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계획행동이론을 이용한 승용차 의존성 요인 분석 : Analyzing the Factors Influencing Car Dependency Using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기현균; 장수은

Issue Date
2024-08
Publisher
대한교통학회
Citation
대한교통학회지, Vol.42 No.4, pp.472-493
Abstract
대중교통에 대한 꾸준한 투자에도 불구하고 승용차 이용자 수는 크게 줄어들지 않고 있다. 여기에 코로나 19의 경험, 예전보다 강해진 사생활 보호에 대한 요구 등으로 차량에 의존해서 통행하는 승용차 의존자(Car dependency)가 늘어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승용차 의존자의 통행 의도에 미치는 요인과 요인별 영향의 정도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계획행동이론(Theory of Planned Behavior, TPB)의 기본모형을 활용했으며, 승용차 의존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구조방정식을 구축해 승용차 의존자들의 통행 의도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행동신념체계는 태도에, 규범신념체계는 주관적 규범에, 통제신념체계는 지각된 행동통제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가 행동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3개의 잠재 변수(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 중 태도가 주관적 규범이나 지각된 행동통제에 비해 행동 의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식별되었다. 즉 주위의 인식, 스스로의 통제에 대한 확신은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끼치지 못하고, 승용차 이용으로 발생하는 다양한 편리성에 따른 승용차에 대한 호의적인 태도가 의존성을 높임을 의미한다. 따라서 시민들의 승용차 의존 통행행태에 변화를 주기 위해서는 편리성에 기반한 호의적인 태도를 상쇄시키기 위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
ISSN
1229-1366
URI
https://hdl.handle.net/10371/216619
DOI
https://doi.org/10.7470/jkst.2024.42.4.472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