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Determinants of Clean Cooking Fuels in Tanzanian Households : 가정 내에서의 취사용 청정연료의 결정요인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타웨

Advisor
윤세미
Issue Date
2025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Determinants of Clean Cooking Fuels in Tanzanian Households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국제대학원 국제학과(국제개발전공), 2025. 2. 윤세미.
Abstract
This research examines the key factors influencing Tanzanian households in their adoption of clean cooking fuels, addressing an essential development challenge tied to public health and gender equality. By employing a mixed-methods framework, the study combines quantitative analyses, utilizing multinomial logit and probit regression models on household survey data from the Tanzania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with qualitative insights drawn from academic literature. The analysis identifies critical determinants of fuel choices, including financial resources, access to electricity, infrastructure development, cultural practices, and socio-demographic factors such as education level, gender, and household composition. The findings demonstrate the importance of financial support mechanisms, such as microloans and credit schemes, in increasing accessibility to clean cooking technologies. Expanding rural electrification and implementing widespread awareness campaigns to address the health and environmental impacts of traditional cooking fuels are highlighted as key measures. Policy recommendations advocate for subsidizing clean fuel technologies, strengthening energy infrastructure, and integrating culturally appropriate education initiatives to tackle barriers like affordability, safety concerns, and deeply rooted cultural norms.
이 연구는 탄자니아 가정의 청정 조리 연료 채택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조사하고 공중 보건 및 성 평등과 관련된 필수 개발 문제를 다룹니다. 혼합 방법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이 연구는 탄자니아 통계청의 가계 조사 데이터에 대한 다항 로짓 및 프로빗 회귀 모델을 활용한 정량적 분석과 학술 문헌의 질적 통찰력을 결합합니다. 분석에서는 재정 자원, 전기 접근성, 인프라 개발, 문화적 관행, 교육 수준, 성별, 가구 구성 등 사회 인구학적 요인을 포함하여 연료 선택의 중요한 결정 요인을 식별합니다. 연구 결과는 청정 조리 기술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는 데 있어 소액 대출 및 신용 제도와 같은 재정적 지원 메커니즘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주요 조치에는 농촌 전기화 확대와 전통적인 요리 연료의 건강 및 환경 영향을 다루기 위한 광범위한 인식 캠페인 실시가 포함됩니다. 정책 권장 사항은 청정 연료 기술 보조금, 에너지 인프라 강화, 문화적으로 적절한 교육 이니셔티브 통합을 옹호하여 경제성, 안전 문제 및 깊이 뿌리 박힌 문화적 규범과 같은 장벽을 해결합니다.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220627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8768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