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비판적 읽기 교육 연구 : A Study on Teaching Korean Critical Reading for Vietnamese Students
논증적 텍스트에 대한 질문 구성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Authors
- Advisor
- 윤대석
- Issue Date
- 2024
- Publisher
- 서울대학교 대학원
- Description
-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범대학 국어교육과(한국어교육전공), 2024. 8. 윤대석.
- Abstract
- This study aims to propose methods for enhancing Korean critical reading skills for Vietnamese students. To achieve thi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are posed: Firstly, how do Vietnamese learners learn to read critically? Secondly, what challenges do Vietnamese learners face when critically reading argumentative texts? Thirdly, How should we organize the content and methods for teaching critical reading skills focused on argumentative texts?
In order to research the above questions, theoretically, we reviewed the critical reading process for argumentative texts. And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teaching Korean critical reading to Vietnamese students through a survey. Additionally, the results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reading tasks were collected, and the students' critical reading patterns of argumentative texts were analyzed using statistical analysis and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methods. A semi-structured interview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causes of significant reading patterns. Based on these findings, teaching and learning content and methods were then designed to improve critical reading skills for argumentative texts.
As a result of literature review, critical reading is an active process of analyzing and evaluating what you read according to certain criteria, with a skeptical attitude. A skeptical attitude entails generating a series of questions to find answers. Evaluation elements include aspects of content and structure. Evaluation criteria include clarity, accuracy, appropriateness, usefulness, and comparison with one's own background knowledge and culture. Additionally, this process extends to critical understanding based on factual and inferential comprehension.
According to the current status of learning critical reading, the majority of Vietnamese students rely on textbook reading materials for learning purposes. However, there are also learners who seek out external materials to gain new knowledge or for leisure, demonstrating a positive attitude toward reading Korean. While learners primarily use traditional print media, some are actively engaging with Internet media. Currently, teachers play a leading role in Korean reading classes, and learners exhibit an active attitude toward Korean reading and Korean reading classes. However, Vietnamese learners lack knowledge about critical reading, and their critical reading skills are not yet fully developed, even when reading in their native language. Only a few learners raise questions during the reading process, and these questions primarily focus on understanding the text content.
Vietnamese students' critical reading patterns of argumentative texts were analyzed according to reading stage and evaluation level. Firstly, although Vietnamese students performed reading preparation activities well in the pre-reading stage, they lacked accurate recognition of the significance of the pre-reading stage and did not adequately consider background knowledge elements related to the purpose of reading and structure schema.
Secondy, in the reading stage, students did not yet demonstrate the necessary skeptical attitude and failed to comprehensively analyze the text for factual and inferential comprehension. Other important factors such as evidence, structure, and the author's intention were not sufficiently examined, and the argument structure was not considered at all. In evaluative comprehension, learners were not proficient in activities such as evaluating appropriateness, thus a comprehensive evaluation of the text was not conducted. The activity of 'comparing with ones own culture' was also challenging for Vietnamese learners. Additionally, there were numerous cases where Vietnamese learners were unable to provide evidence for valid evaluation.
Thirdly, at the post-reading stage, Vietnamese students were inadequate in checking the evaluation content and tended not to express their personal viewpoints. Fourthly, while there is no statistical correlation between the pre-reading stage and factual/inferential comprehension and evaluative comprehension, the pre-reading stage plays a crucial role in activating learners' background knowledge. However, there is statistical relationship between factual/inferential comprehension and evaluative comprehension. Most learners with low levels of factual and inferential comprehension also have low levels of evaluative comprehension. In addition, most learners with a high level of factual and inferential comprehension also have a high level of evaluative comprehension.
