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개신교계 신종교 정도교 연구 : A Study on the Protestant New Religious Movement Jeongdogyo : Focusing on Women, Space, and Great Opening of Later Heaven
-여성, 공간, 후천개벽 등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한수빈

Advisor
최종성
Issue Date
2024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정도교(正道敎)개신교계 신종교『정도교법문』『정감록(鄭鑑錄)』여성관공간관후천개벽사상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인문대학 종교학과, 2024. 2. 최종성.
Abstract
본 연구는 1917년 간도 지역에서 이순화(李順和)가 계시를 받아 만들어낸 개신교계 신종교 정도교(正道敎)의 사상과 교리를 밝혀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정도교의 초기 역사와 교리가 담겨있는 경전인 『정도교법문』을 주요 자료로 활용해, 그녀의 생애와 계시를 기반으로 정도교의 사상과 교리가 어떻게 형성되었는지를 검토했다. 아울러 교조의 사망 이후 나타난 정도교의 분열과 각 교단의 교리에 대해서도 살폈다. 이 과정에서 이순화라는 개인이 처한 시대적, 장소적 배경과 그녀의 개인사가 교리로 표출되었는지를 주목했다.
II장에서는 정도교의 전반적인 역사와 교리를 분석했다. 일본의 토지조사사업이 행해지던 시기 경남에서 간도로 이주한 개신교 교인 이순화는 계시를 받아 종교를 세우게 되고, 간도에서 활동하며 폭력과 치유 등을 경험하고 한반도에 들어오게 되었다. 이후 그녀는 한반도에서 독립운동과 투옥을 경험한 후, 계룡산으로 이주해 그곳에서 활동하던 중 사망했다. 그 후 교단은 분열과 변화, 쇠락을 거치며 오늘날에는 실질적인 소멸 단계에 이르렀다. 이러한 역사에 기반해 정도교의 형성과정에는 다수의 개신교적 교리들이 포함되었고, 정도교의 교리 중 삼위일체의 신, 팔계명 등이 이에 해당한다. 한편, 정도교의 교리와 역사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활용 가능한 자료 중 동시대의 학자나 언론 등의 기록이 미비하고, 주로 활용한 것이 교단 측에서 작성된 『정도교법문』이었기에 객관적인 서술을 위해 계시의 내용에 대해서 신빙성을 재검토하며 분석하고자 했다.
III장에서는 정도교의 여성관을 분석했다. 여성이었던 이순화는 종교적 카리스마를 획득하는 과정에 있어 치유의 능력을 주로 선보였는데, 치유 능력은 정도교가 교인들을 모집하는 것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이러한 치유 능력은 종종 여성 종교 지도자에게서 보다 강조되는, 일종의 여성적 능력으로 서술된다. 그 밖에도 그녀는 처첩제에 대한 반대 등 당시 개신교의 사경회 등에서 나타나던 주제들을 정도교의 교리로 활용했으며, 그 외에도 사랑을 하는 것에 있어 여성이 주체적인 시대가 오는 것을 주장하는 등 남성과 여성의 동등한 권리에 중점을 둔 언급들을 남겼다. 이러한 동등한 권리에 대한 강조는 이순화 후대에는 보다 강력하게 발전해 여성 주도적인 시대를 주장하는 교리로 나타났으나, 동시에 이들은 유교적이며 가부장적인 도덕관념으로 이해되는 삼강오륜, 삼종지도에 대한 준수를 주장하기도 했다.
IV장에서는 정도교의 공간관을 살펴보았다. 계시 초기 간도 지역에 있었던 이순화는 계룡산과 한반도를 지상천국이 실현될 장소이며, 동시에 세계의 중심이 될 장소로 공간에 대한 인식을 선보였다. 그러나 그녀가 수감생활을 거쳐 정도교 교인들과 함께 계룡산에 정착한 이후, 시간이 지나자 당시 유행하던 예언서인 정감록의 내용이 점차 정도교에 편입되었다. 특히 교리의 변화는 교조 사후 2대 교주인 진영수의 시기 분열해 나간 정도교대본영원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정도교대본영원의 경우 정감록에 나타나는 장소와 표현 등을 자신들이 머무르는 장소나 정도교로 재해석하며 정감록을 활용한 공간 인식을 내세웠다.
V장에서는 정도교의 후천개벽사상을 분석했다. 정도교는 당시의 세상이 죄악으로 인해 형성된 죄악시대로 규정하며, 최초의 죄악은 바로 아담과 헤와가 살던 시대에 발생한 헤와의 간음이었다고 서술한다. 이로 인해 세상이 9만 년 동안 이어진 죄악시대가 되었으며, 모든 죄악의 원인이 간음으로 치부한다는 등의 계시 내용에서 정도교가 가진 간음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명백하게 드러난다. 그 밖에 화폐의 사용 역시 주요한 죄악의 근원처럼 여겨졌으며, 이순화가 처음 계시를 받은 1917년 다음의 해부터는 이러한 죄악들이 사라질 것이라는 인식이 나타났다. 그러나 약속한 시간이 지났음에도 후천의 천국시대가 찾아오지 않자 정도교대본영원에서는 1947년까지를 죄악시대로 규정하는 등 변화가 나타나기도 했으며, 그 밖에 이순화는 천국시대에 있어 물질적인 요건의 충족을 중시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중요하게 다뤄지지 않았던 개신교계 신종교, 정도교의 역사와 교리 등을 마찬가지로 다뤄지지 않았던 자료인 『정도교법문』 등의 자료를 활용해 분석했다. 이를 통해 한국 개신교계에서 발생한 초기 신종교인 정도교가, 당시 교조였던 이순화의 종교적, 사회적 배경을 바탕으로 형성되는 것을 분석해 일제강점기 시대 한국의 종교지형의 한 단면을 선보였다는 점에 의의를 둔다. 또한, 본 연구는 남성들에 의해 만들어진 신종교가 대다수를 이루던 1910년대의 한국에서 여성 종교 지도자가 종교적 카리스마를 형성하고 교인들을 끌어모으는 과정을 제시했으며, 초기에 개신교적 측면을 크게 가지고 있던 종교가 이후 변화하는 모습을 밝혀내는 작업이기도 했다.
