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Rethinking Disruption: A Comprehensive Study on Tech Startups' Disruptive Business Model Innovation Determinants : 재검토된 파괴적 혁신: 기술 스타트업의 혁신적인 비즈니스 모델 재공학 전략에 대한 포괄적인 연구-기술 스타트업에서 파괴적 혁신을 이해하고 구현하기 위한 통합 프레임워크로 향하여
Towards a Unified Framework for Understanding and Implementing Disruptive Innovation in Tech Startup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Authors
- Advisor
- Jörn Altmann
- Issue Date
- 2025
- Publisher
- 서울대학교 대학원
- Keywords
- disruptive innovation ; technological change ; business-model innovation ; niche market ; entrepreneurial innovation ; startups
- Description
-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공과대학 협동과정기술경영·경제·정책전공, 2025. 2. Jörn Altmann.
- Abstract
- 파괴적 혁신 개념은 오랫동안 학술 연구와 전략적 비즈니스 응용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지만, 그 해석에서 지속적인 차이점은 큰 도전 과제를 제시합니다. 산업이 진화함에 따라 혁신의 성격도 변화하고 있으며, 이론적 엄격성과 실질적 적용 가능성을 결합하는 통일된 정의를 확립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파괴적 혁신에 대한 명확하고 통일된 이해가 부족하면 이론 개발, 실증 연구, 효과적인 전략 수립이 저해됩니다. 본 연구는 네트워크 효과, 산업 간 역학, 유연한 시장 전략 등 핵심 속성을 통합하는 파괴적 혁신의 통일된 정의를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본 연구는 63개의 기존 파괴적 혁신 정의를 식별하고 분석하기 위해 체계적인 문헌 검토를 활용합니다. 검토 과정은 연구 질문의 공식화, 관련 연구의 선택, 데이터 추출 및 질적 종합을 포함하는 엄격한 다단계 접근 방식을 따릅니다. 이 분석은 학자, 실무자, 그리고 학문과 실무를 겸하는 전문가들의 설문조사를 통해 제안된 통일된 정의를 세밀하게 조정함으로써 더욱 풍부해집니다.
분석 결과, 학문 간에 파괴적 혁신을 식별하고 분류하는 방식에 큰 차이가 있어, 파편화된 이해가 드러났습니다. 개념적, 의미적, 실용적 렌즈를 통해 정의를 분석함으로써, 본 연구는 파괴적 혁신의 핵심 속성을 식별하고, 파괴적 혁신의 과정적 특성, 시장 진입 전략, 경쟁 역학에 미치는 장기적 영향을 강조하는 정제된 정의를 제시합니다. 이 정제된 정의는 파괴가 본질적으로 파괴적인 것으로 간주되는 기존 관념에 도전하며, 파괴적 혁신이 기존 시장 패러다임을 강화하고 변형시킬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본 연구는 이론과 실무 모두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합니다. 통일된 정의는 파괴적 혁신에 대한 향후 연구에 보다 견고한 기초를 제공하며, 학자들이 다학제적이고 통합적인 접근 방식을 채택할 수 있도록 장려합니다. 실무자들에게는 전략적 유연성, 생태계 참여, 파괴적 위협 및 기회에 대한 능동적인 태도의 필요성을 강조합니다.
본 연구의 두 번째 부분에서는 기술 스타트업의 파괴적 비즈니스 모델 혁신 과정에 대한 실증 분석을 수행합니다. 기술 변화는 전통적으로 파괴적 혁신의 주요 촉진 요인으로 여겨져 왔습니다. 그러나 최근에는 기술 혁신뿐만 아니라 파괴적 비즈니스 모델 혁신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는 기술 스타트업에서 파괴적 비즈니스 모델 혁신의 메커니즘을 탐구하고, 이 스타트업들이 어떻게 파괴적 혁신을 창출하고 확장하는지에 초점을 맞춥니다.
