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지방양여금제도의 개편방향에 관한 연구 -지방양여금 배분구도의 재설정과 재원의 안정적 확보방안을 중심으로-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오연천-
dc.date.accessioned2010-12-21T22:03:06Z-
dc.date.available2010-12-21T22:03:06Z-
dc.date.issued1993-
dc.identifier.citation행정논총, Vol.31 No.2, pp. 106-126-
dc.identifier.issn1229-6694-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71744-
dc.description.abstract1991년에 신설된 지방양여금제도는 중앙정부 조세수입의 중앙·지방간 재배분장치로서 제도적 의의가 부각될 뿐 아니라 중앙·지방정부 재정구조에 괄목할만한 변화를 초래했다. 특히 1994년부터는 목적세 신설에 따른 지방교부세제도의 기능이 약화되는 공백을 지방양여금제도를 통해 보완하려는 정책 노력도 시도되는 등 종전 지방교부세와 국고보조금을 근간으로 운영되던 지방재정조정제도에 새로운 역할과 운영방식이 추가된 효과를 보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방양여금제도의 개편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특히 다음의 두가지 측면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첫째, 현재 특정재원형 지방양여금의 특징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일반재원형과 특정재원형의 장단점을 파악한 후 보다 합리적인 양여금 배분구도를 재설정하기 위한 정책적 방향을 논의한다. 둘째, 현행 주세, 전화세, 토지초과이득세로 구성된 양여금 재원이 세수확보의 측면에서 불안정하게 구성되었음을 지적하고 보다 안정적인 양여금 재원구성을 위한 정책적 방향을 논의한다.-
dc.description.sponsorship본 연구는 1993년 서울대학교 발전기금의 지원으로 이루어졌음.-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dc.title지방양여금제도의 개편방향에 관한 연구 -지방양여금 배분구도의 재설정과 재원의 안정적 확보방안을 중심으로--
dc.typeSNU Journal-
dc.citation.journaltitle행정논총(Korean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dc.citation.endpage126-
dc.citation.number2-
dc.citation.pages106-126-
dc.citation.startpage106-
dc.citation.volume31-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