Fifthly, learners with low factual/inferential comprehension and evaluative comprehension showed incorrect inferences and lacked objectivity and content relevance in their evaluations. Sixthly, learners with high levels of both factual/inferential comprehension and evaluative comprehension were not yet proficient in validating hypotheses, and there were instances where appropriate inferences for evaluation were insufficient.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principles and goals of teaching critical reading were established, and the content and methods of teaching critical reading for argumentative texts were constructed. The overall goal of teaching critical reading is to understand critical reading and to be able to read texts critically with a skeptical attitude, aligning with the goals of teaching Korean reading. The principles of teaching critical reading were designed as follows: 1) Create a free environment; 2) Structure the student-centered class; 3) Cultivate a skeptical attitude, 4) Demonstrate critical reading, 5) Progress the class step by step based on factual and inferential comprehension, 6) Hold discussions regularly. The content of teaching critical reading can be divided into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 And the critical reading lesson is structured into five stages based on explicit instruction.
본 연구는 베트남인 고급 학습자의 비판적 읽기 능력을 향상하기 위한 교육 방안을 마련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다루었다. 첫째, 베트남인 학습자들은 비판적 읽기를 어떻게 학습하고 있는가? 둘째, 베트남인 학습자가 논증적 텍스트를 비판적으로 읽는 과정에 어떤 문제점이 있는가? 셋째, 논증적 텍스트에 대한 비판적 읽기 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어떻게 구성해야 하는가?
위와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우선 이론적으로 비판적 읽기의 개념을 명확히 하고 논증적 텍스트에 대한 비판적 읽기 과정을 체계화하였다. 그리고 사전 조사를 통해 베트남인 학습자들이 비판적 읽기를 어떻게 공부하고 있는지를 고찰하였다. 다음에는 연구 참여자가 읽기 과제를 수행한 결과물을 수집하여, 통계분석과 질적 내용분석 방법을 통해 베트남인 학습자들의 논증적 텍스트에 대한 비판적 읽기 양상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논증적 텍스트에 대한 비판적 읽기 능력을 향상하기 위한 교수·학습 내용 및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론적 고찰에 따르면, 비판적 읽기란 읽은 내용을 검증적인 태도로 분석하고 특정 기준에 따라 평가하는 능동적인 과정이다. 여기에서 검증적인 태도는 일련의 질문을 구성하여 답을 찾는 것을 의미하며, 비판적 읽기의 요소에는 내용과 구조의 측면이 포함된다. 비판적 읽기의 기준으로 명확성, 정확성, 적절성, 효용성, 그리고 자신의 배경지식 및 문화와의 비교 등이 있다. 이 과정은 사실적 이해와 추론적 이해를 바탕으로 하여 평가적 이해로 확장된다.
학습자들이 비판적 읽기를 수행한 결과를 분석하면 학습자가 비판적 읽기를 수행할 때 직면할 수 있는 문제를 밝힐 수 있다. 하지만 이런 어려움을 설명할 수 있는 더 많은 근거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한국어 읽기 학습 방식과 비판적 읽기에 관한 학습경험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비판적 읽기 교육에서 미흡하거나 부적절한 점을 파악하고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베트남인 학습자의 비판적 읽기 현황을 조사·분석한 결과, 대다수 베트남인 학습자들은 학습 목적으로 교재의 읽기 자료를 사용한다. 그런데 새로운 지식을 얻거나 여가를 즐기기 위해 외부 자료를 찾아 읽는 학습자도 있으며, 이를 통해 한국어 읽기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학습자들이 주로 전통적인 인쇄 매체를 사용하지만, 일부는 인터넷 매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으로 확인된다. 현재 한국어 읽기 수업에서는 교사가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학습자들은 한국어 읽기와 한국어 읽기 수업에 적극적인 태도를 갖고 있다. 그러나 베트남인 학습자들은 비판적 읽기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며, 모국어 읽기 상황에서도 충분한 비판적 읽기 능력을 갖추지 못하였다. 읽기 과정에서 일부 학습자만이 의문을 제기했으며, 이러한 의문은 주로 텍스트 내용을 이해하는 데 집중될 뿐이었다.
