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초등학교 학급시간표를 중심으로 본 국가교육과정의 실행 분석 : An Analysis of the Implementation of National Curriculum focusing on the Elementary School Class Timetable : Based on the Actor-Network Theory
행위자-네트워크 이론에 기반하여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지영

Advisor
소경희
Issue Date
2024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교육과정 실행행위자-네트워크 이론국가교육과정학급시간표신유물론물질성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범대학 교육학과(교육학전공), 2024. 2. 소경희.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ocess by which the national curriculum is implemented in schools and classrooms, focusing on elementary school class timetable, and to understand how the implementation of the national curriculum is carried out through some complex relations between humans and non-human beings. Many studies on the implementation of national curriculum have focused excessively on the human actor, teacher. For example, it is intended to understand the implementation of curriculum through the teacher's internal experience, such as teachers' perceptions, beliefs, knowledge, and difficulties encountered in the implementation process, or to consider textbooks, curriculum training, and school customs and climate as external factors surrounding teachers to find out how they promoted or hindered teachers' practices. This tendency of prior research is significant in that it pays attention to the practical practice of teachers on the national curriculum, but it has limitations in that it cannot escape the human-centered view that the national curriculum is implemented only by the sole subject of teachers.
This study qualitatively explored the cases of two elementary school classes based on the perspective of the Actor-Network Theory(; ANT) to understand the complex and complex implementation patterns of the national curriculum, which are entangled with various human beings such as students, parents, external instructors, and non-human beings such as school spaces, desks, bells, computers, and educational administration information systems NEIS. In particular, in a process of implementations that convert abstract and general policy documents of the national curriculum into local and special contextual practices of classroom instruction, the class timetable' was considered a key material linking the former and the latter, and the process was tracked by fixing eyes on that material.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rough participatory observation and interviews, and local data were referenced.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the collected data were conducted based on research problems, but the perspective and concept of the ANT corresponding to the theoretical framework were mobilized.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how is class timetable made and practiced in elementary school?
Second, what kind of relational entanglement appears between human and non-human beings in the process of enacting and practicing class timetables?
Third,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that can be found in the implementation process of the national curriculum focusing on the class timetabl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first questions, the class timetables of the participating classes, the sky class and the sea class, was not a fixed object that did not change once it was created, but that the process of organizing school and class curriculum, designing a lesson plan, and the actual situation in which the class takes place, and even after all classes are over, are constantly changing their shape and role and being enacted. Class timetables created with certain plans and intentions in both classrooms sometimes served as a teacher's assistant and ally, but the unexpected human and non-human relationship that took place in the class also made the timetable a material that acted completely differently from the teacher's intention. At the end of the semester, new actors such as student records, the Office of Educations audits, and school curriculum consulting, which appeared in the process of entering implemented timetable in the classroom into the educational administration information system NEIS, showed strong agency by conver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class timetables and curriculum documents into a completely different pattern. They made the class timetable act as evidence to censor teachers' practice based on the national and school curriculum, and as a result, the class timetable was transformed into a formal document on the administrative system that was cut off from the actual class practic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econd question, humans and non-human beings were not limited to the different a priori areas and roles, but were entangled with a hybrid manner across boundaries. First of all, although the class timetable itself seems to be a non-human thing, it has become an indispensable obligatory passage point(; OPP)' that cannot be overlooked in order to realize the national curriculum into classroom instruction, and in particular, it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curriculum as a mediator' linking the national, school, class curriculum and classroom instruction. In other words,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national curriculum, the timetable became an actor rather than a passive tool that was only controlled and utilized as a dead object by teachers.
Here, the active participation of class timetables is largely divided into two aspects. One is a method of dividing the network of class timetables into a formal network and an informal network, making the bonds between them stronger, and maintaining these connections solid. The standard timetable' made for the purpose of being written in the school curriculum document at the beginning of the semester and the NEIS timetable' made for the purpose of being entered into the NEIS administrative work system at the end of the semester were made as no error' official data in compliance with the deviation of the number of hours and operation plans of the national and school curriculum. On the other hand, the actual classroom instruction of the two classes was planned and practiced according to the informal timetable', unlike these formal class timetables. In other words, the formal timetable network and the informal timetable network were divided without translating each other, causing a gap in educational practice
However, on the other hand, class timetables participated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national curriculum in a way that was refracted in an unexpected way, playing constant variation in a dynamic class situation. The association of the class timetable and the school ring in the case of the sky class made the timetable act in a way that hindered the achievement of the class goals, and the sea class's textbooks', workbooks', and private education' made the timetable a matter which promotes a standardized learning. In addition, the class timetable lost its original form, emerged in a different form from time to time in the context of classroom instruction, and was dragged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national curriculum.
