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Companies With ODA Participation Experience: Focusing on ESG Indicators and Export Performance : ODA 참여 경험이 있는 기업의 특성 분석: ESG 지표와 수출 성과를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Authors
- Advisor
- 김종섭
- Issue Date
- 2025
- Publisher
- 서울대학교 대학원
- Keywords
-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 Official development aid(ODA) ; Private sector engagement ; sustainability ; ESG ; commercial motive
- Description
-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국제대학원 국제학과(국제개발전공), 2025. 2. 김종섭.
- Abstract
-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private companies that participate in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focusing on 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 (ESG) indicators and export performance. The findings indicate that ODA-participating companies generally exhibit higher export dependency, suggesting a strategic orientation toward market expansion. In the ESG domain, the results are mixed. Environment indicators show that these companies tend to demonstrate strong external commitments, such as carbon neutrality declarations and climate initiative memberships. However, they show higher instances of environmental regulation violations, highlighting weaknesses in internal environmental management. Social indicators reveal that ODA-participating companies excel in consumer protection practices and social contributions, likely due to their focus on enhancing their external image. The study provides empirical insights into the motivations and behaviors of ODA-participating companies and proposes strategies for policymakers to encourage sustainable private sector engagement. By addressing both economic and social dimensions of corporate engagement, the research aims to contribute to more effective and responsible development cooperation.
본 연구는 공적개발원조(ODA)에 참여하는 한국 민간 기업의 특성을 환경, 사회, 지배구조(ESG) 지표와 수출 성과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ODA 참여 기업은 대체로 높은 수출 의존도를 보인다. 이는 참여기업이 ODA를 통해 시장 확장을 추구하고자 하는 전략적 성향을 시사한다. ESG 부문에서는 복합적인 결과가 나타났다. 환경 지표에서는 참여 기업들이 탄소 중립 선언이나 기후 이니셔티브 참여와 같은 외부 환경 공약을 적극적으로 펼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동시에 환경 규제 위반 사례는 상대적으로 높아 실제 환경경영에는 취약성을 드러냈다. 사회 지표에서는 소비자 보호 관행과 사회 공헌 활동에서만 두드러진 성과를 나타냈으며, 이는 외부 이미지 제고에 대한 관심에서 비롯된 것으로 추정된다. 본 연구는 ODA 참여 기업의 동기와 행태에 대한 실증적 통찰을 제공하며, 정책 입안자들이 지속 가능한 민간 부문 참여를 장려하기 위한 전략적 방향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경제적 및 사회적 차원에서의 기업 참여를 다룸으로써, 보다 효과적이고 책임 있는 개발 협력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Language
- eng
- Files in This Item:
Item View & Download Count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