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허구 세계 구성 중심의 소설 이해 교육 연구 : A Study on the Novel Understanding Education Focusing on Readers Building a Fictional World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호창수

Advisor
윤대석
Issue Date
2024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소설 이해허구성허구 세계가능 세계유니버스재중심화세계 체계미메시스시공간참여자담론서사성핍진성플롯학습 독자소설 교육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범대학 국어교육과(국어교육전공), 2024. 2. 윤대석.
Abstract
이 연구는 소설 읽기를 허구 세계 구성 행위로 정의하고, 독자의 소설 읽기 양상을 분석하여 허구 세계 구성 중심의 소설 이해의 원리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 나아가, 이 원리를 기반으로 허구 세계 구성 중심의 소설 이해 교육을 설계한다. 독자는 소설을 특정한 시공간에서 누군가의 목소리로 이루어진 하나의 세계로 인식한다. 독자가 허구로 된 소설을 통해 삶의 의미를 발견한다거나 삶에 대한 성찰이 가능한 것은, 내가 사는 세계와는 또 다른 세계가 있을 수 있다는 감각에서 비롯한다. 즉 소설을 읽는다는 것은 허구적 대상과 독자의 인식이 혼재되는 경험이며, 이는 곧 허구 세계와 현실 세계가 서로 겹치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세계 간의 겹침에 주목하며, 그 의미를 인지주의 서사학을 기반으로 규명하고자 한다.
독자의 소설 읽기 과정에서는 다양한 가능 세계가 작동한다. 먼저, 소설 속 인물이 등장하여 사건이 일어나게 되는 이야기 가능 세계와 이야기 가능 세계 중에서 특히, 서술자로 인식되는 자를 통해 서술 행위가 발생하는 텍스트 가능 세계가 있다. 또한, 소설과는 별개로 독자가 현실을 매개로 재구성해 내는 독자 가능 세계가 그것이다. 이때 독자가 마주하게 되는 하나의 가능 세계는 다시 여러 하위 양상으로 나뉘어 인식된다. 가령, 독자 가능 세계라는 것은 때로는 실재하는 사실로서 독자의 현실 세계일 수도 있고, 독자가 과거에 직접 체험한 것으로 기억하는 독자의 경험 세계일 수도 있다. 반면, 독자의 상상이나 반사실적 진술을 통해 추론되는 것으로서 독자의 대안 세계로 인식될 수 있다. 이렇게 다중의 가능 세계는 독자가 속한 하나의 현실 세계를 중심으로 그 주위를 둘러싸고 있는 구성적 결합체로서 인식된다. 즉 독자의 현실 세계, 경험 세계, 대안 세계가 하나의 망처럼 얽히게 되고, 이러한 결합체를 독자 유니버스라는 확장된 세계 개념으로 정의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이야기 가능 세계와 텍스트 가능 세계도 각각 인물과 서술자를 중심으로 한 현실·경험·대안 세계가 하나의 망을 이루어 결합하며, 각각 이야기 유니버스, 텍스트 유니버스로 구성된다. 이렇듯 소설 읽기 과정에서 독자가 구성한 허구 세계는 각각의 유니버스가 중층적으로 조직되는 것을 의미하며, 독자는 이러한 다중 유니버스의 구도 속에서 소설 이해를 시도하게 된다.
이 연구는 독자가 다중 유니버스를 구성하는 과정에서 작동시키는 메타인지를 구체적인 연구 문제로 설정한다. 소설 읽기에서 독자가 구성하는 가능 세계는 사실이라는 굴레를 벗어나 수많은 관념과 의식을 생성하는 기제가 된다. 독자는 일반적으로 자기의 세계 체계를 규정하는 독자 유니버스를 기반으로 낯선 세계에 대한 이해를 시도하는데, 이러한 이해는 재중심화를 통해 이루어지며 최소 이탈의 원리에 입각한다. 재중심화란 독자가 가능 세계를 구성할 때, 낯선 세계와의 공유 지점을 만들어 내는 것을 의미한다. 이 공유 지점은 독자가 이미 알고 있는 것, 혹은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의 것을 기반으로 하며, 이러한 세계 구성 방법을 최소 이탈의 원리라고 정의한다. 독자의 재중심화를 통해 이루어지는 허구 세계 구성은 인지주의적인 사고의 작동이며, 독자와 소설의 서사 사이에서 작동하는 소통 구도로 정의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이 소통의 구도를 리쾨르의 논의를 빌려 삼중의 미메시스에 대입하여 개념화를 시도한다. 소설 교육론의 일반화된 방법론인 삼중의 미메시스 구도는, 최신의 서사학 이론을 통해 도출한 이 연구의 개념과 원리를 소설 교육론의 내용으로 전환하고 문학 교실에 적용하기 위한 실질적 기준을 제공한다.