This thesis aims to explore the doctrines and principles of Jeongdogyo (正道敎), a Protestant new religious movement, which originated from divine revelation sent to Lee Sunhwa (李順和) in 1917. The primary source of this thesis is the scripture of Jeongdogyo, Jeongdogyo-beopmun (『정도교법문』), which contains the early history and doctrines of Jeongdogyo. Using this source, the research examines how the beliefs and principles of Jeongdogyo were shaped based on Lee Sunhwa's life and revelations. The study also investigates the schisms and doctrinal variations that emerged within Jeongdogyo after the founder's death. Throughout this analysis, particular attention is given to understanding how the personal experiences and historical context of Lee Sunhwa influenced the doctrinal aspects of Jeongdogyo.
In Chapter II,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overall history and doctrines of Jeongdogyo is presented. Lee Sunhwa, a Protestant believer who migrated from Gyeongsangnam-do to Gando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received divine revelations and established the religious movement. Engaging in religious activities in Gando, she experienced both violence and healing, then she eventually returned to Korean Peninsula. After her participation in independence movements and imprisonment, she settled in Mount Gyeryong, where she later passed away. The movement underwent divisions and transformations after her death and has now reached the brink of extinction. This study aims to reveal how Jeongdogyo incorporated numerous Protestant doctrines based on the founder's background during its historical development. Examples of these doctrines include the Trinity and the Eight Commandments, yet Jeongdogyo also exhibited its unique doctrines.
Chapter III delves into the analysis of Jeongdogyo's view of women. As a female leader, Lee Sunhwa showcased her healing abilities as a crucial aspect in gaining religious charisma and recruiting followers for Jeongdogyo. The emphasis on healing abilities is often portrayed as a kind of feminine power. Moreover, she utilized themes mentioned in contemporary Bible study, such as opposing the practice of having concubines, incorporating into the doctrines of Jeongdogyo. Also. she advocated for a forthcoming era where women would assert their rights in love. The emphasis on gender equality evolved into a more robust doctrine in subsequent generations, promoting a female-led era. Simultaneously, this thesis studies coexistence of Confucian and patriarchal moral principles, such as Three Bonds and Five Relationships (三綱五倫) or Three Obediences (三從之道) and gender-equality doctrines.
Chapter IV investigates Jeongdogyo's spatial perception. Initially located in the Gando region during the early days of the movement, Lee Sunhwa presented Mount Gyeryong and the Korean Peninsula as the places where the earthly paradise would manifest and become the center of the world. However, after her imprisonment and settlement in Mount Gyeryong with her followers, a reinterpretation of the prophecies from the prophetic book Jeonggamrok (『鄭鑑錄』) gradually influenced Jeongdogyo's spatial cognition. Notably, doctrinal changes became more prominent in Jeongdogyo-daebonyeongwon (正道敎大本營院), sects that split during leadership of Jin Yeongsu (秦永洙 or 秦永守), son of Lee Sunhwa and second leader of Jeongdogyo. This sect reinterpreted the locations and expressions in Jeonggamrok to represent their own dwelling places and their religious beliefs.
In Chapter V, the study analyzes Jeongdogyo's Great Opening of Later Heaven (後天開闢) idea. Jeongdogyo defines the contemporary world as an age of sin and corruption, attributing the origin of sin to the adultery committed by Haewa(Eve) during the era of Adam and Haewa. This act resulted in a sinful age lasting for 90,000 years, with adultery being identified as the root cause of all sins. Additionally, the use of currency is considered a significant source of sin, and it was believed that these sins would vanish in one year after Lee Sunhwa's first revelation in 1917. However, as the promised time passed without the arrival of the utopian era, Jeongdogyo-daebonyeongwon redefined the period until 1947 as a continued sinful age. Furthermore, Lee Sunhwa demonstrated an emphasis on materialistic requirements for the utopian era during her revelations.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understanding of the overlooked protestant new religious movement, Jeongdogyo, using untapped sources such as the Jeongdogyo-beopmun. By examining the history and doctrines of Jeongdogyo, the research sheds light on the religious and social background of its founder, Lee Sunhwa. Moreover, the study highlights the unique aspect of a female religious leader shaping a religious charisma and gathering followers in the predominantly male-dominated Korean Protestant landscape of the 1910s.

keywords : Jeongdogyo (正道敎), Protestant New Religious Movement, Jeongdogyo-beopmun (『정도교법문』), Jeonggamrok (『鄭鑑錄』), View of the Women, View of the Space, Great Opening of Later Heaven (後天開闢)
Student Number : 2020-20091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210477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8318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