베트남인 학습자의 논증적 텍스트에 대한 비판적 읽기 양상은 읽기 단계와 비판적 읽기 수준을 기준으로 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읽기 전 단계에서 베트남인 학습자들은 질문 구성을 통해 읽기 준비 활동을 잘 수행했지만, 읽기 전 단계의 의미에 대한 정확한 인식이 부족하고, 읽기 목적과 형식에 관한 배경지식 요소를 충분히 고려하지 않았다.
둘째, 읽는 중 단계에서는 학습자들이 비판적 읽기에 필요한 검증적인 태도를 아직 갖추지 못하고 사실적·추론적 이해에 있어서 텍스트를 총체적으로 분석하지 않았다. 근거, 구조, 저자 의도 등의 요소는 충분히 검토되지 않았으며 논증 구조는 전혀 고려되지 않았다. 평가적 이해에서 학습자들이 적절성 평가하기 활동을 잘하지 못해서 텍스트를 총체적으로 평가하는 것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자신의 문화와 비교하기 활동도 베트남인 학습자들에게 도전적이었으며, 타당한 평가를 위한 근거를 제시하지 못하는 경우도 많았다.
셋째, 읽은 후 단계에서는 베트남인 학습자들이 평가 내용을 확인하는 데 미숙하며, 개인적인 관점이나 입장을 잘 밝히지 않는 경향이 있었다.
넷째, 읽기 전 단계와 사실적·추론적 이해 및 평가적 이해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연관성이 없지만 읽기 전 단계는 학습자의 배경지식을 활성화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사실적·추론적 이해 및 평가적 이해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사실적·추론적 이해 수준이 낮은 학습자들은 대부분 평가적 이해 수준도 낮았으며, 반대로 사실적·추론적 이해 수준이 높은 학습자들은 대부분 평가적 이해 수준도 높았다.
다섯째, 사실적·추론적 이해와 평가적 이해가 모두 낮은 학습자들은 잘못된 추론을 보였고, 평가에서 객관성과 내용 관련성이 부족하였다.
여섯째, 사실적·추론적 이해와 평가적 이해가 모두 높은 학습자들은 의문을 검증하는 능력이 아직 부족하며, 평가의 논리성이 약한 경우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비판적 읽기 교육의 원리와 목표를 설정하고 논증적 텍스트에 대한 비판적 읽기 교육 내용 및 방법을 구성하였다. 비판적 읽기 교육의 총괄 목표는 비판적 읽기에 대해 이해하며, 한국어 읽기 교육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검증적인 태도로 텍스트를 비판적으로 읽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읽기 교육의 원리를 다음과 같이 고안하였다. 1) 자유스러운 환경을 조성한다, 2) 학습자를 중심으로 수업을 구성한다, 3) 회의적이고 검증적인 태도를 기른다, 4) 비판적 읽기의 시범을 보여준다, 5) 사실적·추론적 이해를 전제로 삼아 수업을 단계로 진행한다, 6) 대화나 토론을 자주 가진다.
베트남인 학습자를 위한 비판적 읽기 교육 내용은 지식, 기능, 태도로 나눌 수 있다. 지식 측면에서 교육 내용은 읽기 텍스트의 주제, 유형과 구조, 비판적 읽기의 개념 및 방법에 관한 기본 내용과 평가의 증거 제시에 관한 심화 내용으로 구성된다. 기능 측면에서는 근거 찾기, 구조 파악하기, 저자 의도 파악하기를 포함한 사실적·추론적 이해 활동, 근거의 적절성 평가하기, 구조의 적절성 평가하기, 자신 문화와 비교하기를 포함한 평가적 이해 활동과 평가 내용 정리 및 개인 관점 구성 활동에 관련한 능력을 향상한다. 이 외에 평가의 객관성, 내용 관련성, 논리성 및 의문 검증에 관한 문제점을 인식하고 극복하기 위한 심화 교육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검증적인 태도에 관한 교육 내용이 포함된다. 따라서 현시적 교수법 모형을 바탕으로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논증적 텍스트에 대한 비판적 읽기 수업을 5단계로 나누어 구성해 보았다.
- Language
- kor
- Files in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Item View & Download Count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