In this network of class timetables,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specific time and space that the concept of classes' divides and the specific way in which the timetable' frames and arranges subject classes are sometimes slipped and fluctuated. The spatiality of the class in which the curriculum of the sky class and the sea class is implemented has been expanded across the boundaries of home, school, and outside the school through online teacher communities and online class management platforms, and the class time was not clearly distinguished within a year or school year. In addition, the assemblage of curriculum connected to the subject – number of hours completed - class had to be rearranged due to the educational moments that deviate from the set time of class, 40 minutes' and period, and the ambiguous boundary between the subject class and guadance counseling.
In addition, discourses inside and outside the school society, such as school violence, gender, and hierarchy, were intervening in this entanglement between humans and non-human beings. The association of teachers who are burdened with the problem of school violence and the resulting complaints of parents prevented new forms of timetables such as middle playtime from being attempted on the network. The dichotomous practices and thoughts according to gender commonly used inside and outside the school society helped and hindered the implementation of the planned timetable, and the discourse of our society surrounding school education and hierarchical mobility permeated and influenced students' thoughts about school life.
Through the third research result, which was explored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implementation of this national curriculum were discussed focusing on the elementary school class timetable. First, the class timetable participated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national curriculum as an actor with relational and variable attributes'. Accordingly, the existence aspect of the policy document called the national curriculum cannot be fixed, and it has different multiplicity from moment to moment in the network. Second, it becomes virtually impossible to stipulate a a priori relationship that sets documents of the national curriculum, which are non-human objects, as objects of implementation, and teachers, who are human beings, as subjects of implementation. Accordingly, it becomes difficult to clearly specify who exactly implemented the national curriculum, what specific factors influenced the implementation of the subject, and who or what can be held responsible for the results of the implementation. Third, the national curriculum is not implemented by narrowing its scope to national-school-classroom, but rather crossing the boundaries of classroom-school-society, and beings appearing and participating in each area do not discriminate between humans and non-human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that it explores the implementation of the national curriculum based on ANT and actively reveals the aspects of human-non-human relationship and entanglement. Through thi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national curriculum are as follows:
First, the process of closely tracking and mapping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non-humans in the network to which it actually belongs should precede attempts to fix the existence pattern, character, and role of the national curriculum into one or to a priori. As mentioned earlier, policies exist in multiple ways in the network of policy implementation, and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network's construction and changes in order to grasp its actual influence, that is, agency.
Second, it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that teacher may not be the only subject implementing the national curriculum.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teacher's act, but the implementation of the curriculum is not only based on the competencies and knowledge possessed by the individual teachers, the plans and intentions of the teachers, and sometimes actors who were regarded as peripheral factors such as Administrative Information System and External Instructors may have stronger agency, depending on the network's construction patterns.
Third, it is necessary to approach the implementation of the national curriculum as a social-material network in which unexpected humans, non-humans, and even discourses work together anytime, anywhere across schools and society, rather than a sequential and linear model that leads to national-school-classrooms.
This study was ultimately made as an attempt to suggest an alternative approach to understand how the national curriculum is implemented. However, it has a limitation in that it revealed only a small part of the truly vast assemblage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national curriculum by fixing the gaze only on a specific material, elementary school class timetable. In addition, in terms of research methods, it was suggested that methodological attempts to conduct qualitative research with non-human materials needs be made in the future, given that this study did not sufficiently deviate from the rather human-centered aspect by researchers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data.


keywords : curriculum implementation, Actor-Network Theory, national curriculum, class timetable, New Materialism, materiality
Student Number : 2021-22540
이 연구는 국가교육과정이 실제 학교 및 교실 현장에서 실행되는 과정을 초등학교의 학급시간표라는 물질을 중심으로 살펴보며, 국가교육과정의 실행이 인간과 비인간 사이의 어떠한 복잡한 연결 관계를 통해 이루어지는지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국가교육과정의 실행에 대한 그동안의 많은 연구는 교사라는 인간 행위자에게 과도하게 치우친 초점을 기울여왔다. 가령, 교사의 인식이나 신념, 지식, 실행 과정에서 겪은 어려움 등 교사의 내적 경험을 통해 교육과정의 실행을 이해하고자 하거나 혹은 교과서, 교육과정 연수, 학교의 관습이나 풍토 등을 교사를 둘러싼 외적 요인으로 간주하며 이들이 교사의 실행을 어떻게 촉진하거나 저해했는지 밝혀내는 일에 집중해온 것이다. 이러한 선행 연구의 흐름은 국가교육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실제적인 실천에 관심을 기울인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니지만, 국가교육과정이 오로지 교사라는 유일무이한 주체에 의해서만 실행된다는 인간 중심적인 관점을 벗어나지 못한다는 점에서 한계를 지닌다.
