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영어의 모음 변이(The Great Vowel Shift)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인숙-
dc.date.accessioned2009-04-14-
dc.date.available2009-04-14-
dc.date.issued1976-
dc.identifier.citation영학논집, Vol.1, pp. 117-142-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2674-
dc.description.abstract1.1. 本積에서 는 영어의 母音變異 (以下 GVS로 표기 하겠음)중에서
가장 중요한 爭點이 되어온 中世英語圖母音의 變異에 관한 종래의 이론
들을 개관하고 이를 뒷받침하는 여러 증거들을 채검토하며 그 증거들을
가장 찰 섣명하고있는 이론이 어느것인가를 평가하려고 한다.
1. 2. 영어학에 관한 개론서들 중에서 우선 손에 잡히는 대로 골라
보아도 GVS의 중요쟁점이 무엇인가는 곧 알 수 있다. Pyles (1964)와
Potter (1950) 가 각각 다루고있는 GVS의 대목을 비교해보면 ME /i/,/u/
가 이중모음이 되고 나머지 장모음(long, tense vowels)은 모두 調音
위치가 한 단계씩 上昇했다는 점에서는 의견을 같이하고 있으나, ME
/i/,/u/가 각각 /ay/, /aw/로 변한 중간경로(intermediate stages) 가 다
른것이 곧 눈에 띈다. 비교의 펀의상 Pyles의 장모음의 추이를 나타내
는 table을 Potter 식으로 고쳐쓰면 다음과 같다.
1.3. 음운변화 일반에 관해서는 여러가지 방법론이 제기되고 또한
형식화될 수 있다. 여기서는 GVS 에 관하여 흔히 시도되어온 접근법들
이 무엇인가를 먼저 살펴 보고 본 연구의 위치를 재확인하겠다.
-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영어영문학과-
dc.subjectGVS-
dc.subject모음변이-
dc.subject중세영어 고모음-
dc.title영어의 모음 변이(The Great Vowel Shift)-
dc.typeSNU Journal-
dc.citation.journaltitle영학논집(English Studies)-
dc.citation.endpage142-
dc.citation.pages117-142-
dc.citation.startpage117-
dc.citation.volume1-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