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직업계고 맥락에서 나타나는 과학교사의 역할정체성 형성과정에 대한 사례연구 : Case study of science teachers role identity formation in Korean vocational school context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Authors
- Advisor
- 유준희
- Issue Date
- 2024
- Publisher
- 서울대학교 대학원
- Description
-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범대학 과학교육과(물리전공), 2024. 2. 유준희.
- Abstract
-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teacher identity is closely related to their practice. So,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identity formation of science teachers in vocational high school, to discuss science education in-depth in the context. Therefore, in this study, the process of forming the role identity of science teachers in the context of vocational high school was analyzed using the Dynamic System Model of Role Identity(DSMRI).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are: First, what is the perception about the context of vocational high school revealed through the emotions and actions of the participants? Second, how does the science teachers' role identity formation appear in the vocational school context?
In this study, according to objective sample selection, three science teachers who had worked in vocational high schools and have different backgrounds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Data collection was mainly conducted through interviews, and triangulation was performed through teachers' class materials and school documents. Interviews were conducted twice, each interview took about an hour, and the shortcomings were supplemented through additional interviews. In the first interview, participants mainly asked about their experiences as science teacher in the vocational school context. In the second interview, the role identity of participants was investigated, focusing on the questions according to each sub-element of DSMRI.
First of all, the context of vocational high school commonly recognized by the participants can be presented in three main aspects. Participants recognized that the main topics of teaching and student guidance were different from general high schools; science subjects were alienated due to the operation of vocational subject-oriented schools; and opportunities to demonstrate professionalism were relatively limited due to the absence of science-related departments.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emotions and actions of teachers within the context, and through this, it was possible to grasp the individual perceptions of science teachers about vocational high school. At the beginning, teacher Lee was embarrassed by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but she came to accept and enjoy the situation of the context over time. Finally, she recognized that it would serve as a "step for becoming a better teacher" in the future. Teacher Jeong was initially prejudiced against students, but she felt rewarded as a teacher through the students little changes, and recognized the vocational high school experience as an "opportunity to meet various students". Teacher Choi has enjoyed learning and sharing as a member of the school community in non-vocational high schools in the past. However, in vocational high school, she couldn't feel any connectedness, and recognized the context as a "space where professionalism as a science teacher cannot be exercised". Although there are aspects that science teachers commonly perceived the vocational school context, there were differences in personal perceptions.
Secondly, the role identity of science teachers in the vocational school context was analyzed by the elements of DSMRI. It was foun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vocational school context recognized by each teacher were related to the contents of role identity. It was found that teacher Lee formed her identity as a "stranger who wants to be at the center" and negotiated a somewhat stable position within the context. Teacher Jeong formed a role identity as a "teacher who waits for students generously". The consistency between the identity elements was the closest, but the focus was on the students' personal change rather than science classes. Teacher Choi was "a person who was ready to help people anytime". However, in vocational school context, self-awareness was greatly reduced, resulting in an imbalance with other factors, and she could not negotiate her position as a science teacher.
Thre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nts of the role identity formation process was derived based on the cases. First, repetitive and continuous experiences were acting as more important factors in the formation of teachers' beliefs than the specificity of the context. Second, macroscopic purposes were relatively consistent, but changes were found in specific goals, and the direction of change was similar in terms cultural science. Third, related to self-awareness, the change in perception of one's social attributes was remarkable in positioning as a science teacher,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personal characteristics. The followings are characteristics of the structural aspect.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belief is a key element of science teacher role identity and is the basis of others. Second, the goals of the participants were based on their perception of beliefs and strengths as science teachers. Third, in the context of vocational high school, the closer the link between belief and self-awareness, the more positively participants perceive their possibility of action.
Based on the results,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are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goals and contents of the integrated science subject for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In this study, participants thought about what appropriate science education was for vocational school students. But they lacked colleagues to discuss with, and they had to undergo numerous trials and errors. Seco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support science education activities suitable for the context of vocational high school. Through this, opportunities to demonstrate professionalism as a science teacher can be expanded, and meaningful stimulation and a sense of achievement can be provided to students. Third, there should be opportunities for science teachers to reflect on their experiences and actively explore their identity as a teacher. Specifically, rather than delivering a uniform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a change in the form of teacher training is required, such as allowing them to recognize and use their strengths and collaborate with colleagues.
선행연구에 따르면 교사의 정체성은 수업을 비롯한 교사들의 실천과 밀접하게 관련되므로 직업계고의 과학교육을 깊이 있게 논하기 위해서는 해당 맥락에서 과학교사들의 정체성 형성과정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역할정체성 동적 시스템 모델(Dynamic System Model of Role Identity; DSMRI)을 활용하여 직업계고 맥락에서 나타나는 과학교사들의 역할정체성 형성과정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첫째, 연구 참여자들의 감정과 행동을 통해 드러나는 직업계고 맥락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연구 참여자들이 각자 인식한 직업계고 맥락에서 과학교사 역할정체성 형성과정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목적적 표본 선정을 통해 직업계고에 근무한 경험이 있으며 서로 다른 배경을 가진 과학교사 3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했다. 자료 수집은 주로 심층 면담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교사들의 수업 자료와 학교 문서를 통해 삼각 검증하였다. 면담은 2차례에 걸쳐 진행했으며 각 면담은 1시간 가량 소요되었고, 부족한 부분은 추가 면담을 통해 보완했다. 1차 면담에서는 연구 참여자들이 직업계고에 근무하며 과학교사로서 경험한 내용을 주로 질문했고, 2차 면담에서는 DSMRI의 각 하위요소에 따른 질문을 중심으로 연구 참여자들의 역할정체성을 조사했다.