한편, 이 연구에서는 허구 세계 구성 중심의 소설 이해의 전제를 마련하기 위하여 소설 텍스트, 소설 읽기, 소설 이해의 부면을 나누어 각각의 특성에 주목한다. 먼저, 허구 세계 구성은 소설 텍스트가 지닌 허구성과 자기 반영성을 기반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허구 세계를 구성하는 것은 소설 읽기를 허구와 사실 사이의 변증법적 실천으로 바라보는 것이며, 이때에는 독자의 허구적 인식 능력이 작용한다. 또한, 허구 세계 구성을 중심으로 소설을 이해하는 것은 독자의 서사적 사고가 작동한 결과이기도 하다. 이러한 전제를 기반으로 허구 세계 구성 중심의 소설 이해의 수행구조를 제시한다. 이는 독자가 소설의 근본적인 속성인 서사성, 핍진성, 플롯과 연관하여 각각의 유니버스에서 재중심화를 수행한다는 점에 주목한 것이다. 먼저, 독자는 소설이 지닌 서사성을 바탕으로 사건에 주목하여 이야기 유니버스를 도출하며, 이는 인물이 행동하고 진술하는 시간과 공간의 문제에 영향을 받는다. 허구 세계의 시공간은 개개의 인물에 따라 중층적으로 존재하고, 독자는 복수적 시공간을 하나의 이야기 유니버스 안으로 포섭한다. 이러한 작용을 이야기 유니버스와 시공간의 중층성이라는 수행구조로 제시한다.
또한, 소설에는 여러 참여자가 있고, 그중 하나의 참여자가 주도적인 목소리로 사건의 전모를 들려준다. 독자는 참여자의 목소리에 대한 감각을 통해 텍스트 속에 알려진 것과 은폐된 것을 판단하며, 이를 통해 소설의 핍진성이 도출된다. 이 과정에서 독자와 참여자 사이의 복수적 소통 위치가 확보되며, 이것을 텍스트 유니버스와 참여자의 목소리라는 수행구조로 제시하게 된다. 한편, 독자는 소설의 플롯을 통해 허구 세계의 담론을 도출한다. 이때 독자는 자기 유니버스에 내재하는 지배 논리를 기반으로 하여 그 담론에 대한 이해를 시도한다. 이것을 독자 유니버스와 담론의 체계라고 하며 마지막 수행구조로 설정한다. 이 세 가지 수행구조는 독자의 허구 세계 구성 중심의 소설 이해 양상을 분석하기 위한 틀이자, 더 나아가 허구 세계 구성 중심의 소설 이해 원리 도출 및 교육 설계를 위한 기준이 된다.
위의 논의를 기반으로 전문 독자의 소설 이해 양상을 분석하여 허구 세계 구성 중심의 소설 이해의 원리를 모색한다. 먼저, 독자는 소설 언어에 대한 감각을 통해 허구 세계를 발견하는 것으로서 이해를 개시한다. 이는 텍스트 대상화를 통해 표지를 생성하는 것과 일상 언어와의 대조를 통한 공진으로 이루어진다. 이어서 독자는 시공간의 질서를 포착하며, 허구 세계를 재현한다. 이때에는 이야기 유니버스에서 크로노토프를 포착하고 텍스트 유니버스의 중층적 구조를 도출하며, 독자 유니버스와의 조응을 통해 소설의 서사성이 검토된다. 또한, 독자는 참여자의 견해를 토대로 허구 세계를 판단한다. 독자의 판단 작업은 이야기 유니버스의 중개자를 탐색하는 것과 그 중개자를 텍스트 유니버스의 서술자로 인식하고, 그 위상을 조정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 과정에서 독자는 자기 유니버스와의 접점을 통해 소설의 핍진성을 추론한다. 한편, 독자는 담론을 도출하고 이를 통해 허구 세계를 성찰한다. 이러한 양상은 이야기 유니버스 내의 주요 사건을 선택하고, 텍스트 유니버스의 인과를 조직한 후 그 개연성을 확인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 과정에서 독자는 자기 유니버스와의 대별을 통해 소설의 플롯을 재구성한다. 이와 같은 전문 독자의 읽기 양상을 종합하여 허구 세계 구성 중심의 소설 이해의 원리를 도출한다. 이는 소설 표현 기법에 주목한 세계 발견적 읽기, 소설 서사성 체험을 통한 세계 재현적 읽기, 소설 핍진성을 매개로 한 세계 판단적 읽기, 소설 플롯 재조직을 통한 세계 성찰적 읽기로서 제시된다.