파괴적 혁신 이론을 바탕으로, 우리는 비즈니스 모델 혁신과 시장 파괴를 통합하는 새로운 모델을 제안합니다. 이 이론적 프레임워크는 틈새 시장을 타겟으로 하고, 비대칭 동기를 활용하며, 소비자 협업을 촉진하여 스타트업 성장을 촉진하는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양적 접근 방식을 활용하여, 우리는 나이로비의 171개 기술 스타트업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고, 부분 최소 제곱 구조 방정식 모델링(PLS-SEM)을 사용하여 분석했습니다. 본 연구는 잠재적으로 파괴적인 스타트업에서 성장의 결정 요인 간의 관계를 조사했습니다. 연구 결과, 혁신의 상대적 이점, 비대칭 동기, 국제화, 경쟁, 소비자 협업, 차별화된 가치 사슬 구성 요소가 잠재적으로 파괴적인 스타트업의 성장을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비대칭 동기는 상대적 이점과 스타트업 성장 간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매개하며, 소비자 협업은 가치 사슬 구성과 성장 간의 연결을 매개합니다. 반면, 틈새 시장 정책은 성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습니다. 이에 따라 정책 입안자들은 공정한 경쟁을 보장하기 위해 공정한 중재자로서 균형 잡힌 경쟁 환경을 보장하는 정부 정책을 개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The concept of disruptive innovation has long been pivotal in both academic research and strategic business applications, yet persistent discrepancies in its interpretation pose significant challenges. As industries evolve, so does the nature of innovation, making it crucial to establish a unified definition that aligns theoretical rigor with practical applicability. The lack of a clear, unified understanding of disruptive innovation hinders theory development, empirical research, and effective strategy formulation. The first study aims to develop a unified definition of disruptive innovation that integrates its core attributes, including network effects, intersectoral dynamics, and flexible market strategies. The study employs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to identify and analyze 63 existing definitions of disruptive innovation. The review process involves a rigorous, multi-step approach, including the formulation of research questions, selection of relevant studies, data extraction, and qualitative synthesis. The analysis is further enriched by a survey of experts, encompassing academics, practitioners, and pracademics, to refine the proposed unified definition.
Findings reveal a fragmented understanding across disciplines, with significant variations in how disruptive innovations are identified and classified. By analyzing definitions through conceptual, semantic, and pragmatic lenses, the study identifies core attributes of disruptive innovations and culminates in a refined definition that emphasizes the processual nature of disruptive innovation, its market entry strategies, and its long-term effects on competitive dynamics. The refined definition challenges the notion of disruption as inherently destructive, suggesting that disruptive innovations can also augment and transform existing market paradigms.
The first study offers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both theory and practice. The unified definition provides a more robust foundation for future research on disruptive innovation, encouraging scholars to adopt a multidisciplinary, integrative approach. For practitioners, the findings underscore the need for strategic flexibility, ecosystem engagement, and a proactive stance towards disruptive threats and opportunities.
In the second part of our study, we conduct an empirical analysis of tech startups' disruptive business model innovation processes. Technological change has traditionally been viewed as a key enabler of disruptive innovation. More recently, however, there has been a shift in perspective, with increasing emphasis on disruptive business model innovation rather than technological innovation alone. This study explores the mechanisms of disruptive business model innovation in tech startups, focusing on how these startups create and scale disruptive innovations. Building on the theory of disruptive innovation, we introduce a novel model that integrates business model innovation with market disruption. The theoretical framework highlights the significance of targeting niche markets, leveraging asymmetric motivation, and fostering consumer collaboration to drive startup growth. Utilizing a quantitative approach, we collected data from 171 tech startups in Nairobi and analyzed using PLS-SEM. The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determinants of growth in potentially disruptive startups. The findings indicate that an innovation's relative advantage, asymmetric motivation, internationalization, competition, consumer collaboration, and differential value chain configurations positively influence growth of potentially disruptive startups. Asymmetric motivation partia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relative advantage and startup growth, while consumer collaboration mediates the link between value chain configuration and growth. Conversely, niche policies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growth. Accordingly, it is imperative for policymakers to develop government policies that ensure a level playing field, acting as impartial arbiters to guarantee fair competition.
- Language
- eng
- Files in This Item:
Item View & Download Count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