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S-Space
College of Fine Arts (미술대학)
Visual Arts Institute (조형연구소)
Form Archives (조형 아카이브)
Form Archives (조형 아카이브) vol.01 (2009)
국내 미술아카이브Art Archives 설립 시도 사례 : Domestic Art Archives establishment trial case
- Authors
- Issue Date
- 2009
- Publisher
- 서울대학교 조형연구소
- Citation
- Form archives, Vol.1, pp. 93-116
- Abstract
- 이제 바야흐로 한국 문화계에서도 예술아카이브를 본격적으로 논의하는 단계에 이르
렀다는 생각이 든다. 이 글에서는 논의를 더욱 구체화하기 위해 국내에서 미술아카이
브 설립을 시도한 하나의 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정확히 말하자면 그것은 아직 완료
되지 못한 프로젝트이다. 글을 시작하기 전에 아카이브의 개념, 아카이브컬렉션의 특
성과 종류, 그리고 예술아카이브컬렉션의 특수성에 대해 간단히 정리하겠다.
아카이브란 공공의 기록이나 역사적 기록물을 저장하는 장소, 혹은 그 대상이 되
는 기록물을 말한다. 그러므로 아카이브기관의 임무는 사료적 가치를 갖는 기록물들을
영구보관하고 기록물들의 다양한 활용을 위해 운영하는 것이다. 저장대상이 되는 기록
물, 즉 아카이브컬렉션의 특성은 일반적인 도서와 달리 비非출판물이며 유일무이한 원
본이라는 점이다. 컬렉션의 품목은 개인이나 기관이 생성한 문서류(서신, 일기, 행사 관
련 서류, 스크랩북, 회의록 등), 사진류(사진, 네거티브필름, 슬라이드 등), 그래픽류(초
청장, 포스터, 도면, 프로그램, 스케치북 등), 오디오/비디오류, 사물류(상패, 기념품, 소
품 등)들이다. 특히 예술아카이브는 준準작품적 성격을 띄며, 작품과의 밀접한 연관성
및 다양한 매체로 구성된 컬렉션이라는 특수성을 갖는다.1
국내에서 미술아카이브는 그 동안 고가의 미술품을 소장하고 전시하는 미술관만
큼 주목받는 사업이 아니었다. 그러나 바야흐로 이제 미술관과 함께 예술 문화사 연구
에 없어서는 안 될 파트너로서 의미 있는 사업이 되려 하고 있다.
- ISSN
- 2093-1263
- Language
- Korean
- Files in This Item: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