마지막으로 위의 원리를 바탕으로 교육을 설계하기 위하여 목표 대상인 학습 독자의 소설 이해 양상을 분석한다. 이때 전문 독자의 읽기 양상을 기반으로 한 소설 이해 원리는 독서 경험이 부족한 학습 독자에게 곧바로 전이될 수는 없다는 점을 고려한다. 따라서 학습 독자의 소설 이해 양상에서의 한계를 분석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교육적 시사점을 마련한다. 이렇게 제안된 허구 세계 구성 중심의 소설 이해 교육 방법은 앞서 제시한 원리를 학습 독자에게 적합하도록 변형한 것으로서 교수학적 내용 지식(PCK)에 해당한다. 구체적으로는 세계 발견적 읽기를 통한 허구 표상의 형성, 세계 재현적 읽기를 통한 정보소 생성, 세계 판단적 읽기를 통한 의미소 전환, 세계 성찰적 읽기를 통한 해석소 도출이 그 내용이 된다. 이러한 교육 방법을 통해 학습 독자는 세계 발견 능력, 세계 재현 능력, 세계 판단 능력, 세계 성찰 능력을 신장하게 되며, 소설 이해를 위한 자기 유니버스의 재형상화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허구 세계 구성 중심의 소설 이해 교육은 학습 독자의 능동적인 소설 읽기를 통해 서사적 사고를 신장하게 한다는 점, 학습 독자가 자기 삶을 주체적으로 조망하게 한다는 점, 소설 읽기의 인지주의적 전환을 시도하는 것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이 연구는 양상의 분석과 이론화, 교육에의 적용과 실제를 모두 다루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으며, 이를 통해 소설 교육의 새로운 위상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주요어 : 소설 이해, 허구성, 허구 세계, 가능 세계, 유니버스, 재중심화, 세계 체계, 미메시스, 시공간, 참여자, 담론, 서사성, 핍진성, 플롯, 학습 독자, 소설 교육
학번 : 2020-3185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reading fiction as an act of building a fictional world and to derive a principle of novel-understanding method focusing on reader's building a fictional world by analyzing the reader's reading pattern. In addition, based on this principle, this study intends to redesign the education for novel-understanding focusing on reader's building a fictional world. The reader perceives a novel as a world made up of someone's voice in a specific time and space. The reason why a reader can discover the meaning of life or reflect on life through a novel stems from the sense that there may be a different world from the one in which I live. In other words, reading a novel is a mixture of fictional objects and readers' experiences, which means that the fictional world and the actual world overlap each other. This study focuses on the overlap between these worlds and tries to clarify its meaning based on the cognitive-narratology.
Various possible worlds work in the reader's novel reading process. First, there are the the story possible world in which a character in a novel appears and an event occurs, and the textual possible world in which a narrative action occurs, especially through a person recognized as a narrator. In addition, apart from the novel, it is the reader's own possible world in which the reader rebuilds it through reality. At this time, one possible world that the reader encounters is again divided into several sub-patterns and recognized. For example, the reader's own possible world may sometimes be the reader's actual world as a real fact, or the reader's experience world that the reader remembers experiencing directly in the past. On the other hand, it can be recognized as a reader's alternative world as inferred through the reader's imagination or counterfactual statements. In this way, the multiple possible worlds are recognized as a combination surrounding the one actual world to which the reader belongs. In other words, the reader's actual world, experience world, and alternative world are intertwined like a network, and this combination can be defined as an extended world concept called the reader's universe. Similarly, the story possible world and the textual possible world are combined into a network of actual, experience, and alternative worlds centered on characters and narrators, respectively, and can be composed of story universes and textual universes respectively. As such, the fictional world build by the reader in the process of reading the novel means that each universe is organized in layers, and the reader attempts to understand the novel in the structure of the universe.
This study sets meta-cognition as a research problem that works in the process of building multiple universes when a reader reads a novel. The possible world that the reader builds in reading a novel becomes a mechanism to create numerous ideas and consciousness beyond the confines of fact. In general, the reader attempts to understand the unfamiliar world based on the reader universe that defines his or her world system, which is achieved through recentering and is based on the principle of minimal departure. Recentering means creating a point of sharing with an unfamiliar world when a reader builds the possible world. This point of sharing is based on what the reader already knows, and this method of building a world is defined as the principle of minimal departure. The building a fictional world made through the reader's recentering is the operation of cognitive thinking and can be defined as a communication structure that operates between the reader and the narrative of the novel. In this study, this communication structure is conceptualized by borrowing Ricoeur's discussion and substituting it into a triple mimesis. This triple mimesis functions as a framework for converting the principle of novel-understanding derived through narratology into the content and specific educational method of novel education theory.