비단 교사뿐만 아니라 학생과 학부모, 외부 강사와 같은 다양한 인간 존재들 그리고 이들 사이를 알게 모르게 연결하고 있는 학교 공간, 책걸상, 종소리, 컴퓨터, 교육행정정보시스템 등의 비인간 존재들이 뒤얽힌 채로 이루어지는 국가교육과정의 복잡다단한 실행 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이 연구는 행위자-네트워크 이론의 관점에 기반하여 초등학교 두 학급의 사례를 질적으로 탐색하였다. 특히 국가교육과정이라는 추상적이고 일반적인 정책 문서를 교실 수업이라는 국지적이고 특수한 맥락의 교육 실천으로 변환해내는 일련의 실행 과정에서 학급시간표라는 물질이 핵심적인 연결고리의 역할을 수행한다고 보고, 해당 물질에 시선을 고정시켜 그 과정을 추적하였다. 자료 수집은 참여관찰과 면담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현지 자료를 참조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한 분석과 해석은 연구 문제에 의거하여 실시하되, 이론적 틀에 해당하는 행위자-네트워크 이론의 관점과 개념이 동원되었다.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에서 학급시간표는 어떻게 만들어지고 실천되는가?
둘째, 학급시간표가 만들어지고 실천되는 과정 속에서 인간 및 비인간 존재들 사이에 어떠한 관계적 얽힘이 나타나는가?
셋째, 학급시간표를 중심으로 본 국가교육과정의 실행 과정에서 발견할 수 있는 특징은 무엇인가?

첫 번째 연구 결과를 통해서는 연구 참여 학급인 하늘반과 바다반의 학급시간표가 한번 만들어진 후로 변화하지 않는 고정된 사물이 아니라, 학교 및 학급교육과정을 편성하는 과정, 교실 수업을 계획하는 과정, 교실 수업이 실제로 이루어지는 과정, 심지어는 모든 수업이 끝난 후에도 끊임없이 자신의 형태와 역할을 변화시키며 새롭게 생성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하늘반의 경우, 학교 및 교실 공간의 규모와 특성과 같은 비인간의 영향력 그리고 학부모, 동료 교사, 학년 부장 교사 등 교실 밖 존재들의 시선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으로서 학급시간표가 처음 등장하였다. 바다반의 경우, 학교교육과정과 시·도 교육청의 혁신학교 정책 사이의 강력한 연합에 지나치게 끌려가지 않기 위해 학급교육과정 그리고 교실 안의 삶에 집중하기 위한 전략으로서 학급시간표가 등장하였다.
이와 같이 두 교실에서 모종의 계획과 의도를 담고 만들어진 학급시간표는 때로 교사의 조력자이자 동맹군이 되어주기도 하였으나, 분홍색 종이새로 인해 빚어진 학생들 사이의 갈등, 학생의 시 한 편에서 촉발된 연쇄적인 수업 시간의 뒤틀림 등 수업 상황 속에서 벌어진 예기치 못한 인간-비인간 사이의 관계 맺기는 시간표를 교사의 의도와 전혀 다르게 행위하는 물질로 만들기도 하였다. 특히나 학기 말, 교실에서 실제로 실행된 시간표를 교육행정정보시스템 나이스에 입력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등장한 생활기록부, 교육청 감사, 학교교육과정 컨설팅 등과 같은 새로운 행위자들은 교사 – 학급시간표 – 교육과정 문서 사이의 관계를 기존과는 전혀 다른 양상으로 전환시키며 강력한 행위성을 발휘하였다. 이들은 학급시간표를 국가 및 학교교육과정에 근거하여 교사의 실천을 검열하는 증거로서 작동하도록 하였고, 그에 따라 학급시간표는 실제로 실행된 교실 수업과는 단절된 행정시스템 상의 형식적 문서로 변질되었다.
