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Robots That Fit : 딱 맞는 로봇: 서비스 로봇이 의인화, 로봇 유형 및 소비자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탐구
The Impact of Service Robot on Anthropomorphism, Robot Type, and Consumer Preference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노수현

Advisor
주우진
Issue Date
2025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anthropomorphismtypes of robotswarmthcompetencepurchase intention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경영대학 경영학과, 2025. 2. 주우진.
Abstract
This thesis examines how robot appearance (anthropomorphic vs. non-anthropomorphic) and service robot type (social vs. functional) influence perceptions of warmth, competence, and purchase intention.
The findings show that, while anthropomorphism has no direct impact on purchase intention, it does considerably increase perceived warmth, which mediates the association between appearance and buy intention. Furthermore, the interaction research found that anthropomorphized social robots were seen as the most friendly, whilst anthropomorphized functional robots were connected with the highest levels of competence.
These findings underscore the importance of anthropomorphism in robotic design. Future research could look into how varying amounts of anthropomorphism are preferred based on the sort of service robot. Exploring how differences in robot appearance influence human perception and acceptance could provide useful insights for optimizing robot design and improving user experience.
본 연구는 로봇의 외형(의인화 vs. 비의인화)과 서비스 로봇의 유형(소셜 로봇 vs. 기능적 로봇)이 따뜻함, 유능함,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의인화된 로봇은 구매 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따뜻함에 대한 인식을 유의미하게 향상하며, 이는 외형과 구매 의도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호작용 분석에서는 의인화된 소셜 로봇이 가장 따뜻하게 인식되는 반면, 의인화된 기능적 로봇은 가장 높은 유능함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소비자의 특정 요구와 상황에 맞춘 로봇 디자인에서 의인화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소셜 로봇과 기능적 로봇 모두에서 의인화된 디자인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로봇의 유형과 관계없이 의인화가 소비자와의 상호작용을 향상시키는 핵심 요소임을 시사한다.
따뜻함과 유능함을 중심으로 한 로봇 개발 및 마케팅 전략이 사회적 및 기능적 로봇 양쪽 모두에서 성공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실질적인 방향성을 제시하며, 서비스 로봇이 더 넓은 시장에서 자리를 잡기 위해 소비자의 감정적 및 기능적 요구를 균형 있게 반영해야 함을 강조한다. 후속 연구에서는 로봇의 사용 기간, 문화적 맥락, 그리고 개인의 다양한 심리적 요인 등을 고려하여 소비자의 경험을 더욱 심층적으로 분석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또한, 로봇의 장기적인 상호작용과 그로 인한 소비자 반응 변화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지면, 서비스 로봇의 디자인 및 마케팅 전략을 더욱 구체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이다.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221321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8822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