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高麗中期 禪宗의 復興과 看話禪의 展開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許興植 | - |
dc.date.accessioned | 2010-04-27T01:23:05Z | - |
dc.date.available | 2010-04-27T01:23:05Z | - |
dc.date.issued | 1982-12 | - |
dc.identifier.citation | 奎章閣, Vol.6, pp. 1-26 | - |
dc.identifier.issn | 1975-6283 | - |
dc.identifier.uri | https://hdl.handle.net/10371/63423 | - |
dc.description.abstract | 高麗前期의 禪宗은 光宗治世의 전반까지 전성기를 이루었다. 그러나 그 후반기에 華嚴宗이 부상하면서 法眼宗으로 유학한 계통의 신종만이 어느 정도 宗勢를 유지하였을 뿐이고, 그 이후 선종계는 대체로 침체한 상태를 면하지 못하였다. 특히 고려의 全盛期라 할 수 있는 文宗이후 睿宗까지의 선종에 대한 자료는 거의 남아 있지 않을 정도로 종세가 미약하였다. 이 때문에 고려후기에 디시 수많은 禪僧이 배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연결시켜 이해하기가 매우 어려워진다. 따라서 고려후기의 선종에 대해서 계기적으로 이해하기 위하여 중기의 禪宗史는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생각된다. | - |
dc.language.iso | ko | - |
dc.publisher |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 |
dc.title | 高麗中期 禪宗의 復興과 看話禪의 展開 | - |
dc.type | SNU Journal | - |
dc.citation.journaltitle | 奎章閣 | - |
dc.citation.endpage | 26 | - |
dc.citation.pages | 1-26 | - |
dc.citation.startpage | 1 | - |
dc.citation.volume | 6 | - |
- Appears in Collections:
- Kyujanggak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규장각한국학연구원)규장각규장각 (奎章閣) vol.06 (1982)
- Files in This Item: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