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도덕의 본성에 관한 형이상학적 고찰 -일원론적 도덕 형이상학의 정립은 가능한가?- : A Metaphysical Consideration of the Nature of Morality —Monism or Dualism?—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Authors
- Issue Date
- 2010
- Publisher
-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 Citation
- 철학사상, Vol.38, pp. 99-134
- Keywords
- 도덕 형이상학적 일원론 ; 도덕 형이상학적 이원론 ; 도덕 실재론 ; 하이데거 ; 스피노자 ; 칸트 ; Moral-metaphysical Monism ; Moral Realism ; Martin Heidegger ; Benedict de Spinoza ; Immanuel Kant
- Abstract
- 현대 윤리학의 인식론적, 언어철학적 흐름은 도덕 언어가 그 의미를 확정할 수 없다거나 사용자에 따라 다르게 사용된다는 사실에 초점을 맞춤으로서 메타윤리학적 상대주의를 발전시키는 데 일조하였다. 최근에 이러한 상대주의에 반발하는 유력한 입장으로 주목받고 있는 도덕 실재론은 이러한 인식론적, 언어철학적 흐름에 맞서 도덕철학에서 형이상학을 다시 부각시켰다는 점에서 긍정적이지만, 그 핵심 개념인 도덕적 사실의 존재론적, 인식론적 지위를 분명히 해명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여전히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이러한 한계는 자연적 사실과 구분되는 도덕적 사실을 상정하는 도덕 실재론의 형이상학적 이원성에서 비롯되는바, 이 글에서는 이러한 맥락에서 윤리적 비상대주의를 고수하면서도 도덕 실재론에서와 같은 존재론적, 인식론적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는 도덕 형이상학적 일원론의 구성이 가능한가를 모색하고자 한다. 이는 도덕적 사실과 자연적 사실의 이원성을 전제하지 않으면서도 도덕의 형이상학적 근거를 해명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도덕 실재론에서와는 달리 여기에서는 자연적 사실과 도
덕적 사실처럼 둘로 구분되지 않는 하나의 사실이 규범성을 어떻게 정초하는지를 해명하는 것이 주요한 과제가 된다. 그런데 현재 규범윤리학계는 단일한 규범성을 전제하는 입장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기보다는 덕 이론, 결과론, 의무론 등이 각각 경합하고 있는 상황이므로, 필자는 이들 각 이론과 잘 연결될 수 있다고 생각하는 하이데거, 스피노자, 칸트의 형이상학을 각각 이들 이론과 연결시켜 도덕 형이상학적 일원론의 정초 가능성을 폭넓게 탐구해 보고자 하였다.
Epistemological and linguistic trends in modern philosophy helped metaethics to flourish in the 20th century. Many metaethical theories took note of the fact that the meaning of a moral assertion could not be exactly identified, and, as the result of this, relativism came to thrive in ethics. Recently, many metaethicians have once again grown interested in moral realism, which is metaethically reshaped nonrelativism.
Moral realists argue that the truth of moral assertions can be judged by moral facts. Moral realism revives moral metaphysics
against those epistemological and linguistic trends, but I believe that it does not elucidate the ontological and epistemological status of a so-called "moral fact." This is, I believe, moral realism has the stance of metaphysical dualism. Therefore, I try to suggest other forms of non-relativism: three versions of moral-metaphysical monism, in this article. This is because only monism can escape from these kinds of epistemological and ontological problems.
However, moral-metaphysical monism may reveal a different kind of problem: How we can justify the validity of moral assertions from one type of fact, which is neither natural nor moral? I depend on three philosophers: M. Heidegger, B. Spinoza, and I. Kant to answer this question. They may be connected respectively with virtue ethics,
consequentialism, and deontology, and this shows that at least three versions of moral-metaphysical monism can be proposed.
- ISSN
- 1226-7007
- Language
- Korean
- Files in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Item View & Download Count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