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S-Space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행정대학원)
Dept. of Public Administration (행정학과)
Korean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행정논총, KJPA)
Korean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행정논총) vol.41 (2003)
시차이론에 의한 5 급(사무관) 승진제도 사례분석: 심사승진 방식의 채택과 운용을 중심으로 : A Case Study on Adopting and Managing the New Way of Promotion to Middle Level(Fifth Rank) Civil Servant with Time-Lag Perspectives
- Authors
- Issue Date
- 2003-06
- Publisher
-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 Citation
- 행정논총, Vol. 41 No. 2, pp. 203-227
- Abstract
- 계급제를 중심으로 운용되고 있는 우리나라 공무원제도에 있어 5급 사무관은 흔히 공무원의 꽃이라고 불린다. 따라서 5급 사무관으로의 승진은 하위직 공무원 들의 가장 중요한 동기적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5급 사무관으로의 승진은 종래 에 시험에 의한 승진방식으로 운영되었다. 그러나 1996년부터 시험에 의한 승진방 식과 함께 심사에 의한 승진도 가능하도록 제도가 바뀜으로서 승진제도의 운영에 커다란 변화를 가져오게 되었다. 즉,시험승진과 심사승진을 택일하든지 병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음에도 심사승진의 방식을 택하고 있는 기관이 급속히 확산되 어 심사승진 방식이 5급 사무관 승진의 주류적인 제도로서 자리 잡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5급 사무관 승진제도 변화의 전개과정을 살펴본 후 심사승진방 식이 급속히 확산된 배경과 심사승진방식의 채택 및 운영에 작용하는 영향요인 들을 시차적인 관점에서 식별하였다. 그리고 이렇게 식별된 영향요인들을 중심으 로 심사승진방식의 운영에 작용하는 시간적 동태성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보았다. 먼저 제도의 도입기,확산기, 안정기 동으로 나누어 시기별 영향요인들의 특성 올 살펴보았다. 그리고 심사승진에 의한 승진방식이 우리나라 5급 사무관 승진제 도로서 도입기,확산기를 거쳐 안정기에 접어들었다고 진단한 후,심사승진방식 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 고려해야 할 측면들을 제도 내적인 측면과,제도외적인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 ISSN
- 1229-6694
- Language
- Korean
- Files in This Item: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