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다비드 비냐스 소설에 재현된 아르헨티나 군사주의 연구 : Militarismo en las novelas de David Viñas
몸-정치학에 입각한 군사적 폭력의 주체·대상 분석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Authors
- Advisor
- 김현균
- Issue Date
- 2024
- Publisher
- 서울대학교 대학원
- Description
-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인문대학 서어서문학과, 2024. 8. 김현균.
- Abstract
- Esta tesis analiza el militarismo en las novelas de David Viñas desde la perspectiva de body-politics. Si bien la mayoría de las investigaciones previas reconocieron a Viñas por su contribución a la revista Contorno y por su crítica literaria, sus obras narrativas han recibido comparativamente menos atención académica. Sin embargo, para comprender plenamente la trayectoria intelectual de Viñas, quien consideraba la literatura argentina como la producción de la realidad política e histórica, el análisis de su obra novelística resulta imprescindible. Este estudio investiga la representación de la historia argentina en sus tres novelas, Los dueños de la tierra (1958), Hombres de a caballo (1967) y Cuerpo a cuerpo (1979), bajo el prisma del militarismo, que se define como la intervención de las fuerzas armadas en la esfera civil. Cada una de estas obras aborda momentos históricos cruciales caracterizados por la intervención militar en Argentina: Patagonia rebelde, Operación Ayacucho y la dictadura militar de Videla (o guerra sucia argentina). Con estas obras que tienen la campaña militar como motivo principal, el autor interpreta la historia argentina como una secuencia de intromisiones y retrocesos militares dentro y fuera del ámbito político marcado por recurrentes golpes de Estado, desde la independencia.
En cuanto al militarismo en Argentina, Guillermo O'Donnell lo interpreta desde un ángulo socioeconómico con el concepto del Estado Burocrático-Autoritario. Este teórico argumenta que el ejército argentino mantenía el orden social mediante la represión política de la clase obrera. Por otro lado, Samuel Finer y Samuel Huntington sugieren que el ejército argentino actuaba como mediador entre diversos intereses sociales. Viñas, por su parte, introduce el concepto de roquismo, que viene del nombre de Julio A. Roca, para abarcar tanto factores políticos como económicos. La Conquista del Desierto, liderada por Roca, fue una operación militar que realizó la visión política de los intelectuales de la Generación de 80, herederos de Domingo F. Sarmiento y su perspectiva ideológica, civilización y barbarie. Al mismo tiempo, esa campaña benefició a los latifundistas de Patagonia con la expropiación de la tierra de los indígenas. Viñas designa este evento histórico como la génesis del militarismo argentino y lo recrea en su obra literaria con diversas variaciones.
En las tres novelas, el ejército se erige como civilizador y estigmatiza a sus enemigos como barbarie. La intervención de las fuerzas armadas que se configura en forma de la conquista de la barbarie, siguiendo la dicotomía de Sarmiento, sugiere que la violencia se encuentra arraigada en el núcleo de la relación cívico-militar en la narrativa de Viñas. Para analizarla, este estudio se centra en la utilización del cuerpo de los personajes como el locus donde se manifiesta la violencia. En las obras de Viñas, la representación del cuerpo homogeneizado del comandante funciona como la metáfora del poder militar. A través de la expansión metafísica de este cuerpo, el autor simboliza la intromisión del ejército al ámbito civil. En contraste, Viñas, en Los dueños de la tierra, utiliza una narración que proyecta la imagen del animal sobre los cuerpos de las víctimas ─indígenas, trabajadores, inmigrantes y civiles─ para contraponerlo con el cuerpo homogeneizado del militar. Con este tipo de narración, Viñas representa los cuerpos subyugados por los militares como la barbarie en Patagonia que es caracterizada como los espacios vacíos o la naturaleza sin dueño.
Las dos modalidades de resistencia a la violencia se examinan también con el cuerpo del personaje. La primera desafía la identidad masculina tradicional del soldado, mientras que la segunda busca restaurar la dignidad de las víctimas silenciadas. En Hombres de a caballo, Viñas muestra la caída de los militares que se autodenominaron guardianes de la civilización en Argentina, al asociar la imagen de barbarie y feminidad con sus cuerpos masculinos y machistas que se consideraba el modelo ideal del soldado. En Cuerpo a cuerpo, Viñas emplea el lenguaje y la escritura como medios para reconstruir metafóricamente los cuerpos destruidos y reinterpreta el concepto de odio como una herramienta de resistencia contra el militarismo.
