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가설 구성과 이에 관련된 몇가지 문제점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해동

Issue Date
1981
Publisher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Citation
행정논총, Vol.19 No.2, pp. 266-279
Abstract
조사문제를 형성함에 있어서 중요한 배려사항의 하나는 그 문제가 시험에 가능하도록(testable)형성되어야 함은 여러곳에서 지적한바와 같거니와 이말은 결국 경험적으로 그것의 사실여부를 확인할 수 있거나 그것의 개연성의 정도(degree of probalility)를 제시할수 있도록 되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그것의 타당성여부나 개연성의 정도를 제시한다는 말은 그 문제에 대한 대답이나 해결을 얻을 수 있는 근거를 얻을 수 있다는 뜻이 되기도 한다. 그러기 위하여는 우선 그 문제에 대한 정책이라고 생각되는 바의 것을 제시할 것은 과학적방법은 요구한다. 그리하여 정책이라고 생각되는 바의 것을 시험(test)하여 보아서 그것의 타당성이 확인되면은 정책이라고 생각되는 바의 것이 그 문제에 대한 정책이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정책이라고 생각되는 바의 것이 시험의 결과 반드시 타당한 것으로 판단될 보장은 물론없다. 이러한 과학적 방법의 절차는 그 근본적으로는 다분히 시행착오적인 일면이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수 있다. 따라서 조사자는 그의 지식과 경험을 총동원하여 가장 정책에 가깝다고 생각되는 바의 것이 제시되도록 하여야 함은 말할 나위도 없다. 물론 이때 그러한 정책(잠정적)은 그것의 타당성여부를 가릴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그러한 까닭에 조사문제를 형성한다는 말에는 이러한 잠정적 정책까지를 포함한다고 말할수 있다.
ISSN
1229-6694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7195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