 매운 음식의 구매금액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보여주었다. 더하여, 어제 대비 평균 기온, 습도, 강우량, 미세먼지 농도의 변화량은 매운 음식의 구매확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어제 대비 평균 기온과 미세먼지 농도의 변화량은 매운 음식의 구매금액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보여주었다. 두 번째 연구에서는 외식업체 POS 데이터와 2차 준이상 수요체계(QUAIDS) 모형을 사용하여 날씨가 외식에서의 주류 수요에 미치는 영향과 주류 종류 간의 수요탄력성을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는 주류의 종류(소주, 맥주, 막걸리, 와인, 위스키, 하이볼)에 따라 평균 기온, 강우량, 강설량, 미세먼지 농도가 수요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더하여, 어제 대비 평균 기온, 강우량, 강설량, 미세먼지 농도의 변화량이 주류 수요에 미치는 영향은 주류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수요탄력성 결과를 통하여 와인과 위스키, 위스키와 하이볼은 서로 보완 관계에 있으며, 나머지 주류는 서로 대체 관계에 있음을 확인했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한 시사점 및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들을 각 연구의 마지막 장에 수록하였다.
As weather volatility increases owing to climate change, interest in the impact of weather on consumer behavior is growing.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mpact of weather on food purchases and sales. In the first essay, household panel data and a two-part model are used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todays weather and the change in weather compared to yesterday on the purchase of spicy food at home. The results showed that average temperature, rainfall, fine dust concentration, and daily temperature range affected the probability of purchasing spicy food and that fine dust concentration also affected the amount of spicy food purchased. In addition, changes in average temperature, humidity, rainfall, and fine dust concentration compared to yesterday were found to affect the probability of purchasing spicy food, and changes in average temperature and fine dust concentration compared to yesterday also affected the amount of spicy food purchased. In the second essay, restaurant point-of- sale data and the Quadratic Almost Ideal Demand System model are used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weather on alcoholic beverage demand in restaurants and the demand elasticity between alcoholic beverage typ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mpact of average temperature, rainfall, snowfall, and fine dust concentration on demand varies depending on the type of alcoholic beverage. In addition, it was shown that the impact of changes in average temperature, rainfall, snowfall, and fine dust concentration compared to yesterday on the demand for alcoholic beverages varies depending on the type of alcoholic beverage. The results of demand elasticity confirmed that wine and whiskey and whiskey and highball were in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and that the remaining alcoholic beverages were in a substitution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Implications derived from these essay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included in the last chapter of each essay.
- Language
- eng
- Files in This Item:
Item View & Download Count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