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S-Space
College of Dentistry/School of Dentistry (치과대학/치의학대학원)
Dept. of Dentistry (치의학과)
Journal Papers (저널논문_치의학과)
The Effect of Chlorhexidine on the formation of bone nodules by Periodontal ligament Cells in Vitro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Choi, Hui-Jun | - |
dc.contributor.author | Kook, Joong-ki | - |
dc.contributor.author | Jang, Hyun-Seon | - |
dc.contributor.author | Park, Joo-Cheol | - |
dc.contributor.author | kim, eung-Joong | - |
dc.contributor.author | Kim, Chong-Gwan | - |
dc.contributor.author | Kim, Byung-Ock | - |
dc.date.accessioned | 2010-02-01T06:12:51Z | - |
dc.date.available | 2010-02-01T06:12:51Z | - |
dc.date.issued | 2006 | - |
dc.identifier.citation | 대한치주과학회지 2006;36:375-383. | en |
dc.identifier.issn | 0250-3352 | - |
dc.identifier.uri | http://uci.or.kr/G100:I100-KOI(KISTI1.1003/JNL.JAKO200621452724740) | - |
dc.identifier.uri | https://hdl.handle.net/10371/47452 | - |
dc.description.abstract | 사람치주인대섬유모세포(human periodontal ligament fibroblast, PDLF)의 기능 손상과 클로르헥시딘(Chlorhexidine, CHX)의 세포독성에 관한 분자적인 기전은 최근까지도 불명확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PDLF에 의한 골결절 형성에 있어서 CHX의 효과를 평가하고, 치주수술후에 치주병원균의 최소억제농도(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MIC)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CHX의 세포독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MTT assay법을 실시하였다. CHX은 0.12%에서 0.00012%까지, 즉 10-1000배로 희석시킨 후 30, 60, 120초 동안 PDLF에 적용되었고, 석회화된 결절은 alizarin red 용엑에 염색되었다. 치주병원균에 대한 CHX의 MIC가 평가되었다. 이 연구 결과, 세포생존율 검사에서는, 단지 0.12% CHX 에 노출되었던 세포들만 세포 증식 소견을 다소 나타내었다. 모든 CHX 농도(0.12%-0.00012%)에서 PDLF에 의한 골결절 형성은 의미있는 감소를 나타내었다. 또한 치주병원균에 대한 CHX의 MIC는 0.0012%로 나타났다. PDLF의 골결절 형성에 영향을 주는 농도(0.00012%)는 세포독성을 나타내는 농도(0.12%)보다 더 낮은 농도를 보였고, 치주병원균의 최소억제에 필요한 농도는 0.0012%로 나타났다. 이런한 결과들은 통상적으로 상용되는CHX이 PDLF에 의한 골결절 형성에 있어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 en |
dc.description.sponsorship | This study was supported by a grant of the korea Health 23 R&D Project, Ministry of Health & Welfare, Republic of korea. | en |
dc.language.iso | en | en |
dc.publisher | 대한치주과학회 | en |
dc.subject | 클로르헥시딘 | en |
dc.subject | 사람치주인대섬유모세포 | en |
dc.subject | 골결절 | en |
dc.subject | 최소억제농도 | en |
dc.title | The Effect of Chlorhexidine on the formation of bone nodules by Periodontal ligament Cells in Vitro | en |
dc.type | Article | en |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 | 최희준 | - |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 | 지숙 | - |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 | 국중기 | - |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 | 장현선 | - |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 | 박주철 | - |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 | 김흥중 | - |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 | 김종관 | - |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