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S-Space
College of Humanities (인문대학)
Institute of Latin American Studies (라틴아메리카연구소)
Webzine TransLatin (웹진 트랜스라틴)
Webzine TransLatin (웹진 트랜스라틴) No.05 (2009.01)
오바마와 라틴아메리카
- Authors
- Issue Date
- 2009-01-03
- Publisher
- 서울대학교 라틴아메리카연구소(SNUILAS)
- Citation
- Translatin, Vol.5, pp. 27-41
- Keywords
- 버락 오바마 ; 대라틴아메리카 정책 ; 새로운 미주협력 ; 선거공약 ; Barack Obama ; Regional policy toward Latin America ; A New Partnership for the Americas ; Campaign platforms
- Description
- 이 글의 출처는 http://www.coha.org/2008/10/obama-on-latin-america/이며,
원제는 Obama on Latin America이다.
- Abstract
- 선거일이 다가올수록 대통령 후보 존 매케인과 버락 오바마는 이
라크전이나 세계금융위기 같은 주요 대외정책 이슈에 관심을 집중하
고 있다. 반면 라틴아메리카 관련 대외정책은 최근의 대선후보토론이
나 가두연설에서 사라졌다. 양 후보가 대중의 관심이 높은 국내외 사
안 관련 핵심공약을 되풀이하면서 막판 지지자들을 끌어들일 방법을
모색하고 있기 때문이다. 예외가 있다면 최근 대선후보토론에서, 자
국에서 노조 지도자의 암살이 횡행하는 데도 무관심한 태도를 보이는
콜롬비아 정부에 대한 오바마의 짧은 언급이다.
그렇지만 버락 오바마는 선거운동 내내 미국-라틴아메리카 관계
정책 의제를 개발해 왔다. 2008년 5월 전미쿠바미국재단
(Cuban-American National Foundation) 참석을 계기로 그는 상호
이해와 주권 존중에 입각하여 양 대륙 관계의 새로운 시대를 열어야
한다는 제안을 하기 시작했다. 이와 유사하게 부통령 후보 조 바이든
의 상원 투표 기록은 라틴아메리카 지역문제에 대한 그의 입장을 보
여준다. 조 바이든은 오랜 세월동안 미국의 통상적인 라틴아메리카
접근 방식에서 거의 이탈한 적이 없다. 과거에는 건설적인 포용 정책
그리고 평등과 사회적 정의를 증진시킬 계몽된 대 라틴아메리카 정책
을 추진할 혜안을 지닌 전문가들이 출현했던 황금시대가 있었노라고
말할 계제가 아니다.
- Language
- Korean
- URI
- http://translatin.snu.ac.kr/translatin/0901/pdf/Trans09010503.pdf
https://hdl.handle.net/10371/69154
- Files in This Item: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