우선, 첫째 연구 문제와 관련하여 연구 참여자들이 공통적으로 인식한 직업계고의 맥락은 크게 세 가지 측면으로 제시할 수 있다. 교과 지도와 학생 지도에서 주요하게 다뤄지는 부분이 일반고와 다르고, 전문교과 위주의 학교 운영으로 인해 과학교과는 소외되고 있으며, 과학 관련 부서가 부재하여 상대적으로 전문성 발휘 기회가 제한적인 것으로 인식했다. 한편 맥락 내에서 교사들의 감정과 행동에는 차이가 나타났는데, 이를 통해 직업계고 맥락에 대한 과학교사들의 개인적인 인식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교사는 초기에 학생들의 특성에 당황하기도 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직업계고의 상황을 수용하고 즐기게 되었으며, 앞으로 더 좋은 교사가 되기 위한 발판이 될 것이라고 인식했다. 정교사는 처음에 직업계고 학생들에 대한 편견이 있었지만 아이들이 조금씩 변화하는 모습을 통해 교사로서 보람을 느꼈고, 직업계고 경험을 다양한 아이들을 만나게 해준 기회로 인식했다. 최교사는 과거 비직업계고에서 학교 공동체의 일원으로 배우고 나누는 과정에서 즐거움을 느껴왔다. 반면, 직업계고에서는 소속감을 느끼지 못했고 과학교사로서 전문성을 발휘할 수 없는 공간으로 인식하게 되었다. 이처럼, 연구 참여자들의 직업계고 맥락에 대한 인식은 공통적인 측면도 있었지만, 차이가 나타나는 부분도 있었다.
다음으로, 둘째 연구 문제와 관련하여 직업계고 맥락에서 나타나는 과학교사 역할정체성을 DSMRI의 요소별로 분석했다. 각 교사가 인식한 직업계고 맥락의 특성은 역할정체성의 내용과 관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교사는 중심인이 되고 싶은 이방인으로 자신의 정체성을 형성했으며 맥락 내에서 어느 정도 안정적인 위치를 협상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교사는 아이들을 후덕하게 기다리는 교사로 역할정체성을 형성했다. 정체성 요소 간 연계성이 가장 긴밀했으나 학생의 인격적 변화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최교사는 언제든 손 내밀 준비가 돼 있는 사람이었으나 직업계고에서는 자기인식이 크게 축소되어 다른 요소와 불균형이 발생했고, 과학교사로서 자신의 위치를 협상하지 못했다.
세 교사의 사례를 바탕으로 도출한 역할정체성 형성과정의 내용적 측면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의 신념 형성에 있어 직업계고 맥락의 특수성보다는 반복적이고 지속적인 경험이 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둘째, 직업계고 맥락에서 각 교사가 추구하는 거시적인 교육 목적은 일관된 편이었으나, 구체적인 수업 목표에서 변화가 나타났으며 과학을 교양으로 접근하고자 한다는 점에서 변화의 방향성이 유사하게 나타났다. 셋째, 자기인식 측면에서는 과학교사로서 위치를 협상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사회적 속성에 대한 인식 변화가 두드러졌으며 개인적 특성에 대한 인식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 다음은 구조적 측면의 특징이다. 첫째, 과학교사들의 신념은 역할정체성의 핵심 요소이며 다른 하위요소의 바탕이 됨을 확인했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의 교육 목표는 자신의 과학교사로서 신념 및 강점에 대한 인식에 기반하고 있었다. 셋째, 직업계고 맥락에서 신념과 자기인식 간 연계성이 긴밀할수록 행동가능성을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를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계고 학생들을 위한 통합과학의 목표와 내용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연구 참여자들은 직업계고 학생들에게 적절한 과학교육이 무엇인지 고민했으나 함께 논의할 동료가 부족했으며, 수많은 시행착오를 겪어야 했다. 둘째, 직업계고 맥락에 적합한 과학교육 활동을 개발하고 지원해야 한다. 이를 통해 과학교사로서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할 수 있으며, 학생들에게도 의미 있는 자극과 성취감을 제공할 수 있다. 셋째, 과학교사들이 자신의 경험을 반성적으로 성찰하며 적극적으로 정체성을 탐색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구체적으로는 획일적인 교수학습 방식의 전달보다는 자신의 강점을 인식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동료들과 도움을 주고받도록 하는 등 연수 형태에 변화가 요구된다.
- Language
- kor
- Files in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Item View & Download Count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