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한국어 통번역에서의 문법적 연어 교육 연구 : A Study on Grammatical Collocation Education in Korean Translation and Interpreting: Focusing on Chinese Learners of Korean T&I
중국인 한국어 통번역 학습자를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조설혜

Advisor
구본관
Issue Date
2025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한국어 문법적 연어텍스트 장르비교 코퍼스 분석N-그램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통번역 학습자번역 글쓰기중한 통번역 교육 실태.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2025. 2. 구본관.
Abstract
본 연구는 한중 통번역 전문가의 한국어 통번역 텍스트와 중국 한국어 통번역 학습자의 한국어 통번역 텍스트에 나타난 장르별 문법적 연어 사용 양상을 분석하고, 그 특징을 규명하는 주된 목적이 있다. 이를 바탕으로 중국인 한국어 통번역 학습자의 한국어 통번역 수업에서 장르별 문법적 연어 사용 패턴에 대한 교육적 실태를 심층적으로 파악함으로써 한국어 번역 글쓰기에서 장르별 문법적 연어 사용 적절성을 강화하는 교육방안을 탐구하는 데 연구 목적을 둔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연구의 Ⅱ장에서는 한국어 통번역 학습자의 번역 글쓰기에서의 문법적 연어 사용 특징을 규명하기 위한 이론적 토대를 구축하였다. 통번역 교육이라는 특정한 상황맥락에서 한국어 문법적 연어의 개념적 정의와 특징, 의미기능 유형을 검토하였다. 또한, 번역 보편소 이론의 주요 특징을 토대로, 한국어 통번역 글쓰기에서 나타난 문법적 연어 사용의 특징을 분석하고 이를 번역 보편소 가설의 검증 지표로 분석함으로써,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번역 글쓰기 향상을 위한 이론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 Ⅲ장에는 학습자 한국어 통번역 산출문에서 나타난 문법적 연어 사용 양상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비교 코퍼스 연구 방법론을 적용하였다. 구체적으로 한국어 비번역어 말뭉치, 중→한 번역 한국어 말뭉치, 중국인 한국어 통번역 학습자의 중한 (통)번역 글쓰기 말뭉치를 포함하는 약 100만 Tokens 규모의 비교 코퍼스를 구축하였다. 구축된 말뭉치는 신문기사와 정치연설문 두 개 텍스트 장르로 구성된 하위 말뭉치로 구성되어 있으며, N-Gram 추출 방법을 활용하여 말뭉치에서의 문법적 연어를 추출하고 출현 빈도를 산출한 후, 이를 의미기능 유형에 따라 분류하였다.
본 연구는 학습자 번역 코퍼스를 구축하여 비번역어, 전문가 번역어, 번역 학습자의 번역어라는 세 가지 집단을 대상으로 다중 집단 비교 분석 방법을 수행함으로써 한국어 통번역 글쓰기의 사용 특징과 번역 학습자의 통번역 문제점과 원인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먼저, 한국어 비번역어 말뭉치와 번역가가 작성한 번역 한국어 말뭉치에 나타난 문법적 연어를 장르별로 통계적으로 비교 분석하고 이를 번역 보편소 가설에 따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어 번역 글쓰기 말뭉치에서는 장르에 따라 문법적 연어 사용에 차이가 존재했으며 특히 번역 보편소 특성인 단순화 사용 특징과 규범화의 사용 경향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하여 본 연구는 신문기사와 정치연설문 두 개 장르를 중심으로 (중한) 한국어 번역 글쓰기에서 각 기능 유형의 한국어 문법적 연어 사용 특징을 정리하였다. 번역 보편소 가설 검증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중국인 한국어 통번역 학습자가 작성한 한국어 (통)번역 글쓰기 말뭉치에서 나타난 문법적 연어 사용을 체계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학습자 집단의 한국어 번역 텍스트에서 장르별 문법적 연어의 사용 특징 및 습득 상의 문제를 도출하였다. 학습자 말뭉치 자료 분석된 결과, 학습자들은 한국어 번역 글쓰기를 수행할 때 장르별 문법적 연어 사용이 부족하다는 경향을 보였으며, 번역 보편소 특징인 단순화와 규범화 전략 사용에서 다양한 사용 문제(사용 부족, 과도한 사용, 과도한 단순화, 규범화 부족 등)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는 학습자가 B 언어로서의 한국어 지식 습득의 한계점이 있음을 시사한다. 한국어 통번역 학습자의 번역 글쓰기에서 문법적 연어 사용 특징을 분석한 뒤, 제 Ⅳ장에서는 중국 한중 MTI 석사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어 통번역 학습자를 위한 교육적 실태 조사를 진행하였다. 