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재중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 현대소설의 상호문화적 읽기 교육 연구 : A Study of Intercultural Reading Instruction in Korean Contemporary Novels for Chinese Learners in China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왕효

Advisor
윤대석
Issue Date
2024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한국어교육현대소설상호문화적 읽기구성주의 문예학다성성문화적 중층성재중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범대학 국어교육과(한국어교육전공), 2024. 8. 윤대석.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pedagogical contents and methods to enhance Chinese learners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and other members of the community through intercultural reading of Korean contemporary novels based on the multiplicity of Korean novels and learners cultural interlayers.
Korean literature education for Chinese learners of Korean in China often focuses on the heterogeneity between Korean and Chinese cultures or the homogeneity of Chinese learners, with little exploration of the cultural diversity that exists among Chinese learners who are members of the same community and placed in the same sociocultural context. Starting from these concerns, this study focuses on the polyphony of contemporary fiction and the cultural layering of learners,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learners with layered cultures constructing multiple textual meanings through their interaction with polyphonic fiction texts and understanding the cultural diversity embedded in them through interactions among learners.
To this end, based on constructivist literary theory, this study first considers the plurality, layering, openness, relationality, and communicativity of cultures in intercultures, and reconceptualizes the intercultural literary reading behavior of Chinese learners in the same sociocultural context as a literary reception process that presupposes mutual respect in the literary communication system, in which the reading subjects organize communication through interaction with the text, and secures the empathy zone and socially regulates the communication of the reading subjects through interaction between the reading subjects in the same sociocultural context. In addition, this study theoretically examined the possibility of understanding learners diverse cultures through intercultural reading of polyphonic contemporary novels.
Based on the above discussion, Chapter III discusses the intercultural reading of Korean contemporary novels by advanced Chinese learners based on the findings of a survey of Chinese learners in Korea.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intercultural reading in Chapter II,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divided into communicative construction based on linguistic knowledge, cultural understanding based on intercultural homogeneity and heterogeneity, and cultural understanding through communication in terms of linguistic dimensions, cultural dimensions, and interaction between readers in the process of personal meaning construction. In Section 1, we examined learners construction of textual meaning based on linguistic knowledge and the discovery of cultural elements in this process. In Construction of linguistic meaning based on linguistic knowledge, we examined learners construction of textual meaning according to two cognitive directions of constructivist literary theory: upward cognitive processing manipulation derived from the text and downward cognitive processing manipulation derived from the readers cognitive awareness. In Discovery of cultural elements, we analyzed the discovery of sociocultural backgrounds, which are product culture, performance culture, perspective culture, and complex culture, in the text in relation to learners experiences. Then, in Section 2, divided into understanding other cultures and reawareness of self-culture, we analyzed the patterns of relativization of self-culture through distance and discovery of self-cultural potential through perspective change in understanding other cultures based on intercultural homogeneity and heterogeneity and relativization of self-culture through distance in re-awareness of self-culture based on intercultural homogeneity and heterogeneity. Finally, in Section 3, we examined the aspects of cultural understanding through communication between learners: Reconstructing text meaning through communication examined the reconstruction of both text information and interpretation through communication with other learners, and Understanding culture through the production of personal perspectives analyzed the aspects of cultural understanding through organizing personal perspectives through interaction and exposure to other learners personal perspectives.
Chapter IV presents the premises, goals, contents, and methods of intercultural reading education of Korean contemporary novels for Chinese learners based on the experimental design of Chapter III. First, the premise of intercultural reading education of Korean contemporary novels analyzed and summarized the limited aspects of intercultural reading from the four aspects of meaning construction, cultural understanding, understanding culturality through communication, and experimental design due to insufficient knowledge, and drew educational implications based on them. Based on these premises, the goals of intercultural reading education of Korean contemporary novels are fostering the ability to construct other cultures, cultivating cultural consciousness and self-cultural reflection, and fostering intercultural attitudes, and the content of intercultural reading education of Korean contemporary novels is described in Section 3 as recognizing other cultures through cultural comparison, Reflection on self-culture and other culture, and Individualization of cultural understanding, and in Section 4, the method of intercultural reading education of Korean contemporary novels is presented as Activation of background knowledge for text meaning construction, Cooperative learning activities for interaction among learners, and Reformulating and expressing personal perspective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theoretically examined the possibility of understanding the diverse cultures of Chinese learners as members of the same community through intercultural reading of polyphonic Korean contemporary novels and laid the pedagogical foundation for intercultural reading of Korean contemporary novels for Chinese learners based on the reading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Chinese learners.
