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종교언어(宗敎言語)로서의 공안(話頭) : Koan as a Language of Religion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윤원철-
dc.contributor.author강은애-
dc.date.accessioned2009-06-15T23:11:46Z-
dc.date.available2009-06-15T23:11:46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citation종교와 문화, Vol.7, pp. 59-79-
dc.identifier.issn1976-7900-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4653-
dc.description.abstract베르나르 포르(Bernard Faure)는 선문(禪門)에서 말하는 돈(頓)의 개념에 다중의 상보적인 의미가 있음을 지적하고 그것을 ①신속(fast) ②절대(absolute) ③무소의, 무매개라는 뜻에서 즉각(immediate or not mediated) 등으로 제시한다. 포르(Faure)의 세 가지 돈(頓)의 개념에서 언어, 문자의 문제와 가장 긴밀한 관계를 가지는 것은 세 번째 무매개(無媒介), 무소의(無所依)의 개념이라 할수있다. 선문(禪門)에서는 어떠한 매개도 거치지 않고 곧바로 자성(自性), 진여(眞如)의 세계로 나아감을 강조한다. 그리하여 간화선(看話禪)의 수행 전통에서는 공안(公案)이리는 독특한 방편(方便)을 활용함으로써 곧바로 진여자성(眞如自性)을 체득하고자 한다. 그러나 공안이 가지는 언어적 속성으로 인해 공안은 공안 참구자(수행주체)의 태도에 따라 활구(活句)와 사구(死句)의 미묘한 양극을 오고 가는(oscillation) 역동적 긴장을 빚는다. 그리고 그러한 긴장이 불러일으키는 문제들을 바라보는 관점에 따라 다양한 이견이 개진되고, 선담론을 둘러싼 활발한 논쟁이 벌어지고 있다.-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dc.title종교언어(宗敎言語)로서의 공안(話頭)-
dc.title.alternativeKoan as a Language of Religion-
dc.typeSNU Journal-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Yun, Won Chol-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Kang, Eun Ae-
dc.citation.journaltitle종교와 문화(Religion and Culture)-
dc.citation.endpage79-
dc.citation.pages59-79-
dc.citation.startpage59-
dc.citation.volume7-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