두 번째 연구 결과에 의하면, 이러한 두 교실의 시간표 생성 및 변화 과정에서 인간과 비인간은 서로 간에 구분된 선험적인 영역과 역할에 제한되지 않고 경계를 넘나들며 혼종적으로 뒤얽히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먼저 학급시간표는 그 자체로 비록 비인간 사물에 불과한 듯 보이지만, 국가교육과정을 교실 수업으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지나치지 않을 수 없는 필수통과지점이 되었으며, 특히 국가-학교-학급교육과정과 교실 수업을 연결하는 매개자로서 교육과정의 실행에 능동적으로 참여하였다. 즉, 국가교육과정의 실행에 있어 시간표는 죽어있는 사물 또는 교사에 의해 통제되고 활용되기만 하는 수동적 도구라기보다, 하나의 행위자가 되었다는 것이다.
여기서 학급시간표의 능동적인 참여란 크게 두 가지 양상으로 구분된다. 하나는 학급시간표의 네트워크를 공식적 네트워크와 비공식적 네트워크로 이분화하고, 그들 사이의 결합을 더욱 강력하게 만들며 이러한 연결 관계를 공고하게 유지시키는 방식이다. 하늘반과 바다반에서 두 교사는 모두 학기 초 학교교육과정 문서에 기재할 용도로 기준시간표라는 공식적인 시간표를 만들었으며, 학기 말에 이르러서는 국가 및 학교교육과정의 시수 편차와 운영 계획 등에 근거하여 한치의 오차도 없는 나이스용 시간표를 만들며 이를 학교 밖으로 내보내는 교육청 감사 및 컨설팅의 기초 자료로 활용한다. 하지만, 두 학급의 실제 교실 수업은 이러한 공식적인 학급시간표들과는 달리 비공식 시간표에 따라 계획되고 실천되었다. 즉, 공식적 시간표 네트워크와 비공식적 시간표 네트워크는 서로를 번역하지 못하고 이분화되어 교육 실천에 괴리를 발생시킨 것이다.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 학급시간표는 역동적으로 변화하는 교실 수업의 상황 속에서 예기치 못한 방식으로 굴절되며 끊임없이 변주하는 방식으로 국가교육과정의 실행에 참여하기도 하였다. 하늘반의 사례에서 학급시간표와 종소리의 결합은 시간표를 오히려 정해진 수업 목표의 달성을 저해하는 방식으로 행위하게 하였으며, 바다반의 교과서, 문제집, 사교육 등은 시간표를 정형화된 학급을 조장하는 존재로 만들기도 하였다. 또한, 학급시간표는 본래의 형태를 잃어버리고, 교실 수업의 상황 속에서 시시각각 다른 형태로 창발하며 국가교육과정의 실행에 이끌려가기도 하였다.
이와 같은 학급시간표의 네트워크 속에서 이 연구는 학급이라는 개념이 구획하는 특정한 시공간, 그리고 시간표가 교과 수업을 틀 짓고 배치하는 특정한 방식이 때때로 미끄러지고 요동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하늘반과 바다반의 교육과정이 실행되는 학급이라는 공간은 온라인 교사 커뮤니티, 온라인 학급 운영 플랫폼 등을 통해 가정과 학교, 학교 밖의 경계를 넘나들며 확장되었고, 학급의 시간성 또한 1년 또는 한 학년도 내로 분명하게 구분되지 않았다. 또한, 과목-시수-수업으로 연결되는 교육과정의 어셈블리지는 40분, 한 교시라는 정해진 수업의 시간을 벗어나는 교육의 순간들 그리고 교과 수업과 생활 지도 사이의 모호한 경계 등으로 인해 재배치될 수밖에 없었다.