본고는 다비드 비냐스 소설에 재현된 군사주의를 몸-정치학의 관점에서 분석한다. 기존 연구는 비냐스를 《꼰또르노》의 필진 혹은 비평가로서 조명했을 뿐, 작가로서 그가 보여준 면모에 대해서 다루지 않았다. 그러나 아르헨티나 문학을 정치적 현실 및 역사의 산물로 해석한 비냐스를 작품에 대한 분석 없이 비평 활동만으로 이해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본고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대지의 주인들』, 『말 위의 남자들』 그리고 『몸에는 몸으로』에 재현된 아르헨티나 역사를 군사주의, 즉 민간 영역에 대한 군의 개입이라는 관점에서 분석한다. 세 편의 소설은 각각 파타고니아 반란, 아야꾸초 작전, 비델라의 군부 독재라는 역사적 사건을 다룬다. 군사작전이 모티프로 등장하는 작품을 통해 비냐스는 아르헨티나 역사를 독립 및 건국 이래로 끊임없이 쿠데타를 일으켜왔던 군의 정치적 진입 및 후퇴로 해석했다.
종속이론가 기예르모 오도넬은 아르헨티나 군사주의를 관료주의적 권위주의 모델을 통해 사회경제적 관점에서 분석한 바 있다. 오도넬에 따르면, 아르헨티나 군은 노동 계급의 정치 참여를 억제함으로써 사회 안정과 경제 성장을 유지시켰다. 한편, 군사사회학자 새뮤얼 파이너와 새뮤얼 헌팅턴은 경제 발전으로 인해 계층 이동이 증가하고 하층민의 정치 참여가 확대된 상황에서 아르헨티나 군이 사회 내 다양한 이해관계를 조정하는 정치 기관의 역할을 했다고 주장했다. 비냐스의 경우, 로까주의라는 개념을 통해 정치적·경제적 요인을 모두 포괄한 분석을 보여주었다. 훌리오 A. 로까가 주도한 사막 정복은 도밍고 F. 사르민엔또의 문명과 야만 이분법을 계승한 1880년대 지식인들의 정치적 비전을 구현하는 동시에, 파타고니아 지주 계급의 경제적 이해관계를 충족시킨 군사작전이었다. 비냐스는 이 사건을 아르헨티나 군사주의의 기원으로 규정하며, 이를 통해 아르헨티나 역사에서 시작된 군의 정치 개입 양상을 자신의 작품에서 재현한다.
비냐스의 소설에서 군은 스스로를 '문명'의 대리자로 상정하고, 정치적 반대 세력을 '야만'으로 규정한다. 사르미엔또의 이분법 위에서 야만의 정복이라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군의 정치적 개입은 민군 관계의 핵심에 폭력이 자리 잡고 있음을 시사한다.본고는 비냐스의 작품에서 인물의 육체(cuerpo)가 폭력이 작동하는 공간으로 활용된다는 가정 하에 세 편의 소설에 재현된 군사적 폭력을 가해 양상 및 이에 대한 저항의 메커니즘으로 나누어 설명한다. 비냐스는 세 작품에서 문명화 사명을 떠안은 군의 정치권력을 군인의 동질화된 육체(cuerpo homogeneizado)로 표현하고 이것의 확장을 통해 아르헨티나 군사주의를 표현했다. 이와 대조적으로 『대지의 주인들』에서 원주민, 노동자, 이민자, 여성, 민간인 남성 등 폭력의 희생자로 등장하는 인물의 육체에는 동물의 이미지가 투영된다. 이러한 서술을 통해 피해자는 파타고니아라는 주인 없는 자연에 있던 야만과 등치되며, 그 결과 스스로를 문명으로 규정한 군인에게 정복해야 할 대상으로 간주된다.
군사적 폭력에 대한 저항은 두 가지 측면에서 분석된다. 첫 번째 저항은 남성성에 기반을 둔 군인의 정체성을 전복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비냐스는 『말 위의 남자들』을 중심으로 이상적인 군인의 몸으로 간주되었던 가부장적이고 마초적인 남성의 육체에 야만과 여성의 이미지를 투영시킴으로써 아르헨티나에서 문명의 수호자를 자처한 군인들이 몰락하는 과정을 그린다. 두 번째 저항은 폭력에 노출되고 침묵을 강요당한 피해자의 권리와 육체를 복권시키는 작업을 통해 이루어진다. 비냐스는 특히 『몸에는 몸으로』에서 언어와 기록(escritura)을 통해 파괴된 육체를 소생시키는 서사를 보여주는 한편, '증오(odio)'라는 감정을 재해석해서 군사주의에 대한 저항 수단으로 제시한다.
- Language
- kor
- Files in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Item View & Download Count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