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학술 담화 사회화 연구 : A Research on the Academic Discourse Socialization of Chinese Korean Learners:Focusing on Stancetaking
입장 취하기를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양길류

Advisor
민병곤
Issue Date
2025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학술 담화학술 담화 사회화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학술 연구 목적 한국어 교육입장 취하기입장중국인 대학원생다중 사례 연구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2025. 2. 민병곤.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대학에서 학술 연구 목적으로 한국어를 학습하는 중국인 학습자들이 학술 담화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입장 취하기의 양상과 이러한 양상에 영향을 미치는 맥락적 요인들을 탐구하는 것이다. 기존의 학술 담화에서 입장 취하기와 관련된 선행 연구들은 주로 문화 간 수사학적 관점에서 접근하여, 담화 분석을 통해 제이언어 학습자의 입장 취하기의 양상을 설명하는 데 그쳤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들은 입장 취하기에 대한 언어적, 인지적, 상황적, 사회문화적 맥락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한계를 지적하며, 학술 담화 사회화 이론을 바탕으로 다중 사례 연구를 설계하여 학습자들이 학술 담화를 생성하는 과정에서의 입장 취하기와 그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맥락적 요인들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Ⅱ장에서는 본 연구의 핵심 개념과 이론적 틀을 제시하였다. 먼저 학술 연구 목적 영어의 개념과 역사를 소개하며 이를 한국어 교육 분야에 적용할 가능성을 탐구하고, 이를 바탕으로 학술 연구 목적 한국어의 개념, 범위, 주요 연구 방법을 심층적으로 논의하였다. 이어서, 학술 담화와 학술 담화 사회화 이론을 소개하고, 학술 담화 사회화 연구에 중요한 이론인 상황 학습 이론이 본 연구에 적합한 이유와 적용 방안을 설명하였다. 마지막으로, 학술 담화에서 입장 취하기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입장 취하기의 개념과 주요 하위 요소들을 정의하고, 이를 분석하기 위한 틀을 제시하였다.
Ⅲ장에서는 다중 사례 연구 설계와 관련된 전반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하였다. 우선, 사례 연구의 특징을 다른 연구 방법과 구별하여 소개하고, 본 연구에 적합한 이유를 제시하였다. 이어서, 본 연구의 가설을 바탕으로 상황 학습 이론에 기반한 다중 사례 연구 설계를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이에 따른 사례 선택 기준과 선정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였다. 또한, 선정된 사례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본 연구에서 채택한 자료 수집 방법과 분석 전략, 기법을 서술하였다. 자료 분석 과정을 명확히 전달하기 위해 구체적인 예시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 참여자와 연구 활동에 대한 윤리적 고려 사항을 논의하고, 연구의 타당성 확보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Ⅳ장에서는 선정된 8명의 연구 사례를 중심으로, 그들이 생산한 학술 담화에서 나타나는 입장 취하기의 양상과 그 맥락에 대한 분석 결과를 체계적으로 제시하였다. 본격적인 분석에 앞서, 각 연구 사례의 학부, 석사 및 박사 과정에 이르는 교육 배경을 면밀히 검토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연구 대상들의 공통적인 맥락을 상세히 설명하였다. 이어지는 분석 결과는 크게 두 단계로 나뉘어 제시되었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사례 개별적 분석이 이루어지며, 이는 각 사례에 대한 심층적인 논의를 바탕으로 제시되었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8명의 사례를 종합적으로 비교·분석한 결과가 포함되었다.