더불어, 이러한 인간과 비인간의 얽힘에는 학교폭력, 젠더, 계층과 같은 학교 사회 안팎의 담론들이 개입하고 있었다. 학교폭력 문제와 그로 인한 학부모의 민원에 부담을 느끼는 교사들의 결합은 중간놀이와 같은 새로운 시간표의 형태가 네트워크 상에서 시도되지 못하게 하였다. 학교 사회 안팎에서 흔히 통용되는 성별에 따른 이분법적 관행과 사고들은 계획된 시간표의 실천을 조력하기도 방해하기도 하였으며, 학교 교육과 계층 이동을 둘러싼 우리 사회의 담론은 학교 생활에 대한 학생들의 사고에도 스며들어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위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탐색한 세 번째 연구 결과를 통해서는 초등학교 학급시간표를 중심으로 본 국가교육과정 실행의 특징을 논의하였다. 첫째, 학급시간표는 처방된 지침의 실행을 위해 이용되는 수동적인 도구이기만 하거나 또는 국가교육과정의 실행 과정에서 교사가 만들고 실천해야 하는 대상이기만 하지 않았으며, 관계적이고 가변적인 속성을 지니는 행위자로서 국가교육과정의 실행에 참여하였다. 그에 따라 국가교육과정이라는 정책 문서의 존재 양상은 고정되어 있을 수 없으며, 네트워크 속에서 시시각각 다른 다중성을 지니게 된다. 가령, 국가교육과정은 그것을 둘러싼 네트워크가 어떻게 형성되는가에 따라 교사가 반드시 실행해야 할 지침이자, 교사의 실천을 검열하기 위한 준거이자, 동시에 비공식적인 네트워크를 통해 자유롭게 피해갈 수 있는 그저 형식적인 문서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둘째, 비인간 사물인 국가교육과정 문서를 실행의 대상, 인간 존재인 교사를 실행의 주체로 설정하는 선험적인 관계의 규정이 사실상 불가능해진다. 그에 따라 국가교육과정을 실행한 주체가 정확하게 누구인지, 주체의 실행에 영향을 미친 구체적인 요인이 무엇인지, 실행의 결과에 따른 책임을 누구 또는 무엇에게 물을 수 있는지 명확하게 특정하기 어려워진다. 말하자면, 개별 주체와 낱낱의 요인들을 밝혀내는 일보다 그들 사이의 상호의존성을 인정하고, 관계의 양상을 파악하는 일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셋째, 국가교육과정은 국가-학교-교실로 그 범위를 좁혀가며 실행된다기보다 교실-학교-사회의 경계를 넘나들며 역동적으로 실행되며, 각각의 영역에서 등장하고 참여하는 존재들은 인간과 비인간을 가리지 않는다. 즉, 국가교육과정의 실행을 수직적이기보다 수평적으로. 수목 모델이 아닌 리좀 모델로, 확산의 모델이 아닌 번역의 모델로 이해할 필요가 있으며, 오직 인간들 사이의 사회적인 관계만이 아닌 물질과 함께 이루어내는 사회-물질적 네트워크로 바라보아야 한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행위자-네트워크 이론을 기반으로 국가교육과정의 실행을 탐색하며, 인간과 비인간의 관계 맺기 및 얽힘의 양상을 적극적으로 드러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이를 통해 국가교육과정의 실행에 대해 본 연구가 시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교육과정의 존재 양상과 성격, 역할 등을 무언가 하나로 고정시키거나 또는 선험적으로 규명하고자 하는 시도보다도, 그것이 실제로 속해 있는 네트워크 속 인간과 비인간의 관계를 세밀하게 추적하여 지도화(mapping)하는 과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앞서 살펴보았듯, 정책 실행의 네트워크에서 정책은 그 자체로 다중적으로 존재하며, 그것의 실제적인 영향력 즉 행위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의 구축과 변화 양상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둘째, 오직 교사만이 국가교육과정을 실행하는 유일무이한 주체가 아닐 수 있음을 고려해야 한다. 교사의 행위를 이해하는 일은 물론 중요하지만, 교육과정의 실행은 교사 개인이 소유한 역량과 지식, 교사의 계획과 의도에 따라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며, 때로는 네트워크의 구축 양상에 따라 나이스 행정정보시스템, 외부 강사 등 주변적 요인으로 치부하였던 행위자들이 더욱 강력한 행위성을 발휘할 수도 있다.
셋째, 국가교육과정의 실행을 국가-학교-교실로 이어지는 순차적이고 선형적인 형태가 아니라, 학교와 사회를 넘나들며 언제 어디서든 예기치 못한 인간, 비인간, 심지어는 담론이 함께 끼어들어 작동하는 사회-물질적 네트워크로 이해하며 접근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궁극적으로 국가교육과정은 어떻게 실행되는가를 이해하기 위해 대안적인 접근 방식을 제시하고자 하는 시도로서 이루어졌다. 하지만, 초등학교의 학급시간표라는 특정한 물질에만 시선을 고정시킴으로써 국가교육과정의 실행이라는 실로 방대한 어셈블리지 중 극히 일부만을 드러내었다는 점에서 한계를 지닌다. 또한, 연구 방법의 측면에서 데이터에 대한 연구자의 분석과 해석이라는 다소 인간 중심적인 측면을 벗어나지 못하였다는 점에서, 추후 비인간 물질과 함께 질적연구를 수행하는 방법론적 시도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주요어 : 교육과정 실행, 행위자-네트워크 이론, 국가교육과정, 학급시간표, 신유물론, 물질성
학 번 : 2021-22540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211020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8297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