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아름다운 남자" 만들기 : 20대·30대 한국 남성의 외모관리의 일상과 유행의 원인 : Making a Beautiful Man: - Daily Routine and the Causes of Beauty Management among Young Men in Korea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Authors
- Advisor
- 김재석
- Issue Date
- 2024
- Publisher
- 서울대학교 대학원
- Description
-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회과학대학 인류학과, 2024. 2. 김재석.
- Abstract
- This study analyzes the reasons why male appearance management became popular in Korean society. There are three main research questions. First, we analyze the ideal appearance considered by Korean men and the social background that led to the spread of interest in appearance in Korean society. We identify specific aspects of appearance anxiety caused by an appearance-centered society and examine ways to cope with appearance anxiety in the context of daily life. Second, we examine through ethnographic cases how people pursue the ideal male image delivered through mass media. In particular, it sheds light on the thoughts and specific desires of research participants regarding the images promoted by mass media. As appearance as competitiveness plays an important role in social life, we seek to understand how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ur is structured as a differentiation strategy. Third, we seek to understand the true purpose of men's appearance management and the thoughts and meanings of research participants regarding this and to embody their behaviours. To this end, the researcher conducted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with a total of 26 Korean men in their 20s and 30s who manage their appearance and have various opinions about it.
In Chapter II, we looked at the impact of the commodification of appearance following the development of late capitalist society on the formation of men's ideal image through mass media, including SNS. It specifically sheds light on the psychological pressure created by the realization of capitalized appearance due to the need to strengthen individual competitiveness following the rise of neoliberalism, coupled with lookism in Korean society. First, the core of modern product consumption can be said to be the consumption of symbolic codes. People began to look at their appearance from a new and critical perspective. Rather than simply accepting the body given to me as before, I began to actively evaluate my image and engage in body modification work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n other words, a person's appearance has become a consumer good in a commodity-capitalist society, and in this process, the physical image is not simply a value for consumption but acts as a sign that actively differentiates oneself from others. Second, the image of an ideal man spread through mass media and formed a discourse as an exchange value. Third, it was confirmed that in neoliberal society, people accept appearance management as a part of life to prove their value by commercializing themselves as I Corporation. In particular, in the process of survival to obtain limited social resources, men developed an external identity according to the group's standards. Lastly, with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lookism, in which appearance becomes the standard for judging an individual's personality, abilities, and behaviour, has spread even more widely. Ideal images in virtual space act as a so-called hope circuit that familiarizes people with beauty and allows them to focus on a better self.
Chapter Ⅲ presented an ethnography of the routine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ur of men in their 20s and 30s who are interested in appearance management. To this end, the researcher observed specific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urs by start time, area, and situation. Based on the image of grooming men as people who take care of themselves to look neat and good, the daily appearance management routine of Korean men in their 20s and 30s was discussed. Appearance management activities can be broadly classified into daily activities such as skincare, makeup, weight management, hair care, and clothing management, and active activities such as procedures and surgery. Research participants generally chose routine care at the beginning of appearance management. The process by which they began to become grooming people largely consisted of the following two processes. The first step is to begin forming a desirable image by managing daily routines to adapt to society and increase competitiveness. The other is the stage where people realize that they have become groomers as their self-understanding of their appearance increases from a mental and hedonistic perspective. The study participants' appearance management mainly occurred daily and was expressed more as a means of psychological and mental satisfaction through improving their image rather than differentiation. The detailed forms of everyday appearance care can be divided into two types: facial care and body shaping. Facial care is further divided into three aspects: skincare, makeup, and plastic surgery, and body preparation can be divided into exercise for health and fitness for aesthetic improvement. In summary, it has been confirmed that routine appearance management is a means to create a soft, natural, or strong masculine appearance, a means to gain psychological stability and confidence beyond physical health, and at the same time a means to maintain social status.
Based on Chapters II and III, Chapter IV largely defines the purposes of appearance management for young Korean men into the following four categories. First, realizing healthy narcissism through appearance management satisfies intrinsic needs and improves self-esteem. This narcissism contributes to establishing a positive identity through a sense of self and proactive evaluation. Second, as lookism and men's anxiety about appearance have strengthened, standards for appearance have been levelled upward. Because we cannot escape the gaze of others and comparisons with others, we take care of our appearance to avoid feeling self-loathing or shame. Third, consistent standards for beauty have been implicitly formed throughout society to meet the ideal and standard images shown in the mass media. In the resulting conflict between the individual's pursuit of individuality and society's aesthetic tastes, uniformity of appearance and fashion style emerged as a detailed method of appearance management. Lastly, men's appearance management goes beyond a healthy body and appears as a way to differentiate themselves from others through a sexy body, a restrained body, and a standardized body, and as a way to strengthen competitiveness to solidify the status of physical capital.
