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비판적 문식성 신장을 위한 소설 읽기 교육 연구 : Study of Novel Reading for the Development of Critical Literacy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향연

Advisor
윤대석
Issue Date
2024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비판적 문식성텍스트사회학비판이론사회어이데올로기담론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범대학 국어교육과(국어교육전공), 2024. 2. 윤대석.
Abstract
이 연구는 비판적 문식성 신장을 위한 소설 읽기의 원리를 밝혀 구체 적인 교육 내용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비판적 문식성 신장을 위한 소설 읽기 교육은 소설 읽기를 통하여 소설에 재현된 사회를 비판 하고, 소설의 언어와 풍부한 맥락을 활용하여 소설 밖 사회를 비판하며, 나아가 자신의 생각을 비판해보는 일련의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학습자는 소설 읽기를 통하여 소설의 언어에 이데올로기가 매개되어 있음을 인식하고 표면적으로 서술된 내용 이면의 사회적 맥락을 재구성해봄으로써 소설 텍스트에 재현된 사회, 다양한 텍스트의 총합으로 존재하는 사회를 비판하는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텍스트사회학의 논의 중 사회어에 주목하여 비판적 문 식성 신장을 위한 소설 읽기 교육을 고찰하였다. 텍스트사회학은 언어가 사회의 정의, 분화, 통제의 과정에 어떻게 관여하고 있는지에 관심을 갖는 포스트모던 비판이론과 통하는 이론으로서, 언어에서 사회적인 것을 읽어내는 데 중점을 둔다. 이러한 방법이 비판적 문식성 교육의 유효한 도구가 되는 것은 소설을 현실로 환원시켜 이해하는 기존의 방식 대신, 소설 텍스트의 언어 층위에서 재현된 사회를 사유하게 함으로써 소설을 중심으로 사회를 비판하는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학습자는 사회어를 중심으로 소설을 읽음으로써 텍스트가 포착한 사회를 비판적으 로 사유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도출한 교육 원리는 텍스트 서술의 사회적 맥락 재구성, 사회어를 고려한 서사의 의미 해석, 소설 읽기 경험을 활용한 사회 비판이다. 이러한 방식의 소설 읽기는 학습자가 소설과 현실의 외적 상호텍스트성을 염두에 두고 이데올로기의 구도, 사회적 맥락 등을 재구성하여 사회를 비판할 수 있도록 이끌어준다. 이와 같은 소설 읽기는 기존의 비판 적 문식성 교육이 국어 교육에서 비판적 읽기의 하위 영역으로 다뤄지면 서 그 독자성을 살리지 못한 점, 비판적 문식성의 핵심인 이데올로기 비판을 전면적으로 다루지 않은 점, 이데올로기를 다루더라도 문학을 현실로 환원하여 이해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온 교육 내용과 방법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실제 학습자의 소설 읽기에 나타난 비판적 문식성 양상을 확인하기 위해 고등학교 1, 2,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감상문을 수집하 여 분석하였다. 대상 텍스트는 김승옥의 와 김애란의 , 이선주의 이다. 세 편의 작품 모두 소설 텍스트 전면에 관련된 사회적 맥락이 직접적으로 드러나 있으며, 각각 현재의 학습자가 지닌 이데올로기와 거리가 있는 과거의 작품, 현대 사회의 다 양한 이데올로기가 중층적으로 드러난 작품, 오늘날의 학습자가 지닌 이데올로기와 친숙한 이데올로기가 드러난 작품으로 학습자가 소설을 읽고 다양한 각도에서 사회를 비판하는 경험을 해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세 편의 소설에 대한 학습자의 감상문은 감정이 인지와 상호작용하며 인간이 감정을 통해 사건의 중요성을 판단한다는 거시적 감정사회학의 관점에 주목하여 학습자들의 비판적 문식성 양상을 확인하는 자료로 활용하 였다.
학습자의 소설 읽기에 나타난 비판적 문식성 양상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비판의 대상과 관련한 사회적 맥락을 인식하고, 텍스트의 서술과 어휘에서 사회적인 의미를 발견하였다. 둘째, 소설에 근거를 두고 사회 문제를 이해하며, 사회적 맥락을 고려하여 인물의 행위를 평가하고 사건 을 비판하였다. 셋째, 사회어를 고려하여 경험 세계를 비판하고, 자기를 성찰하며 소설의 내용에 기반하여 현실의 문제를 비판하였다. 그러나 학습자들은 소설 텍스트에 현실을 직접적으로 대응시키거나, 소설의 언어와 풍부한 맥락을 비판의 근거로 활용하지 못하는 등의 한계를 보였다. 또한 소설에 드러난 내포저자나 특정한 인물의 관점을 수긍한 나머지 양가적인 관점에서 대상을 심도 있게 비판하는 데 이르지 못하였다.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비판적 문식성 신장을 위한 소설 읽기 교육의 내용은 학습자의 수행을 중심으로 다음과 같이 체계화하였다. 교육 목표는 학습자 수행에서 드러난 한계를 보완할 수 있도록 텍스트의 사회적 맥락에 대한 인식의 확장, 텍스트에 근거한 비판 능력 신장, 사회 문제에 대한 윤리적 태도 함양으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교육 내용으로 소설 읽기를 통한 사회의 복잡성 이해, 소설의 언어에 근거한 사회 비판, 소설 읽기를 통한 사회 문제 성찰과 자기 반성 을 제안하였다.
