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칠오조 소고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국정효-
dc.date.accessioned2009-04-14-
dc.date.available2009-04-14-
dc.date.issued1976-
dc.identifier.citation영학논집, Vol.1, pp. 173-194-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2677-
dc.description.abstract七五調는 開化期의 關風속에 韓國詩文學에 登場한 以來 確立된 蔑視속에 七十有餘年의 命服을 이어 何等 正式 命名節次없이 그러나 꽤 一般的으로 이를 일러 民謠調라 誤稱하게 된 오늘에 이르렀다. 하기야 이 律格을 우리 가 民謠調 라고 부르게 된 經緯를 우리의 體貌를 잃지않는 方向으로 說明할 길이 全혀 없는 것은 아니다. 이 律格이 바로 開化期 直前까지 盛行하던 李朝의 歌詞나 또는 時調의 律格들을 넘어 뛰어서 麗謠의 律格을 되찾은 것이라고. 사실 現存하는 麗謠들을 注視하면 七音과 五音이 接置된 句가 더러 눈에 뜨인다.-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영어영문학과-
dc.subject한국시문학-
dc.subject민요조-
dc.subject개화기 한국시문학-
dc.title칠오조 소고-
dc.typeSNU Journal-
dc.citation.journaltitle영학논집(English Studies)-
dc.citation.endpage194-
dc.citation.pages173-194-
dc.citation.startpage173-
dc.citation.volume1-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