구체적으로, 사례별 개별 분석에서는 중심 사례를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각 사례의 한국어 학습 생애사와 학술 담화에서 나타나는 입장 취하기 양상을 구체적으로 기술하였다. 이를 통해 중심 사례들의 학술 담화에서의 입장 취하기 사회화 과정을 종합적으로 파악하며, 각 사례의 고유한 맥락적 특성과 입장 취하기 방식의 차이를 명확히 묘사할 수 있었다. 이후, 두 명의 중심 사례를 비교·분석하여 입장 취하기 사회화 과정에서 나타나는 유사한 패턴과 차별적인 패턴을 식별하였다. 이러한 분석은 학습자의 입장 취하기 양상이 단순히 모어 문화 배경에 기인한 것이 아니라, 다양한 맥락적 요소에 의해 역동적으로 변화한다는 점을 실증적으로 보여주었다. 이어, 설정된 경쟁 설명 가설을 바탕으로 세 개의 경쟁 설명 집단에 대한 사례 분석을 진행하였다. 경쟁 설명 사례 분석에서는 각 사례의 입장 취하기 양상을 면밀히 검토하고, 이를 중심 사례와 비교하여 입장 취하기 사회화 과정에서 나타나는 차별적 패턴을 심도 있게 논의하였다. 이를 통해 중국인 학술 연구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학술 담화 사회화 과정에서 영향을 미치는 주요 맥락적 요인들을 규명하였다. 마지막으로, 8명의 사례를 대상으로 교차 사례 통합 분석을 실시하여 학술 담화에서 입장 취하기 사회화 과정에서 나타나는 핵심적인 패턴과 이를 형성하는 주요 요인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반복적이고 다각적인 분석을 통해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학술 담화 사회화 과정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입장 취하기 양상의 형성과 변화 과정을 체계적으로 설명할 수 있었다.
이상의 논의를 토대로, 본 연구는 중국인 학술 연구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학술 담화에서의 입장 취하기 형성과 그 사회화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맥락적 요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 대학에서 학술 연구를 목적으로 한국어를 학습하는 외국인 유학생들이 학술 담화 공동체로의 사회화 과정을 거치는 동안, 그들의 입장 취하기 양상이 형성되고 변화하는 방식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를 갖는다. 나아가, 이러한 연구 결과는 학술 연구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효과적인 지원 정책의 수립과 더불어 학술 담화 교육 내용 개발에 실질적인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stancetaking process and the contextual factors that influence Chinese graduate students at Korean universities during their academic discourse socialization. Previous research has primarily focused on stancetaking from an intercultural rhetoric perspective, often using discourse analysis. However, such studies frequently overlook the linguistic, cognitive, situational, and sociocultural contexts that shape how stancetaking is expressed. To address these limitations, this study adopts a multiple-case study design based on the theory of academic discourse socialization. The research provides an in-depth analysis of both the stancetaking process and the various contextual factors that affect it within the academic discourse of Korean learners.
Chapter II defines the key concepts and theoretical frameworks relevant to this study. It clarifies the objectives of academic research in Korean education, the nature of academic discourse, and the concept of stance. This chapter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effective stancetaking in academic discourse, critiques the limitations of prior studies, and emphasizes the need for new analytical perspectives. It also introduces the theory of academic discourse socialization and discusses its specific applications in detail.
Chapter III outlines the multiple-case study design, emphasizing its necessity and distinguishing it from other research methods. The chapter describes the research hypotheses, theoretical foundations, case definitions, selection criteria, and data collection methods. It also explains the analytical strategies used in the study and provides specific examples to clarify the data analysis process, enhancing the methodological rigor of the research.
Chapter IV presents the analysis results of stancetaking expressions and their contexts in the academic discourse of eight selected cases. Before the analysis, the participants educational backgrounds, including their undergraduate, masters, and doctoral experiences, are thoroughly examined. Common contextual factors across the cases are also described in detail. The analysis is divided into two main stages. The first stage involves analyzing each central case individually to examine their stancetaking patterns in academic discourse. This includes their Korean learning histories and stance profiles, providing insight into the stancetaking socialization process while highlighting unique contextual features and differences. The second stage compares two central cases to identify shared and differing stancetaking patterns. This comparison shows that stancetaking is not solely shaped by learners native cultural backgrounds but is influenced by various contextual factors. Following this, case analysis based on the established competing explanations hypothesis is conducted for three groups of cases with competing stancetaking patterns. These cases are analyzed in detail, with comparisons made to the central cases to explore the divergent patterns in the stancetaking socialization process. This analysis identifies the key contextual factors influencing the academic discourse socialization process of Chinese KRPP learners. Finally, a cross-case analysis is conducted to identify the core patterns in the stancetaking socialization process and the main factors shaping these patterns.
Through this analytical process, the study aims to uncover the key patterns in the socialization process of stancetaking in the academic discourse of Chinese KRPP learners and the main contextual factors influencing this proces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offers implications for academic discourse education and stancetaking instruction for international students learning Korean for research publication purposes at Korean universities.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222239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8867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