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한국의 근대화와 Communication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안해균

Issue Date
1964
Publisher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Citation
행정논총, Vol.2 No.1, pp. 104-125
Abstract
특정국가의 정치 및 행정현상을 과학적으로 분석연구하려며는 그 사회적 환경을 이해하고 그것과의 상관관계속에서 그 특수성과 과제를 발견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것은 국민개개인, 입법부 정부기관 및 각종 사회집단간의 상호작용과 그 영향관계가 상기한 특수성을 규정하는 까닭이다. 특히 그와 같은 상호작용을 직접적인 것과 간접적인 것으로 구분해 볼때 communication이 그 기본적인 수단이라고 보지 않을 수 없다. 오늘날 이와 같은 communicatio 특히 mass com.에 대한 학문적 관심은 점차 고조되어 가고 있는데 그 관심의 초점은 주제와 관련시켜 볼때 mass com.이 사회적 태도측정의 media로서 중앙정부의 지도권의 강화 및 설득수단으로서 대답상호간은 물론 각종 집단간의 의사전달 및 설득기능으로서 취급하여 제반문제를 해결하려는데 집중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특히 후진국가에 공통하는 제조건하에서 근대화를 지향하려는 한국에 있어서는 더욱 학문적인 관심 뿐만 아니라 이 분야를 통한 실천적 과제해결에 필요한 방법론의 모색이 절실하게 느껴진다.
ISSN
1229-6694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72398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