A person's appearance is the characteristic that is most clearly recognized by others in social relationships, especially in the process of communication, and is one of the most direct and important personal qualities that are shown to everyone. In particular, the act of pursuing a beautiful appearance has a great influence on men's daily lives based on the halo effect that beautiful is good. This is because appearance has a great influence on judging a person's human characteristics, and interest in appearance management is a projection of the desire to form bonds with people. In addition, men's appearance management has a significant impact on self-actualization and the formation of self-identity and self-esteem due to the evaluation of others. As a product of social demands for beauty, men's appearance management also has a positive impact. However, as beauty standards rise, internal values are downplayed, and there are also negative effects, such as passively following external images presented through the media. Therefore, a discussion should be held about what aesthetic values society should pursue beyond the individual level.
keywords : masculinity, makeup, lookism, body, grooming, distinction
본 연구는 한국 사회에서 남성 외모관리가 유행하게 된 원인을 분석한다. 주요 연구질문은 크게 세 가지이다. 첫째, 한국 남성들이 생각하는 이상적 외모와, 한국 사회에서 외모에 대한 관심이 성행하게 된 사회적 배경을 분석한다. 외모중심 사회로 인한 외모 불안감의 구체적인 양상을 파악하고, 일상생활의 맥락에서 외모 불안에 대한 대처 방식을 살펴본다. 둘째, 사람들이 대중매체를 통해 전달되는 이상적 남성 이미지를 추구하는 방식을 민족지적 사례를 통해 고찰한다. 특히 대중매체가 선전하는 이미지에 대한 연구참여자들의 생각과 구체적인 욕망을 조명한다. 경쟁력으로서의 외모가 사회생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만큼, 구별짓기 전략으로서 외모관리 행위의 구성 방식을 파악하고자 한다. 셋째, 남성의 진정한 외모관리 목적과 이에 대한 연구참여자들의 생각과 의미를 파악하고, 그들의 행위성을 구현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외모 관리를 실제로 수행하며 이에 대해 다양한 견해를 가진 20대·30대 한국 남성 총 26명을 대상으로 반구조적인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II장에서는 후기자본주의사회의 발전에 따른 외모의 상품화 현상이 SNS를 비롯한 대중매체를 통해 남성의 이상적 이미지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신자유주의의 대두에 따른 개인의 경쟁력 강화 필요에 의한 자본화된 외모의 구현이 한국 사회의 외모지상주의와 맞물려 만들어 내는 심리적 압박을 구체적으로 조명하였다. 먼저 현대 상품 소비의 핵심은 상징적 부호의 소비라 할 수 있다. 사람들은 자신의 외모에 대해서 새롭고 비판적인 시각으로 바라보기 시작하였다. 이전처럼 그저 자신에게 주어진 몸을 받아들이기보다는 삶의 질을 향상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자신의 이미지를 품평하고, 몸에 대한 개조 작업에 개입하기 시작하였다. 즉, 사람의 외모는 상품-자본주의사회의 소비재가 된 것인데, 이 과정에서 신체적 이미지는 단순히 소비하는 가치가 아니라 타자와 자신을 적극적으로 구별짓는 기호로 작용한다. 둘째로 대중매체를 통해 확산된 이상적인 남성의 이미지는 교환적 가치로서 담론을 형성하였다. 셋째로 신자유주의 사회에서 사람들은 나 주식회사로서 스스로를 상품화함으로써 자신의 가치를 입증하기 위해 외모 관리를 삶의 일부로 받아들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한정된 사회적 자원을 얻기 위한 생존 과정에서 남성은 집단의 기준에 맞추어 외적 정체성을 갖추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인터넷의 발달과 함께, 외모가 개인의 인성과 능력, 행동을 판단하는 기준이 되는 외모지상주의가 더욱 넓게 확산하였다. 가상 공간 속 이상적인 이미지는 사람들을 아름다움에 익숙하게 하여 더 나은 자아에 초점을 맞추게 하는, 이른바 희망 회로로 작용하고 있다.
