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근본주의 개념에 대한 발전적 재검토 : Revisiting the Concept of Fundamentalism: Focusing on Changes in Equilibrium Relationships
균형 관계의 변화를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유주영

Advisor
이성청
Issue Date
2024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근본주의근대성세속화상호 작용미국 개신교이집트 무슬림 형제단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인문대학 종교학과, 2024. 8. 이성청.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근본주의와 사회 질서 간의 균형 관계 변화에 초점을 맞춰 글로벌 근본주의(global fundamentalism) 개념을 보완하기 위한 모델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학계에서 시도해 온 근본주의의 정의를 분석하고, 근본주의 프로젝트(Fundamentalism Project)와 익스트림 빌리프(Extreme Belief)의 주요 이론 모델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기존 근본주의 개념이 종교의 주변화에 대한 반작용, 절대성, 이원론의 세 특징으로 정리됨을 보였다. 그러나 이러한 이해는 미국 개신교를 기준으로 형성되어 다른 지역과 종교 전통에 적용하는 데 한계를 보인다. 또한, 근본주의라는 용어의 객관성 상실과 실체적 정의 중심의 설명 방식이 시공간적 맥락을 고려하지 못한다는 문제점도 제기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근본주의 개념이 세계 각지에서 일어나고 있는 급진적인 종교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여전히 유효함을 주장한다.
근본주의 개념의 보완을 위해 본 연구는 근본주의와 사회 질서 간 균형의 변화를 중심으로 근본주의를 이해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를 위해 균형 변화 모델(Equilibrium Change Model)을 대안적 프레임으로 제시한다. 균형 변화 모델은 균형 관계를 갈등 수준에 따라 불화 인지, 갈등 표출, 충돌과 파국 등 세 단계로 나누고 근본주의와 사회 질서 간 상호작용의 변화를 설명한다. 가장 낮은 상태의 단계인 불화 인지는 근본주의자들과 사회 질서 사이에 어느 정도 이질감이 존재하지만, 갈등이 가시화되지 않은 상태이다. 중간 갈등 단계인 갈등 표출은 사회 질서의 변화가 근본주의자들에게 위협으로 인지되기 시작하고 양측 관계에 균열이 생기며 갈등이 표면화되어 근본주의적 경향이 등장하는 단계이다. 갈등 최상위 단계인 충돌과 파국은 양측의 갈등 수준이 가장 높고 균형이 완전히 무너져서 서로의 공존을 인정하지 않으며 전복적인 행동을 수행하게 되는 단계로, 근본주의적 경향이 가장 심화되는 상태이다.
본 연구는 미국 개신교 근본주의와 이집트 무슬림 형제단(Jamʿiyyat al-Ikhwan al-Muslimin)을 적용하여 균형 관계 모델을 설명한다.구체적으로 이들 근본주의 그룹이 사회 질서와 맺어온 상호작용의 균형 변화를 분석하여 이들의 근본주의적 경향이 어떻게 역동적으로 변화해 왔는지를 설명한다. 이를 통해 서구 중심적 관점의 근본주의 이해와 실체적 정의의 한계를 극복하고, 관계 역학에 초점을 맞춘 근본주의 개념화를 시도하는 것이 본 연구의 의의이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propose a model to complement the concept of global fundamentalism by focusing on the changing equilibrium between fundamentalism and social order. To this end, the thesis analyze the definitions of fundamentalism that have been attempted in the literature and critically examine the main theoretical models of the Fundamentalism Project and Extreme Belief to show that the existing concept of fundamentalism is organized by three characteristics: reaction to the marginalization of religion, absolutism, and dualism. However, this understanding is shaped by American Protestantism, which limits its applicability to other regions and religious traditions. In addition, the loss of objectivity of the term fundamentalism and the failure to consider the spatial and temporal context of the explanation centered on an essentialist definition were also raised. Nevertheless, this thesis argues that the concept of fundamentalism remains valid to explain the phenomenon of radicalized religion in various parts of the world.
To complement the concept of fundamentalism, this thesis seeks to understand fundamentalism in terms of shifts in the equilibrium between fundamentalism and social order. To this end, the thesis proposes the Equilibrium Change Model (ECM) as an alternative frame. The ECM explains changes in the interaction between fundamentalism and social order by dividing the equilibrium relationship into three stages based on the level of conflict: Recognition of Discord, Expression of Conflict, and Collision and Catastrophe. In the lowest stage, Recognition of Discord, there is a degree of dissonance between fundamentalists and the social order but no visible conflict. The middle conflict stage, Expression of Conflict, is when changes in the social order begin to be perceived as a threat to the fundamentalists, cracks appea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sides, conflict surfaces, and fundamentalist tendencies emerge. The top stage of the conflict, Collision and Catastrophe, is when the level of conflict is at its highest, and the balance between the two sides is completely disrupted, and they refuse to recognize each other's coexistence and engage in subversive behavior, which is when fundamentalist tendencies are most intensified.
The thesis applies the balancing relationship model to American Protestant fundamentalism and the Egyptian Muslim Brotherhood (Jamʿiyyat al-Ikhwan al-Muslimin) to illustrate how their fundamentalist tendencies have dynamically changed by analyzing the shifts in the equilibrium of their interactions with the social order. In doing so, the thesis attempt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Western-centric understanding and the essentialist definition of fundamentalism and to conceptualize fundamentalism by focusing on relational dynamics.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215868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8520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