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S-Space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행정대학원)
Dept. of Public Administration (행정학과)
Korean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행정논총, KJPA)
Korean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행정논총) vol.41 (2003)
朝鮮朝 鄕約의 福祉行政機能과 意義 : A Study on the Significance and the Function of Welfare Administration of Hyangyak in Chosun Dynasty
- Authors
- Issue Date
- 2003-03
- Publisher
-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 Citation
- 행정논총, Vol. 41 No. 1, pp. 23-45
- Abstract
- 향약이란 향인들끼리 마련한 약속으로 향촌의 교화와 선도를 통한 고대 이상 사회(idea society)의 구현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주자학의 전래와 함께 유입된 향 약은 조선조의 사회에서 향촌의 교화를 통하여 이상사회의 확립을 이루고자 했 던 것이며, 향약의 본문에 해당하는 4 대 덕목(德目)온 이와 같은 향약의 목적에 기여했던 것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향약은 국가에서의 장려사항이었을 뿐 의무사항은 아니었으므로 모든 촌락에 보급되지는 않았으나 주자학에 뜻이 있는 학자나 선비가 있는 지역공동 체에서는 제각기 현지사정에 맞도록 약간씩 변형시키면서 실천함으로써 주민들 의 공동체생활에 크게 기여하였다. 향약용 원칙척으로 주(州) • 현(縣)을 단위로 한 것이나 지역의 실정에 따라 소 규모적으로 촌락을 중심으로 해서 발전되기도 했다. 따라서 우리나라에 있어 민 간부문에 의하여 자발적으로 주도된 공동체운동이라는 데 그 의의가 있다. 향약의 주된 내용을 보면 덕업상권(德業相勸),과실상규(過失相規),예속상교(禮俗相交),환난상휼(患難相恤)온 공통사항이었는데 사회복지기능은 환난상휼에 집 약되며 이러한 성격은 사회북지기놓의 온상(溫味)이 되어 왔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향약의 사회복지기놓의 의의롤 구명(究明)하기 위해서는 향약과 사회복 지와의 함수관계을 살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 ISSN
- 1229-6694
- Language
- Korean
- Files in This Item: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