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서사적 추론 중심의 소설의 인지적 이해 연구 : A Study on Comprehension of Novel Focusing on Narrative Inference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Authors
- Advisor
- 윤대석
- Issue Date
- 2024
- Publisher
- 서울대학교 대학원
- Description
-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범대학 국어교육과(국어교육전공), 2024. 2. 윤대석.
- Abstract
- 본 연구는 고등학생 학습자가 소설을 인지적으로 이해하는 심리적 과정을 서사적 추론이라는 인지 전략의 작용을 중심으로 밝히고, 이를 바탕으로 서사적 추론 중심의 소설의 인지적 이해의 모형을 마련하여 학습자의 소설 읽기 능력을 제고할 수 있는 교육을 제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소설교육에서 소설의 이해는 다양한 목표를 가진 소설교육 활동이 이루어지는 근본적 조건이 된다. 그러나 문학적 이해가 갖는 넓은 외연은 소설교육에서의 이해를 텍스트에 대한 자기만의 의미를 만들어 내고 텍스트 이해와 자기 이해의 순환까지를 도모하는 넓은 개념으로 확장시켜, 타인의 서사에 대한 이해의 문제를 초점화하기 어렵게 만들 뿐 아니라 소설의 이해에 어려움을 겪는 학습자의 문제를 포착하기 어렵게 하였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소설 읽기 과정에 관한 인지서사학적 접근에 기반한 소설 이해를 소설의 인지적 이해로 초점화하고, 소설의 인지적 이해의 도달에 핵심적으로 관여하는 인지 전략으로 서사적 추론을 개념화하였다. 이때 소설의 인지적 이해란 학습 독자가 소설을 읽는 과정에서 소설 읽기가 고유하게 요청하는 인지 전략을 활용하여 서사에 대한 표상을 형성하는 것을, 서사적 추론이란 소설 텍스트가 암시하고 있는 정보를 일관성 있는 서사의 표상 형성에 활용하기 위해 텍스트의 단서 및 독자의 배경지식에 기반하여 정보를 선택하고 재배열하고 채워 넣는 가추적 인지 전략 또는 그 결과로서 구성된 정보를 지칭한다.
서사적 추론의 작용을 중심으로 고등학생 학습자의 소설의 인지적 이해 과정을 실증적으로 살피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먼저 이론적 고찰을 통해 소설의 인지적 이해의 수준과 서사적 추론의 유형 및 속성, 그리고 소설의 인지적 이해에서 서사적 추론이 작용하는 구도에 대한 전제를 밝혔다. 그리고 왜 어떤 학습자들은 전체적 수준의 소설 이해에 도달할 때 어떤 학습자들은 국지적 수준의 이해나 부족한 수준의 이해에 머무는가?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하여 혼합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소설의 인지적 이해 검사 도구에 대한 응답을 K-평균 군집분석을 활용하여 3개의 군집으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소설의 인지적 이해의 구인에 따라 군집 유형 간 평균 차이가 유의미하게 달라짐을 확인하여 이론적 고찰에서 전제한 소설의 인지적 이해의 수준이 실제로 위계를 가짐을 입증하였다. 또한 각 군집의 양적 특성을 바탕으로 소설의 인지적 이해 수준에 따른 학습자 유형이 전체적 수준의 추론적 이해까지 고른 이해를 보이는 전체적 이해 집단, 국지적 수준의 추론적 이해까지만 도달하는 국지적 이해 집단, 전반적으로 소설의 인지적 이해가 부족한 부족한 이해 집단으로 나뉨을 보였다.
다음으로 각 집단의 대표성을 띠는 학습자들이 단편소설 읽기 과정에서 서사적 추론을 동원하는 과정을 관찰하였다. 그리고 반복적 비교 분석법으로 집단별 특징을 도출하고 관찰 결과를 이론적 전제와 가추적으로 분석하였다. 각 집단이 소설의 인지적 이해에서 서사적 추론을 동원하는 작용을 비교한 결과, 어휘의 의미 활성화와 암시된 사건에 대한 주목, 시간의 흐름과 인과를 따르는 배열 작용에서는 모든 집단의 학습자들이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소설의 인지적 이해 수준에 따른 학습자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관찰된 작용은 혼성 공간으로의 선택적 투사와 일관성에 대한 의식과 가추적 사고였다. 이에 이 두 가지 작용에서 각 집단의 차이를 발생시키는 기저의 인지 작용을 살핀바, 집단 간 서사적 추론 작용의 차이가 텍스트에 속박된 암시적 의미의 구성 정도에 달려 있음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고는 이론적 고찰과 실증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여 서사적 추론 중심의 소설의 인지적 이해의 모형을 구안하고, 모형의 교육적 시사점을 중심으로 소설의 인지적 이해 교육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고등학생 학습자의 소설 이해 과정을 서사적 추론이라는 중핵적 인지 전략의 사용을 중심으로 양적․질적으로 분석하여, 실제 학습자가 소설 읽기에서 어려움을 갖는 대목과 그 기저에 있는 인지 작용을 학습자 수준별로 구체화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서사적 추론 중심의 소설의 인지적 이해의 모형을 제시하였다는 의의를 지닌다.
This study aims to elucidate the psychological mechanisms involved in high school students' comprehension of novels, with a particular focus on narrative inference as a central cognitive strategy. It also aims to propose educational approaches to enhance students' novel reading abilities based on these findings. While understanding the narrative of a novel is pivotal for various educational activities, the expansive nature of literary comprehension presents challenges in novel education, extending to the realms of text comprehension and self-understanding. This complexity not only hampers the focus on understanding others' narratives but also impedes the identification of difficulties faced by learners struggling with novel comprehension.
Through a cognitive-narrative approach, this study conceptualizes "comprehension of the novel" as the formation of a coherent representation of the narrative, employing cognitive strategies unique to novel reading. Specifically, "narrative inference" refers to the process of utilizing textual clues and background knowledge to select, rearrange, and fill in information, thereby constructing a cohesive narrative representation implied by the novel text.
To empirically investigate high school students' comprehension of novels, with a focus on narrative inference, this study begins by establishing theoretical premises regarding levels of comprehension and types of narrative inference. A mixed-methods approach is then employed to address the question: "Why do some learners achieve comprehensive novel understanding while others remain at localized or inadequate levels?"
Through K-means cluster analysis, the study identifies three clusters based on cognitive understanding assessment tool responses, confirming significant average differences in cognitive understanding structures among cluster types. These findings support the hierarchical structuring of novel comprehension levels proposed in the theoretical review. Furthermore, distinct learner types are delineated: a 'poor comprehension' group demonstrating overall insufficient understanding, a 'local comprehension' group achieving inferential understanding at a localized level, and a 'global comprehension' group consistently grasping inferential understanding at a global level.
Subsequent observation of narrative inference utilization during short story reading reveals distinct characteristics for each learner group, which are synthesized into a new theoretical framework through repeated comparative analysis. Specifically, the 'poor comprehension' group exhibits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individual events, while the 'local comprehension' group struggles with constructing causal links between key events, and the 'global comprehension' group adeptly integrates narrative elements into a cohesive explanation.
Comparative analysis of narrative inference utilization across learner groups highlights differences in 'selecting information to recognize events and connect them' and 'acquiring consistency of connections through hypothesis testing'. The study examines underlying cognitive actions contributing to these differences, forming the core content of novel understanding education centered on narrative inference. This approach is significant as it outlines tailored educational strategies for novel comprehension at different proficiency levels, focusing on cognitive actions pivotal for learners' reading comprehension success.
- Language
- kor
- Files in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Item View & Download Count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