On the other hand, this study focuses on each characteristic by dividing the side surfaces of novel text, novel reading, and novel understanding to prepare a premise for novel understanding focusing on reader's building a fictional world. First, the building a world is based on the fictionality and self-reflection of the novel text. In addition, what constitutes the fictional world is to view reading novels as a dialectical practice between fiction and facts, and at this time, the reader's fictional recognition ability works. In addition, novel understanding focusing on reader's building a fictional world is the result of the reader's narrative thinking. Furthermore, this study presents the performance structure of novel understanding focusing on reader's building a fictional world based on the general discussion of cognitive narrative. This focuses on the fact that the reader performs the re-interpretation in each universe in relation to the fundamental attributes of the novel, narrativity, verisimilitude and plot. First, the reader draws a story universe by paying attention to the event based on the narrativity of the novel, which is affected by the problem of time and space in which the character acts and makes a statement. The spatiotemporality of the fictional world exists in layers according to individual characters, and the reader embraces multiple spatiotemporality into a single story universe. This action is presented as a performance structure called the story universe and the inter-layerality of spatiotemporality.
In addition, there are several participants in the novel, and one of them tells the whole story of the event with a leading voice. The reader judges what is known and hidden in the text through the sense of the participant's voice, and through this, the verisimilitude of the novel is derived. In this process,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positions between the reader and the participant are secured, and this is presented as a performance structure of the textual universe and the voice of the participant. Meanwhile, the reader derives the discourse of the fictional world through the plot of the novel. At this time, the reader attempts to understand the discourse based on the dominant logic inherent in his universe. This is called the reader universe and discourse system and is set as the last performance structure. These three performance structures are a framework for analyzing the understanding patterns of novels focusing on reader's building a fictional world of the reader, and furthermore, serve as a standard for deriving the principles of novel understanding focused on the building a fictional world and designing education.
Based on the above discussion, we analyze the aspects of novel understanding of professional readers to seek the principles of novel understanding focusing on reader's building a fictional world. First, the reader begins to understand by discovering the fictional world through a sense of novel language. This consists of creating a cover through text objectification and resonance through contrast with everyday language. Subsequently, the reader captures the order of spatiotemporality and representation the fictional world. At this time, the narrativity of the novel is reviewed through capturing the chronotope in the story universe, deriving the inter-layered structure of the textual universe, and coordination with the reader's own universe. In addition, the reader judges the fictional world based on the view of the participants. The reader's judgment work is done by searching for an intermediary of the story universe, recognizing the intermediary as a narrator of the textual universe, and adjusting its phase. In this process, the reader deduces the verisimilitude of the novel through the contact point with his or her own universe. On the other hand, the reader derives a discourse and reflects the fictional world through it. This aspect is achieved by selecting the kernels in the story universe, organizing the cause and effect of the textual universe, and then confirming the probability. In this process, the reader reconstructs the plot of the novel through a broad distinction from his or her own universe. Through such reading patterns of professional readers, the principle of novel understanding focused on the building a fictional world is derived. This is presented as world-discovery reading focusing on novel expression techniques, world-representative reading through novel narrativity experiences, world-judgmental reading through verisimilitude of novel, and world-reflective reading through novel plot reorganization.
In order to design a novel understanding education focused on the building a fictional world based on the principles of novel understanding established in this way, the target learning readers' understanding pattern is analyzed. At this time, considering that the principle of novel understanding based on the reading patterns of professional readers cannot be directly transferred to learning readers who lack reading experience, the delay factors of the learning readers' understanding patterns are analyzed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are prepared to overcome them. The proposed method of education for novel understanding focusing on reader's building a fictional world is a transformation of the previously suggested principles to suit the learning readers and corresponds to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CK). Specifically, the contents include the formation of fictional representations through world-discovery reading, creation of informant through world-representative reading, transformation of sememe through world-judgmental reading, and derivation of interpretant through world-reflective reading. Through this educational method, learning readers increase their world discovery ability, world representation ability, world judgment ability, and world reflection ability, and successfully understand novels by contextualizing their own universe.
Novel understanding education focusing on reader's building a fictional world is significant in that it enhances narrative thinking through active novel reading by learners, that learners see their lives independently, and that it attempts a cognitive transformation of novel reading. It is also meaningful in that it is a work that secures a new status in novel education through practical principles and methods and lays the foundation for novel interpretation education.


Key Words : novel understanding, fictionality, fictional world, possible world, universe, recentering, world-system, mimesis, spatiotemporality, participants, discourse, narrativity, verisimilitude, plot, learning reader, novel education
Student Number : 2020-31859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211133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8221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