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민사 공익소송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Study on methods for promoting public interest litigation
위법행위에 대한 사법심사 확대를 위하여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송방아

Advisor
전원열
Issue Date
2025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공익소송단체소송구체적 분쟁성원고적격처분권주의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법과대학 법학과, 2025. 2. 전원열.
Abstract
Today's society is exposed to various risks that were unforeseen in the past. However, these risks do not cause specific damage at the time of occurrence, but if left unattended, the damage will spread, and once the legal infringement has occurred, it is often difficult to return to the previous stage. In a consumption structure where mass production and mass consumption take place, damage caused by defective products spreads, and personal sensitive information is collected and analyzed in large quantities through services that introduce AI technology, and climate change issues are not limited to specific regions or generations, but affect future generations without regional boundaries.
Therefore, a relief measure that can effectively respond to these risks is required.
The function of enforcing laws and monitoring illegal activities has been considered the role of government agencies. However, in a complex society, it is realistically impossible for government agencies to monitor and regulate private organizations or companies with limited resources. This is because special risks in modern society often do not manifest as specific damages from the beginning. Therefore, the function of monitoring illegal activities should be partially delegated to the private sector so that individuals with various interests can monitor illegal activities, and more actively enable the filing of lawsuits for correction so that they can be subject to judicial review. This is where the institutional significance of public interest litigation lies. However, if the purpose of public interest litigation is to expand the possibility of judicial review of illegal activities, the principles required in the existing judicial order are sometimes modified to some extent in order to activate public interest litigation.
First, the scope of judicial review can be expanded by relaxing the strict interpretation of specific disputeability and legally protected interests. In modern society, special risks do not immediately become concrete risks even if there is an illegal act, and this is because they must be corrected at the stage before actual damage occurs in order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diffuse and irreparable damage. In addition, it is not appropriate to demand that the plaintiff, who plays the role of a watchdog for illegal acts, has a specific legal interest that has been violated.
Next, the court needs to be given discretion when examining the illegality of the act in question and deciding on the measures necessary to correct the illegality. In the process of examining illegality through balancing the interests of public and private interests or between private interests, as well as in deciding on appropriate measures to correct the illegality, there are cases where the courts discretionary judgment is necessary. If the only possible trial is to order a blanket prohibition on an act that is recognized as illegal, the court will have no choice but to take a passive stance in the process of balancing interests for examining illegality, which will result in the public interest litigation not being utilized properly. However, even in this case, the court is not given complete discretion, and the plaintiffs claim must be specific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 of the principle of dispositional power.
Lastly, it is necessary to relax the principle of adversarialism. If strict burden of claim and burden of proof are demanded in a situation where structural inequality exists, such as information imbalance and bias of evidence, the plaintiff who bears the burden of claim and burden of proof for illegal acts is likely to fail to make claims or prove them, which will ultimately become a factor that makes it difficult to realize public interest through litigation.
These demands can be met by establishing a public interest litigation system that is distinct from the existing litigation system. Korea has a class action system that seeks to prohibit illegal acts in the Consumer Basic Act and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including resident litigation, and a representative party system for lawsuits for damages arising from securities transactions in the Securities-related Class Action Act. However, due to the strictness of the requirements for filing a lawsuit, the limitation of the target, and the limitation of the means of redress, these are not effective means of relief. In order to improve this, the objective public interest litigation system, such as class actions, should be expanded to other areas, relief measures should be diversified, and the system should be supplemented through legal revisions, such as stipulating special exceptions in the principles of trial. However, institutional improvement through legislation is not always easy.
In that case, we can consider a plan to expand the scope of judicial review by relaxing the previous interpretation of plaintiff qualification or the interest of protecting rights for lawsuits aimed at protecting individual rights, and at the same time, to activate injunction claims that can substantially eliminate illegality as well as provide relief for damages that have already occurred by making relief measures a reality. In a social structure where mass production and mass consumption are taking place and the entire world is closely connected through digital technology, even if a judgment on a dispute between individuals is made, its ripple effect reaches the entire society, so there are many cases where public interest can be realized through lawsuits aimed at protecting subjective rights. This is possible not only by the method in which people in similar situations as the parties to the lawsuit receive the reflective effect of a winning judgment, but also through the judgments deterrent function (general preventive function) against illegal acts.
현대사회는 과거에는 예상할 수 없었던 다양한 위험들에 노출되는 사회이다. 그런데 이러한 위험은 그 발생 단계에는 구체적인 피해를 발생시키지 않지만 이를 방치할 경우 그 피해가 확산적으로 발생하고, 일단 발생한 법익침해는 그 이전 단계로 되돌리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대량생산과 대량소비가 이루어지는 소비구조에서 하자 있는 제품으로 인한 피해는 확산적으로 발생하고, AI 기술을 도입한 서비스가 확대됨에 따라 개인의 민감한 정보가 대량으로 수집되고 분석되고 있으며, 기후변화 문제는 특정 지역이나 특정 세대에 국한되지 않고 지역적 경계 없이 미래세대에까지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이에 이러한 위험에 실효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구제방안이 요구된다.