학습자는 소설 텍스트에 사회적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소설이 재현한 현실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와 비판을 시도하게 된다. 이는 현 사회에 다양한 문제를 제기하는 동력이 되는데, 이 때의 문제 제기는 소설의 장르적 속성으로 인해 타인의 문제를 공적 담론으로서 고찰하게 하고, 더 나은 삶에 대해 성찰하게 한다. 또한 통념에 대해 의문을 가지고 숙고해 보며 다양한 가능성을 탐색하도록 독려한다. 이와 같은 논의를 통하여 이 연구는 비판적 문식성 신장을 위한 소설 읽기 교육이 소설 교육에서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주장하고자 한다.

주요어 비판적 문식성, 텍스트사회학, 비판이론, 사회어, 이데올로기, 담론
학 번 2012-30382
This study aims to elucidate the principles of novel reading for the development of critical literacy and to present specific educational content. Novel reading education for the development of critical literacy involves criticizing society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novels, utilizing the language and rich context of novels to critique society beyond the narrative, and engaging in a series of processes to critically examine one's own thoughts. Learners recognize the ideological mediation in the language of novels through novel reading, reconstruct social contexts beneath the surface narrative, and enhance their ability to critique the society depicted in novel texts and the broader society existing through the accumulation of various texts.
In this study, the focus is on sociolecte within the discussions of textsociology to examine novel reading education for the development of critical literacy. Textsociology, aligned with postmodern critical theories, explores how language is involved in the processes of defining, differentiating, and controlling society, with an emphasis on reading the social aspects in language. This approach becomes an effective tool for critical literacy education by encouraging learners to think about society through the language layers of novel texts, rather than understanding novels in the traditional way by reducing them to reality. Learners can cultivate their ability to critique society by reading novels with a focus on sociolecte. The educational principles derived from this discussion are "Reconstruction of Social Context in Textual Narration," "Interpretation of Narrative Meaning Considering sociolecte," and "Social Critique Using Novel Reading Experience."
Novel reading in this manner encourages learners to reconstruct ideologies, social contexts, and other elements captured through the language of novels, allowing them to critique society. This approach addresses limitations in traditional critical literacy education, where critical reading is often treated as a subfield within language education, thereby failing to preserve its autonomy, the inadequacy of fully addressing the core of critical literacy; critiquing ideologies, and even when ideologies are addressed, the existing educational content and methods primarily involve interpreting literature by grounding it in reality.
To confirm the manifestations of critical literacy in actual novel reading by learners, this study collected and analysed essays from 1st, 2nd, and 3rd-year high school students. The selected texts were Kim Seung-ok's "The Strong," Kim Ae-ran's "Covering Hands," and Lee Sun-joo's "Children Outside the Window." In all three works, the social context related to the entire novel text is directly revealed, and each is a past work that is distant from the ideology held by the current learner, a work that reveals the various ideologies of modern society in multiple layers, and a work that reveals the various ideologies of today's learner that reveals a familiar ideology and has the advantage of allowing learners to read the novel and experience criticizing society from various angles. Learners' reviews on these texts were used as data to observe the manifestations of critical literacy, taking into account the macro perspective of emotional sociology, where emotions interact with cognition, and humans judge the importance of events through emotions.
The manifestations of critical literacy in learners' novel reading were as follows. First, learners recognized social contexts related to the target of criticism and discovered social meanings in the narrative and vocabulary of the text. Second, based on the novel, they understood and criticized social issues, evaluated the actions of characters, and criticized events by considering social contexts. Third, by considering sociolecte, they criticized their experiential world and reflected on themselves, critiquing real-world problems based on the content of the novel. However, learners showed limitations in directly relating the novel text to reality or using the language and rich context of the novel as a basis for criticism. Furthermore, because the viewpoints of implied authors or specific characters revealed in the novel were accepted, it was not possible to criticize the subject in depth from an ambivalent perspective.
Based on these discussions, the content of novel reading education for the development of critical literacy was systematized with a focus on learners' performance. Educational objectives were selected to address the limitations observed in learners' performance, including a rich understanding of the social context reproduced in the language of the novel, sophisticated grounding of criticism using novel reading, and the cultivation of an ethical attitude toward social issues. The suggested educational content to achieve these objectives includes "Understanding the Complexity of Society through Novel Reading," "Social Critique Based on the Language of Novels," and "Reflection on Social Issues and Self-examination through Novel Reading." Learners, by attributing social meanings to novel texts, attempt to deeply understand and critique the reality portrayed by novels, serving as a driving force for raising various social issues. This type of problem raising, fuelled by the genre attributes of novels, prompts learners to reflect on others' problems as public discourse and contemplate a better life. It also encourages learners to question conventions, explore various possibilities, and alternatives. Through these discussions, this study argues that novel reading for the development of critical literacy should be actively implemented in novel education.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210714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82324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