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국권상실 전후 시기(1905~1918) 동아시아 국제정세의 변동과 한민족의 국권회복운동 : The trend of international circumstances in East Asia and movement for restoration of its sovereign of Korean nation about the time of the loss of Korea's sovereign rights(1905~1918)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현광호

Issue Date
2010
Publisher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Citation
한국문화, Vol.52, pp. 285-313
Keywords
The loss of Korea' sovereign rightsKorean nationalistsRusso-Japanese conventionWorld WarⅠThe united front
Abstract
일본은 러일전쟁을 계기로 한일의정서, 을사늑약, 한일합병조약등을 강압적으로 체결했다. 이들 조약들은 모두 총칼을 앞세워 한국에 강요한 것들이었다. 특히 한국의 운명을 결정지은 을사조약과 한일합병조약은 황제의 비준을 받지 못했다.

이들 조약들은 체결당시에도 불법성이 제기됐고, 최근에 들어서도 불법성이 재차 지적됐다. 한국민은 일련의 조약들을 전면 부정하는 한편 일본에 대해 국권의 반환을 요구했다. 일제는 병합에 대해 한국민의 동의를 받지 못했으므로 식민지배 기간 내내 무단통치로 일관했다.

올해는 대한제국이 국권을 상실한지 100주년이다. 한, 일 지식인들은 한일병합조약의 원천적 무효를 선언했으며, 특히 일본 지식인들은 자국 총리에게 병합공표 100주년에 맞춰 식민지 지배를 사과해야 한다고 건의했다. 그것은 일본사회 일각이 제국주의적 침략을 반성하고 있다는 표시로 볼 수 있다. 한국과 같이 일제의 침략을 경험했던 중국, 필리핀 지식인들도 한, 일 지식인들의 선언을 지지했다. 이 같은 흐름은 동아시아 평화공동체 구축에 긍정적인 신호라 볼 수 있다.

한편 한국에서는 국권상실 100주년을 맞이하여 식민지 전락의 원인, 국권회복운동에 대한 관심이 한층 고조되고 있다. 러일전쟁 때 한국은 중국과 동일하게 전쟁지역이었다. 그런데 러일전쟁 이후 중국은 식민지화를 모면했지만 한국은 식민지로 전락했다.

Korean nationalists made an estimate possibility of outbreak of second Russo-Japanese War. Korean righteous army propelled the united front with Russia. But Russia bargain with Japan over Korea. Russia negotiated abort subject of Korean Peninsula and Manchuria with Japan. Russia concluded the first Russo-Japanese convention with Japan in July 1907. Russia cooperated with Japan from 1905 to 1917.

Since the beginning of 1910"s, Korean nationalists believed that Japan provoked War against Russia, the US., China. As a result, Korean national bloc migrated Russia, the US., China. Korean nationalists migrated China after outbreak of Sin Hae revolution(신해혁명). They expected asssistance of revolutionary party in China.

Outbreak of World War I collapsed balance of power in China. After Outbreak of World War I Japan reinforced aggressive policies toward China. Japan concluded the fourth Russo-Japanese convention with Russia in 1916.

As soon as Outbreak of World War I , korean national bloc propelled the united front with Russia, China. But the trend of international circumstances changed toward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ir desire. During period of World War I Japan was only conscious of movement of the US.. Therefore korean national bloc hoped for the US. and approached toward the US.. Korean national bloc planned tempt the principle of self-determination of peoples to gain korea" Independence. Korean national bloc" will was expressed in 3.1 Independent movement.
ISSN
1226-8356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7314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