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언론사에 대한 신뢰와 안심 : Trust and Assurance in Korean News Media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준웅; 안송이

Issue Date
2024
Publisher
한국언론학회
Citation
한국언론학보, Vol.68 No.6, pp.288-319
Abstract
신뢰란 대상에 대한 신뢰할만함에 대한 평가에 따라 달라지므로 언론 신뢰도 뉴스, 언론인, 언론사, 언론제도 등 각 대상에 따라 다르게 측정해야 한다는 문제의식으로부터 이 연구는 출발한다. 이 연구는 또한 언론사에 대한 신뢰를 안심으로부터 개념적으로 구분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언론 신뢰가 언론사의 편집의 자율성을 인정하면서 이용자 자신의 이념이나 의견과 다른 뉴스라도 일단 이용하겠다는 다짐과 관련이 있다면, 안심은 언론사의 논조나 보도 방향을 미리 예상할 수 있기에 편하게 활용할 수 있다는 생각에 접근하는 것과 가깝다고 보기 때문이다. 인터넷 패널에서 모집한 응답자 311명이 24개 언론사를 대상으로 신뢰와 안심을 평가한 자료를 이용해서, 언론사에 대한 신뢰와 안심이 경험적으로 구분가능한지, 그리고 언론사가 제공하는 뉴스 이용과 뉴스에 대한 품질평가를 비롯한 다른 변수들과 어떤 영향력 관계를 맺는지 검토했다. 연구결과, 언론사 별 신뢰와 안심 간 구성개념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한 모형을 구성하는 데 성공했지만, 그 모형 내에서 신뢰와 안심 간 상관관계는 다소 높다는 것을 확인했다. 언론사 별로 측정한 뉴스 이용시간과 뉴스 품질평가가 각각 신뢰와 안심에 별도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도 발견했다. 덧붙여 이런 관계가 정치적 보수주의나 언론의 정파성 인식 등과 같은 변수들을 통제한 상태에서도 유지된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 연구는 언론사에 대한 신뢰와 안심 간 구분이 정파적 분화가 심화하는 한국 언론에 대해 갖는 함의를 검토해서 후속 연구를 위한 제안을 제시한다.
ISSN
2586-7369
URI
https://hdl.handle.net/10371/216892
DOI
https://doi.org/10.20879/kjjcs.2024.68.6.008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