본 연구는 한국 현대소설의 다성성과 학습자의 문화적 중층성에 기반한 한국 현대소설의 상호문화적 읽기를 통해 재중 중국인 학습자가 한국 문화 및 공동체 내 다른 구성원들의 문화성에 대한 이해력을 높이는 교육 내용과 방법을 구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재중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 문학교육은 종종 한국 문화와 중국 문화 간의 이질성이나 중국인 학습자들의 동질성에만 초점을 맞추고 같은 공동체의 구성원으로서 같은 사회문화적 맥락에 놓인 재중 중국인 학습자 간에 존재하는 문화적 다양성에 대한 탐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본 연구에서는 현대소설의 다성성과 학습자의 문화적 중층성에 주목하여, 다성적 소설 텍스트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중층적인 문화를 가진 학습자들이 다양한 텍스트 의미를 구성하고, 학습자 간의 상호작용으로 여기에 내재된 다양한 문화성을 이해하는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먼저 구성주의 문예학을 바탕으로 상호문화에서 문화의 복수성, 중층성, 개방성, 관계성, 소통성 등을 고려하여, 같은 사회문화적 맥락에 놓인 재중 중국인 학습자의 상호문화적 문학 읽기 행위를 문학 소통 체계에서 상호 존중을 전제하며, 텍스트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읽기 주체가 커뮤니카트를 구성하고, 같은 사회문화적 맥락에 놓인 읽기 주체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공감영역을 확보하고 읽기 주체들의 커뮤니카트를 사회적으로 조절하는 문학적 수용 과정으로 재개념화하였다. 또한 다성적 현대소설의 상호문화적 읽기를 통해 학습자들의 다양한 문화성을 이해하는 가능성을 이론적으로 고찰하였다.
이상의 논의에 기반하여 III장에서는 재중 중국인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조사결과에 따라 해당 학습자들의 한국 현대소설의 상호문화적 읽기 양상을 논의하였다. 분석 결과는 II장의 상호문화적 읽기의 구조에 따라 개인적 의미구성 과정에서의 언어적 차원, 문화적 차원, 독자 간의 상호작용 측면에서 언어 지식에 기반한 커뮤니카트의 구성, 문화 간 동질성과 이질성에 기반한 문화 이해와 의사소통을 통한 문화성 이해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먼저 제1절에서는 언어 지식을 기반으로 학습자의 텍스트 의미구성과 이 과정에서의 문화적 요소의 발견 양상을 살펴보았다. 언어 지식에 기반한 언어적 의미 구성에서는 구성주의 문예학의 두 가지 인지 방향, 즉 텍스트로부터 유도된 상향적 인지처리 조작과 독자의 인지도식으로부터 유도된 하향적 인지처리 조작에 따라 학습자의 텍스트 의미구성 양상을 살펴보았다. 문화적 요소의 발견에서는 학습자의 경험과 관련지어 텍스트 내의 산물 문화, 수행 문화, 관점 문화와 복합적인 문화인 사회문화적 배경의 발견 양상을 분석하였다. 다음, 제2절에서는 타문화 이해와 자문화 재인식으로 나누어, 문화 간 동질성과 이질성에 기반한 타문화 이해에서 문화 간 동질성에 기반한 타문화 구성 및 이질적인 문화에 기반한 타문화 이해를, 문화 간 동질성과 이질성에 기반한 자문화 재인식에서 거리 두기를 통한 자문화 상대화 및 관점 변화를 통한 자문화 잠재력의 발견 양상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마지막 제3절에서는 학습자 간의 의사소통을 통한 문화성 이해 양상을 살펴보았다. 의사소통을 통한 텍스트 의미 재구성에서는 다른 학습자와의 의사소통을 통해 텍스트 정보와 해석 두 가지 측면에서의 재구성 양상을 살펴보았고, 개인적 관점의 산출을 통한 문화성 이해에서는 상호작용을 통한 개인적 관점의 정리와 다른 학습자의 개인적인 관점에 대한 노출을 통한 문화성 이해 양상을 분석하였다.
IV장에서는 III장의 실험 양상을 바탕으로 재중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 현대소설의 상호문화적 읽기 교육의 전제, 목표, 내용과 방법을 제시하였다. 먼저 한국 현대소설의 상호문화적 읽기 교육의 전제에서는 불충분한 지식으로 인해 의미구성과 문화 이해, 의사소통을 통한 문화성 이해, 그리고 실험 설계 네 가지 측면에서 상호문화적 읽기의 한계적 양상을 분석하여 정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전제를 바탕으로 한국 현대소설의 상호문화적 읽기 교육의 목표를 타문화 구성 능력 신장, 문화적 의식 형성 및 자문화 성찰 능력 함양, 상호문화적 태도 함양으로, 3절에서는 한국 현대소설의 상호문화적 읽기 교육의 내용을 문화 비교를 통한 타문화 인지, 자문화와 타문화의 성찰, 문화 이해의 개별화로, 4절에서는 한국 현대소설의 상호문화적 읽기 교육의 방법을 텍스트 의미구성을 위한 배경지식 활성화, 학습자 간 상호작용을 위한 협동 학습 활동, 개인적 관점을 재구성하여 표현하기로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다성적 한국 현대소설의 상호문화적 읽기를 통해 같은 공동체 구성원으로서의 재중 중국인 학습자의 다양한 문화성을 이해하는 가능성을 이론적으로 고찰하였고, 읽기 양상과 재중 중국인 학습자의 특징을 바탕으로 재중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 현대소설의 상호문화적 읽기의 교육적 기초를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216145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8536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