그동안 법을 집행하고, 위법행위를 감시하는 기능은 정부기관의 역할로 여겨져 왔다. 그러나 복잡화된 현대사회에서 정부기관이 한정된 자원을 통해 거대기업이나 민간 단체를 일일이 감시, 규제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현대사회에서의 특수한 위험은 처음부터 구체적인 피해로 드러나지 않는 경우도 많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위법행위에 대한 감시 기능을 민간에도 일부 위임하여 다양한 이해관계를 가진 사인들로 하여금 위법행위를 감시하도록 하고, 보다 적극적으로는 그 시정을 위한 소 제기를 가능하게 하여 사법심사의 대상으로 삼을 수 있도록 해야 하는데, 여기에 공익소송의 제도적 의의가 있다. 그런데 위법행위에 대한 사법심사 가능성을 확대함으로써 위법성을 조기에 시정하는 것이 공익소송의 목적이라면, 공익소송을 활성화하기 위해 기존의 사법질서에서 요구되던 원칙들은 어느 정도 수정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우선 구체적 쟁송성그리고 법률상 보호되는 이익에 관한 엄격한 해석을 완화함으로써 사법심사 대상을 확대할 수 있다. 현대사회에 특수한 위험들은 위법행위가 있다고 하더라도 곧바로 구체적인 위험으로 현실화되지 않는 특징이 있는데, 이러한 위험은 현실적인 피해가 발생하기 전 단계(즉 구체적 쟁송 발생 이전 단계)에서 시정되어야 확산적이고 회복 불가능한 손해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위법행위에 대한 감시자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그 일환으로 소를 제기한 원고에게 구체적인 법익이 침해되었을 것을 요구하는 것도 적절하지 않다.
다음으로 공익소송에서 법원의 역할이 달라질 수 있는데, 공익소송에서는 불확정개념에의 포섭이 문제되거나 공익과 사익 상호 간의 형량이 필요한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이에 법원이 요건사실의 해석에 있어 판단의 여지를 갖거나 위법성 시정을 위한 조치를 결정함에 있어 재량을 갖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에도 법치주의의 원칙, 권력분립의 원칙에 따라 사법부가 사실상 법 형성기능을 하거나 법집행기능을 독점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민사소송절차에 적용되는 일반원칙이 일부 수정될 수 있는데, 정보력의 불균형, 증거의 편재 등 구조적인 불평등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엄격한 주장책임, 증명책임을 요구한다면 원고가 주장이나 증명에 성공하지 못하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는 소비자기본법과 개인정보보호법에서 위법행위의 금지를 구하는 단체소송제도를 두고 있지만, 실효적인 구제수단이 되지 못하고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단체소송의 대상을 확대하고, 단체소송을 통한 구제조치를 다양화하며, 확산적으로 발생한 피해에 대한 금전적 배상청구를 가능하게 하는 등 제도의 개선이 필요하다. 무엇보다 환경공익소송의 도입이 필요한데, 최근 기후변화 문제가 세계적인 관심사로 대두되고, 세계 각국이 환경공익 실현을 위한 소송제도를 마련하고 있다는 점에 비추어서도 그렇다. 이를 위해서는 환경오염으로 인해 개인의 법익이 침해된 경우 이를 구제하기 위한 수단이라는 기존의 환경소송에 대한 패러다임에서 벗어나 생태환경 자체를 보호하기 위한 소송제도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환경훼손으로 인한 구체적 피해는 시간과 공간적 한계를 초월해서 발생하므로 구체적 손해 발생을 요구해서는 이러한 환경훼손으로 인한 위험에 효율적으로 대처하지 못하게 된다.
기존의 소송제도를 통해서도 공익실현이 가능하다. 대량생산·대량소비가 이루어지는 사회에서는 거대 기업에게 일정한 의무를 명하는 판결이 내려지면 소송당사자 아닌 일반 대중 역시 그로 인한 이익을 누리게 되고, 개인적 법익침해를 이유로 한 위법행위 금지청구가 받아들여지면 사회구성원 전체의 이익(공익)이 보호되는 결과가 되기도 한다. 이를 위해서는 권리구제를 위한 소송에서 법률상 보호되는 이익요건을 완화함으로써 사법심사를 통한 위법성 시정의 가능성을 높이고, 위법성을 제거하는 수단으로 유지청구(금지청구)를 허용하여 문제가 된 행위 자체를 시정하는 판결이 내려지도록 해야 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221909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8789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