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사회와 새 정부의 산업정책 방향 : Digital Transformation Society and New Administrations Industrial Policy Direction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Authors
- Issue Date
- 2017
- Publisher
- 서울대학교 연론정보연구소
- Citation
- 언론정보연구, Vol.54 No.4. pp. 35-66
- Abstract
-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은 개인, 조직 및 사회 전체에 디지털화가 초래한 총제적인 영향으로볼수있다. 본 연구는 문헌 분석을 통해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이 가져올 소비, 기업 및 사회에 미치는 영향과 변화를 고찰하고, 진화경제성장이론 및 혁신과 성장에 관한 경제학적 접근, 한국의 혁신 산업정책과 국가혁신체제의 변화를 고찰함으로써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시대에 새 정부가 고려해야 할 산업정책의 방향을 제시한다.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시대에는 이종 기술 및 이종 산업 간의 융합이 발전 전략의 핵심이라는 점을 고려한다면, 한국의 경우 후발 주자가 선발 주자의 경로를 답습하여 추격하는 단계에서 벗어나 선도로 진입하거나 새로운 경로를 창출하는 융합에 기반한 탈추격형(post catch-up) 발전 전략이 필요한 상황이며, 이에 따라 한국의 국가혁신체제도 모방을 통한 추격 단계를 넘어선 탈추격형 국가혁신체제로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Digital transformation is understood as the total effects on individuals, organizations and societies which digitalization process induced. Through literature review,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and changes on consumption, firms and society, which digital transformation will bring about. Also, through the examination of evolutionary economics and other economics theories on innovation policies and National Innovation Systems, this study suggests new administrations industrial policy direction.
- ISSN
- 1738-6195
- Language
- Korean
Item View & Download Count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