Ⅲ장에서는 외모관리에 관심이 많은 20대·30대 남성의 일상화된 외모관리 행위에 대한 민족지(ethnography)를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외모관리 시작 시기별, 부위별, 상황별로 구체적인 외모관리 행위를 관찰하였다. 단정하고 좋게 보이기 위해 관리행동을 하는 사람으로서 그루밍족 남성의 이미지를 바탕으로 20대·30대 한국 남성들의 외모관리 일상을 논의하였다. 외모관리 행위는 크게 피부관리와 화장, 체중관리, 헤어관리, 의복관리 등 일상적인 행위와 시술과 수술 같은 적극적인 행위로 분류할 수 있다. 연구참여자들은 대체로 외모관리의 시작 단계에서는 일상적 관리를 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들이 그루밍족이 되기 시작한 과정은 크게 아래 두 가지 과정으로 이루어졌다. 첫 번째 단계는, 사회에 적응하고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일상적인 관리를 함으로써 바람직한 이미지를 형성하기 시작하는 단계이다. 다른 하나는 정신적, 향락적 측면에서 외모에 대한 자기 이해도가 높아짐에 따라 스스로 그루밍족이 되었다는 것을 깨닫게 되는 단계이다. 연구참여자들의 외모관리는 주로 일상적으로 발생하며, 차별화보다는 자신의 이미지 개선을 통한 심리적, 정신적 만족 수단으로서 더욱 많이 표현되었다. 일상화된 외모관리의 세부적 형태는 얼굴 가꾸기와 몸 만들기의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얼굴 가꾸기는 다시 스킨케어, 메이크업, 그리고 성형의 세 측면으로 나뉘며, 몸 만들기는 건강을 위한 운동과 미적 개선을 위한 피트니스로 구분할 수 있다. 종합하면, 일상화된 외모관리는 부드럽거나 자연스럽거나 혹은 강인한 남성미를 연출하고자 하는 수단이자, 신체적 건강함을 넘어선 심리적 안정감과 자신감을 얻기 위한 수단, 그리고 동시에 사회적 지위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도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II장과 Ⅲ장을 바탕으로 IV장에서는 한국 청년 남성의 외모관리 목적을 크게 아래 네 가지로 규정하였다. 첫째, 외모 관리를 통한 건강한 나르시시즘 실현은 내재적 욕구를 충족시키며 자존감을 향상시키는 방식으로 나타난다. 그리고 이러한 나르시시즘은 자아에 대한 감각과 주도적인 평가를 통해 긍정적인 정체성을 확립하는 데에 기여한다. 둘째, 외모지상주의와 남성의 외모 불안이 강화됨에 따라 외모에 대한 기준이 상향평준화 되었다. 타인의 시선과 타자와의 비교에서 벗어날 수 없으므로 자기혐오 혹은 부끄러움을 느끼지 않기 위해 외모관리를 하게 된 것이다. 셋째, 대중매체에서 나타난 이상적, 표준적 이미지에 부합하기 위한 아름다움에 대한 일관적인 기준이 사회 전체에 암묵적으로 형성되었다. 이로 인한 개인의 개성 추구와 사회의 미적 취향의 충돌 속에서 외모나 패션 스타일의 획일화가 외모관리의 세부적 방식으로 출현하였다. 마지막으로 남성의 외모 관리는 건강한 몸을 넘어서 섹시한 몸, 절제된 몸, 규범화된 몸을 통해 타자와 구별 짓는 차별화 방식과, 신체자본의 지위를 공고히 하기 위한 경쟁력 강화 방식으로 나타난다.
한 사람의 외모는 사회적 관계, 특히 의사소통 과정에서 가장 뚜렷하게 타인에게 인식되는 특징이며, 모든 사람에게 보여주는 가장 직접적이고 중요한 개인적 자질 중 하나이다. 특히 아름다운 외모를 추구하는 행위는 아름다운 것이 좋은 것이다라는 후광효과에 기반하여 남성들의 일상생활에서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다. 외모가 한 사람의 인간적 특성을 판단하는 데에 큰 영향을 미치며, 외모관리에 대한 관심은 곧 사람과 유대감을 형성하려는 욕망이 투사된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남성의 외모관리는 자아실현과 타인의 평가로 인한 자아 정체성과 자아존중감 형성에도 현저한 영향을 끼친다. 아름다움에 대한 사회적 요구의 산물로서 남성의 외모 관리는 긍정적인 영향도 있다. 하지만 미의 기준이 상향화되면서 내면적 가치는 경시되며, 매체를 통해 제시되는 외적 이미지를 수동적으로 추종하는 등 부정적인 영향도 있다. 따라서 개인적 차원을 넘어서서 사회가 추구해야 할 미적 가치가 무엇인지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주요어 : 남성성, 화장, 외모지상주의, 몸, 그루밍족, 구별짓기
- Language
- kor
- Files in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Item View & Download Count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