실태 조사는 장르에 따른 한국어 문법적 연어 사용 지식을 중심으로, 한중 통번역 대학원 과정의 중한 통번역 교재 분석, 학습자의 인지도 설문조사와 교강사 인터뷰로 구성되었다. 교재 분석 결과, 최근 10년간 발행된 중한 (통)번역 교재들은 텍스트 장르의 기능적 특징 설명이 부족하고, 장르별 문법적 연어 사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과 정리가 부족함을 드러났다. 또한, 텍스트의 특징, 번역 보편소를 기반한 통번역 전략, 언어 선택 간의 연계성이 부족하며 장르별 문법적 연어 사용 특징에 관한 충분한 연습 과제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밝혔다. 중국 한중 MTI 교육과정의 한국어 통번역 학습자 대상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학습자들은 장르별 문법적 연어 사용 패턴 지식이 번역 글쓰기 향상에 유용하고 필요하다고 높게 평가하는 한편, 교재와 수업의 효과에 대해 불만족하고 더 심화된 학습이 필요하다고 반영하였다. 그러나 교사 인터뷰에 따르면, 현재 중한 통번역 수업에서 문법적 연어 사용 지식을 포함된 텍스트 장르에 따른 언어 특징에 대한 교육이 학교별 담당 교사의 재량에 따라 이루어지고 있어, 내용의 전면성과 심도, 표준화된 지도 방법을 보장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드러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중국인 한국어 통번역 학습자의 장르별 문법적 연어 사용 지식 사용 적절성 강화를 위한 교재, 수업, 과제 등에 있어서 전면적이고 체계적인 교수학습 모형 개발이 필요하다고 시사한다. 한국어 통번역 학습자에게 장르별 문법적 연어의 교육 필요성이 있음을 확인한 다음, 통번역 수업에서 '장르 분석 방법'을 결합하는 한국어 문법적 연어 사용 패턴 교수학습 모형을 모색해 보았다. 장르 분석 방법을 통해 한국어 원어 텍스트, 중국어 텍스트, 그리고 번역 한국어 텍스트에 대한 과학적이고 전면적인 장르적 특징을 파악하고 텍스트 장르의 기능적 특징과 문법적 연어 사용 패턴 간의 연계성을 이해하고 번역 활동과 연습을 통해 장르관습을 적절하게 표현하는 번역 글쓰기 훈련을 강화하는 교수학습 방식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특히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통)번역 교육을 주목하여, 한국어 통번역 학습자의 장르별 문법적 연어 습득 문제를 연구하는 데 학술적 의의가 지닌다. 그동안 비교 코퍼스를 기반한 한국어 번역 글쓰기 특징과 번역 보편소 가설 검증 연구는 주로 문학 텍스트 장르에 초점을 맞춰 왔으며, 번역 교육에 대한 교육적 함의를 충분히 다루지 못한 한계가 있었다. 이는 본 연구의 창의적 시도로, 번역 교육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는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한국어 통번역 학습자의 한국어 통번역 글쓰기 말뭉치를 통해 고급 이상 수준의 특수 목적 한국어 학습자들이 직면하는 한국어 습득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더욱 효과적인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마지막으로, 학습자 통번역 글쓰기 코퍼스의 가치를 충분히 살려, B 언어로서의 한국어 통번역 교육에 유용한 기초 연구자료를 개발하고자 하고 이를 통해 한국어 번역 교육에서 실질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기초 연구 자료를 제공할 수 있기를 바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atterns of grammatical collocation usage by genre in Korean translation and interpreting (T&I) texts produced by both professional Korean-Chinese translators and Chinese learners of Korean T&I. The primary objective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grammatical collocation usage in translated texts and, based on this analys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e of education on genre-specific grammatical collocation usage in Korean T&I courses for Chinese learners. Ultimately, this study seeks to explore pedagogical approaches to enhance the appropriateness of genre-based grammatical collocation usage in Korean translation writing.
