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Married Couples Perceptions of Low Birthrate Policies in South Korea : 저출산 정책에 대한 오해: 실제 부부들의 관점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전지은

Advisor
박지환
Issue Date
2025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Low fertility rate in South KoreaMarried couples’ perceptionsRisk Amplification and Moral PanicParenthood PerceptionsGovernment PolicyFertility CrisisPsychological BarriersPolicy EffectivenessFamily Planning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국제대학원 국제학과(국제협력전공), 2025. 2. 박지환.
Abstract
South Koreas persistently low fertility rate remains a critical demographic challenge often attributed to structural factors such as education fever, employment conditions, and housing affordability. While these barriers are relevant, this thesis introduces an alternative perspective, emphasizing the roles of risk amplification and moral panic in exacerbating the crisis. Using the Social Amplification of Risk Framework (SARF), this study explores how societal narratives and media portrayals distort perceptions of parenthood, amplifying fears around financial, professional, and cultural challenges. Qualitative interviews with married couples reveal the significant influence of these amplifies risks and moral judgements, which often outweigh tangible economic or policy-related barriers.
This thesis critiques the dominant narratives surrounding education costs, workplace inflexibility, and housing prices, arguing that these are often socially constructed and perpetuated through exaggerated perceptions of economic burden. Comparative cases, such as France and Israel, further demonstrate that high housing costs alone do not universally lead to declining fertility rates,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cultural psychological dimensions. Through interviews with married couples, this study identifies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spectives between men and women regarding child-rearing costs and government policies. Additionally, the findings reveal a stark contrast between child-rearing families and non-child-rearing families, with the latter group often overestimating the economic burden of raising children and undervaluing the benefits of existing government policies. These findings underscore the necessity of addressing societal narratives alongside structural reforms to provide a mor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Koreas fertility crisis.
Policy recommendations include reshaping public discourse to emphasize the benefits of existing subsidies and parental leave policies, fostering cultural shifts within workplaces to normalize family-friendly practices, and enhancing the accessibility of public education to reduce the societal obsession with private schooling. Future research should explore the interplay between structural and psychological factors in fertility decisions and adopt comparative approaches to identify best practices globally.
By reframing South Koreas fertility crisis through the lenses of risk amplification and moral panic, this thesis contributes to a more nuanced understanding of the issue and provides actionable insights for policymakers aiming to create a supportive and empowering environment for family planning.
한국의 지속적인 저출산율은 교육열, 고용 조건, 주거비용과 같은 구조적 요인에 기인하는 심각한 인구학적 도전 과제로 남아 있다. 이러한 장벽이 중요한 것은 사실이지만, 본 논문은 대안적인 관점을 제시하며 위기 심화에 있어 위험 증폭과 도덕적 공황의 역할을 강조한다. 사회적 위험 증폭 프레임워크(SARF)를 활용하여, 본 연구는 사회적 서사와 미디어 보도가 부모 역할에 대한 인식을 왜곡하고 재정적, 직업적, 문화적 도전에 대한 두려움을 증폭시키는 방식을 탐구한다. 기혼 부부를 대상으로 한 질적 인터뷰 결과, 이러한 증폭된 위험과 도덕적 판단이 경제적 혹은 정책 관련 장벽 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 드러났다.
본 논문은 교육 비용, 직장 유연성 부족, 주거비용에 대한 지배적인 서사를 비판하며, 이러한 요인들이 종종 경제적 부담에 대한 과장된 인식에 의해 사회적으로 구성되고 유지된다고 주장한다. 프랑스와 이스라엘과 같은 비교 사례는 높은 주거비용만으로 출산율 감소를 보편적으로 설명할 수 없으며, 문화적, 심리적 차원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기혼 부부와의 인터뷰를 통해 본 연구는 자녀 양육 비용과 정부 정책에 대한 남성과 여성 간의 관점 차이를 확인했다. 또한, 자녀를 양육하는 가정과 비양육 가정 사이에서 뚜렷한 차이가 드러났으며, 비양육 가정은 자녀 양육의 경제적 부담을 과대평가하고 기존 정부 정책의 혜택을 과소평가하는 경향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구조적 개혁과 함께 사회적 서사를 다루는 것이 한국의 저출산 위기를 보다 포괄적으로 이해하는데 필수적임을 강조한다.
정책 권고안으로는 기존의 보조금과 육아휴직 정책의 혜택을 강조하는 공적 담론을 재구성하고, 가족 친화적 관행을 정쌍화하기 위해 직장 내 문화적 변화를 촉진하며, 사교육에 대한 사회적 집착을 줄이기 위해 공교육의 접근성을 강화하는 것을 포함한다. 향후 연구는 출산 결정에 있어 구조적 요인과 심리적 요인 간의 상호작용을 탐구하고 비교적 접근 방식을 채택하여 전 세계의 모범 사례를 식별해야 한다.
위험 증폭과 도덕적 공황의 관점에서 한국의 저출산 위기를 재구성함으로써, 본 논문은 문제에 대한 보다 세밀한 이해를 제공하며 가족 계획을 위한 지원적이고 자율적인 환경을 조성하고자 하는 정책 입안자들에게 실행 가능한 통찰을 제공한다.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221123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8840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