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The Impact of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Energy Aid) on National Energy Policies of Recipient Countries : 공적 개발 원조(에너지 원조)가 수원국의 국가 에너지 정책에 미치는 영향: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국가들로부터의 증거
Evidence from Sub-Sahara African Countrie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Authors
- Advisor
- 김태균
- Issue Date
- 2025
- Publisher
- 서울대학교 대학원
- Keywords
- Energy Policy ;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 Energy Aid ; Donor-Recipient Alignment ; Intra-Sectoral Fungibility ; Renewable Energy ; Sub-Saharan Africa ; Geopolitics ; Resource Allocation
- Description
-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국제대학원 국제학과(국제개발전공), 2025. 2. 김태균.
- Abstract
- 이 논문은 2010년부터 2022년까지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SSA) 에너지 부문에서 공적개발원조(ODA) 에너지 지원이 기부국과 수원국의 정렬 관점에서 미친 영향을 분석합니다. 특히, 글로벌 기부국의 우선순위가 국가 에너지 수요와 어떻게 상호작용하며 자원 배분에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이러한 상호작용이 현재의 글로벌 기후 및 지속가능발전 목표(SDG) 맥락에서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본 연구는 지역 동향 분석과 케냐, 카메룬, 나이지리아의 세 가지 사례 연구를 통해 에너지 생성(재생 가능 및 비재생 자원), 분배, 정책 목표에서의 정렬 상태를 탐구합니다.
연구 결과, 기부국의 약속은 재생 가능 에너지, 정책 개혁, 전력망 확장에 중점을 두며, 이는 글로벌 기후 목표와 강하게 정렬되지만 수원국의 단기 에너지 안보 요구와는 종종 괴리됩니다. 재생 가능 에너지 중심의 에너지 믹스를 보유한 케냐는 지열 및 태양광 분야에서 강한 정렬을 보이나, 석탄 및 원자력 계획에서는 괴리가 나타납니다. 수력-화석 연료 믹스에 의존하는 카메룬은 기부국이 수력을 우선시하는 반면, 국내적으로는 응급 열발전소에 대한 투자가 필요하여 부분적인 정렬을 보여줍니다. 화석 연료 중심의 나이지리아는 전환 연료로서 가스 발전에서 정렬을 보이나, 수력 및 기타 재생 가능 에너지는 여전히 자금 부족 문제를 겪고 있습니다. 케냐의 사례는 카메룬이 농촌 전기화, 자원 동원, 에너지 믹스 다각화, 지속 가능한 에너지 개발을 위한 장기 계획을 개선하기 위한 전략을 강조합니다.
이 논문은 에너지 부문 내 자원 재배치를 수원국 정부가 어떻게 수행하는지 설명하기 위해 "부문 내 자금 유연성(intra-sectoral fungibility)" 개념을 도입합니다. 기부국 지원이 부족한 우선순위에 자금을 투입할 수 있도록 재원을 확보하는 자원 효율성과, 정렬 부족이 재정 및 운영 취약성을 악화시키는 비효율성을 모두 강조합니다. 연구는 또한 중국 및 남아프리카와 같은 신흥 기부국의 역할과 글로벌 의제 변화의 영향을 보여주는 지정학적 역학을 탐구합니다.
이 연구는 에너지 프로그램 전반에서 기부국-수원국 정렬을 평가하는 유연한 정렬 매트릭스를 개발하고, 기부국 우선순위와 수원국 주권을 조화시키기 위한 하이브리드 에너지 지원 프로그램을 제안함으로써 기존 문헌에 기여합니다. 다중 기부국을 활용하고, 장기 계획을 강화하며, 에너지 지원을 통해 자원 다각화와 현지화된 우선순위를
지원하도록 정렬할 것을 권고합니다.
연구는 효과적인 에너지 지원이 글로벌 지속 가능성 목표와 수원국의 전략적 우선순위를 균형 있게 맞추어 SSA 지역에서 에너지 안보, 효율성, 주권을 달성해야 한다고 결론지었습니다.
This thesis examines the impact of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Energy Aid through the lens of donor-recipient alignment in the energy sector of Sub-Saharan Africa (SSA) from 2010 to 2022. It focuses on how global donor priorities interact with national energy needs and influence resource allocation, particularly within the current context of global climate and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By analyzing regional trends and three case studies—Kenya, Cameroon, and Nigeria—this study explores alignment in energy generation (renewable and non-renewable sources), distribution, and policy objectives.
Findings reveal that donor commitments emphasize renewable energy, policy reforms, and grid expansion, aligning strongly with global climate goals but often diverging from recipient countries' short-term energy security needs. Kenya, with its renewable-dominated energy mix, demonstrates strong alignment in geothermal and wind but faces misalignment in coal and nuclear ambitions. Cameroon, reliant on a hydro-fossil mix, exhibits partial alignment, as donors prioritize hydropower while domestic needs drive investments in emergency thermal plants. Nigeria, with its fossil-dominated profile, reflects alignment in gas-fired generation as a transitional fuel, though hydropower and other renewables remain underfunded. Lessons drawn from Kenya underscore strategies for Cameroon to enhance rural electrification, resource mobilization, energy mix diversification, and long-term planning in pursuit of sustainable energy development.
This thesis introduces the concept of intra-sectoral fungibility to explain how alignment and misalignment affect recipient governments' ability to reallocate domestic resources within the energy sector. It highlights both resource efficiencies, where donor support frees up funds for underfunded priorities, and inefficiencies, where misalignment exacerbates financial and operational vulnerabilities. The study further explores geopolitical dynamics, showcasing the role of emerging donors like China and South Africa and the implications of shifting global agendas.
The research contributes to existing literature by developing a flexible alignment matrix, a framework for assessing donor- recipient alignment across energy programs and proposing hybrid energy aid programs as a solution to reconcile donor priorities with recipient sovereignty. Recommendations emphasize leveraging the multiplicity of donors, enhancing long-term planning, and aligning energy aid to support resource diversification and locally grounded priorities.
The study concludes that effective energy aid requires balancing global sustainability goals with recipient countries strategic priorities to achieve energy security, efficiency, and sovereignty in the SSA region
- Language
- eng
- Files in This Item:
Item View & Download Count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