To achieve these objectives, Chapter II establishes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grammatical collocation usage in Korean translation writing. This includes an examination of the conceptual definition, characteristics, and semantic-functional types of Korean grammatical collocations within the specific context of T&I education. Additionally, based on key features of the translation universals hypothesis, the study analyzes grammatical collocation usage in Korean T&I writing and employs it as an indicator for verifying translation universals, providing theoretical insights for improving Korean translation writing for non-native speakers.
Chapter III employs a comparative corpus research methodology to systematically analyze grammatical collocation usage in learner-produced Korean T&I texts. A corpus of approximately one million tokens was constructed, comprising non-translated Korean texts, Korean texts translated from Chinese, and texts written by Chinese learners of Korean T&I. The corpus is further divided into two sub-genres—news articles and political speeches. Using the N-gram extraction method, grammatical collocations were identified, their frequencies calculated, and their occurrences categorized based on semantic-functional types.
Through the construction of a learner translation corpus, this study conducts a multi-group comparative analysis across three groups: non-translated Korean texts, professional Korean translations, and learner-produced translations. By systematicall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T&I writing and identifying learners' translation challenges, the study statistically compares grammatical collocation usage in professional translations and non-translated Korean texts by genre, verifying translation universals hypotheses in the process. The results reveal genre-based differences in grammatical collocation usage within Korean translated texts, with notable tendencies of simplification and normalization, two key characteristics of translation universal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categorizes the genre-specific grammatical collocation usage patterns in Korean translation writing for news articles and political speeches.
Building upon the verification of translation universals hypotheses, the study conducts a systematic comparative analysis of grammatical collocation usage in Korean (T&I) texts produced by Chinese learners. The findings indicate that learners demonstrate a general lack of genre-specific grammatical collocation usage when writing in Korean. Moreover, various challenges related to simplification and normalization strategies were observed, such as insufficient usage, excessive use, over-simplification, and inadequate normalization. These results suggest limitations in learners' acquisition of Korean as a B language.
Chapter IV presents an educational survey on Korean T&I learners enrolled in Chinese MTI (Master of Translation and Interpreting) programs, focusing on their knowledge of "genre-based grammatical collocation usage in Korean." The survey consists of an analysis of Korean-Chinese T&I textbooks used in graduate programs, a questionnaire on learners' awareness, and interviews with instructors. The textbook analysis reveals that translation textbooks published in the past decade lack detailed explanations of functional genre characteristics and systematic descriptions of genre-based grammatical collocation usage. Furthermore, the study identifies insufficient linkage between textual features, translation strategies based on translation universals, and language selection, as well as a lack of sufficient practice exercises addressing genre-specific grammatical collocations.
Survey results indicate that learners highly recognize the usefulness and necessity of genre-based grammatical collocation knowledge for improving translation writing. However, they express dissatisfaction with the effectiveness of existing textbooks and instructional methods, highlighting the need for more in-depth learning. Interviews with instructors reveal that instruction on "linguistic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ext genres," including grammatical collocation knowledge, is largely at the discretion of individual faculty members, leading to inconsistencies in content coverage, depth, and standardized teaching methods. These findings underscore the need for a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teaching and learning model to enhance the appropriateness of Chinese learners' grammatical collocation usage by genre in Korean T&I.
Following the confirmation of the necessity of teaching genre-based grammatical collocations to Korean T&I learners, the study explores a pedagogical model that incorporates "genre analysis methods" into T&I courses. By analyzing native Korean texts, Chinese texts, and translated Korean texts, this approach seeks to systematically identify genre characteristics,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extual functions and grammatical collocation usage patterns, and reinforce translation writing training through targeted translation exercises.
This study holds academic significance in its focus on T&I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particularly in addressing the acquisition of genre-specific grammatical collocations among Korean T&I learners. Previous corpus-based research on Korean translation writing and translation universals hypotheses has predominantly focused on literary texts, often neglecting the pedagogical implications for translation education. This study represents an innovative attempt to fill this gap by providing foundational materials for exploring new directions in translation pedagogy.
Additionally, through the analysis of a learner corpus of Korean T&I writing, this study contributes to identifying challenges in Korean language acquisition faced by advanced learners of Korean for specific purposes. Based on these findings, it proposes more effective educational strategies for improving translation training. Finally, by utilizing the learner translation corpus,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fundamental research resource that can be practically applied in Korean T&I education, ultimately contributing to the advancement of translation pedagogy for Korean as a B language.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222392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89718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