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천태지의의 불성론 : 삼인불성(三因佛性)을 중심으로 : The Buddha-nature Theory of Tian-Tai Zhiyi : through Theory of Threefold Buddha-nature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정희

Issue Date
2010
Publisher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Citation
철학사상, Vol.35, pp. 3-27
Keywords
천태지의불성삼인불성불이T’ian-T’ai ZhiyiBuddha-natureThe theory of threefold Buddha-naturetheory of nondualityemptiness
Abstract
이 글은 천태지의의 삼인불성을 통해 그의 불성론을 살펴본 것이
다. 중국불교도들은 불성론을 모든 중생의 깨달음의 가능성을 주장하는 이
론으로서 대승불교의 가장 뛰어난 교의로 간주했다. 현대의 중국불교학자
들은 종종 불성을 인도불교의 중국화와 관련해서 논의했다. 이들에 따르면,
불성은 중생과 부처가 공유하는 형이상학적 실체로서 깨달음 자체이자 모
든 중생의 최종적인 깨달음을 보장하는 초월적 실재이다. 이러한 불성은
모든 존재가 조건에 의존해서 존재한다는 불교의 연기(緣起)와 대립한다.
불성론은 인도불교로부터의 일탈이자 비불교라는 주장은 이렇게 성립했다.
본고는 이러한 문제에 직면해서 천태지의의 삼인불성을 통해 불성의 의미
에 대해 살펴보았다. 지의는 자신의 불교사상이 공사상에 근거한다고 주장
하는 한편, 불성을 대승불교의 핵심적 교의로 간주했다. 이는 지의가 불성
을 형이상학적 실체로서 보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공사상은 모든 존
재가 조건에 의존해서 일어나기 때문에 실체가 없다고 주장했기 때문이다.
본고는 지의의 삼인불성을 통해 중관사상에 근거한 불성의 의미를 밝혔다.
그 의미는 두 가지로 요약된다. 하나는 중생과 부처의 불이(不二)를 주장한
다는 것, 수행은 중생 자신의 참된 모습을 통찰하는 과정이기 때문에 모든
중생은 불교의 수행을 실천할 수 있다는 주장이 다른 하나이다. This article is an inquiry into the meaning of Buddha-nature in
Chinese Buddhism through the theory of Threefold Buddha-nature of
T'ian-T'ai Zhiyi. In general, Buddhist scholars have regarded
Buddha-nature to be a metaphysical principle which all sentient
beings share and which ensures their final enlightenment. Here, we
run across a contradiction: If Buddha-nature means transcendental
reality, it could not be compatible with Nāgārjunas theory of
emptiness, which denies metaphysical substance free from causes
and conditions. In regard to this question, this article focused on
Tian-Tai Zhiyis theory of Threefold Buddha-nature. The Buddhist
thought of Zhiyi was based on Nāgārjunas theory of emptiness. He
regarded the Buddha-nature doctrine as being among the principal
tenets of Mahāyāna Buddhism. It follows from these that Zhiyi
didnt consider Buddha-nature as a metaphysical substance. There
are two ways to analyze Zhiyis theory of Threefold Buddha- nature.
The first way is to interpret the meaning of Buddha-nature as a
direct cause of Buddhahood. Second, I examine the relationship of
Buddha-nature as a direct cause of Buddhahood, Buddha-nature as a
complete cause of Buddhahood and Buddha-nature as an auxiliary cause of Buddhahood. According to Zhiyi, the theory of Threefold
Buddha-nature signifies the theory of nonduality that negates the
duality of sentient beings and Buddha in terms of soteriological
context. Negating dualism is justified on the basis of the theory of
emptiness.
ISSN
1226-7007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6873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