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설혜(薛蕙)의 『노자집해(老子集解)』에 나타난 성명지학(性命之學)에 관한 고찰 : A Study on the Learning of Human Nature and Mandate in Xue Huis Variorum Laozi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경희

Issue Date
2011
Publisher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Citation
인문논총, Vol.65, pp. 267-303
Keywords
설혜(薛蕙)『노자집해(老子集解)』성명지학(性命之學)도(道)유무(有無)체용(體用)허정(虛靜)질문(質文)Xue Hui(薛蕙)Variorum Laozi(『老子集解』)human nature and mandate(性命)Dao(道)being and non-being(有無)substance and function(體用)emptiness and tranquility(虛靜)substantial quality and ornamental accomplishments(質文)
Abstract
중국 역사에서 『노자』의 사상을 유가의 사상과 대립하는 것으로 보는 관점은 매우 뿌리가 깊다. 사마천(司馬遷)이 세상에서 노자를 배우는 자들은 유학을 물리치고 유학에서도 역시 노자를 물리친다. 도(道)가 같지 않으면 서로 의논하지 않는다고 하더니 이들을 두고 한 말인가?라고 한 말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양자의 관계를 화해 불가능한 것으로 보는 관점은 한대 초부터 존재했으며, 이 관점은 이후의 『노자』 이해에 지배적 영향을 미쳤다. 그런데 송대의 유가들은 이 관점을 단순히 학술적 분류에 적용하는 데 그치지 않고 자신들의 사상적 정체성과 이론 체계를 구성하는 데 본격적으로 활용하였다는 점에서 노학(老學)의 역사에서 특별한 의미를 갖는다. 이들은 그 출발부터 불(佛)․노(老)의 이론과 대결하고 그 사상들이 중국의 현실 문화에 미친 부정적 영향력을 극복하는 것을 주요 목표로 삼았기 때문에, 『노자』와 유가사상의 대립적 위상을
선명하게 드러내는 것은 자신들의 학술적 기초를 수립하는 데 필수적인 일이었다. 당 중기의 한유(韓愈)가 유학에 도통(道統) 관념을 도입함과 동시에 노장(老莊)에 대한 배척을 공공연히 천명한 것을 출발점으로 하여 이후 송대의 정주학(程朱學)에서는 노자의 사상을 이단(異端)으로서 공격하는 것이 중요한 학술적 전략이 되다시피 하였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노자』를 유가와 대립하는 사상 노선으로 귀속시키고 제한하는 것이 과연 타당한 것인가라는 의문 역시 끊임없이 존재해 왔으며, 이단론이 지배적으로 될수록 이런 의문 또한 강하게 제기된 것도 사실이다.
It was in the Ming Dynasty that most of the commentaries on the Laozi were written in China. Among these commentators, there were many Neo-Confucian scholars. Several Neo-Confucian commentators tried to comment favorably on the Laozi, breaking from the view that Laozi was heresy. Xue Hui(薛蕙) was the first commentator in the Ming Dynasty
that interpreted the Laozi from a Confucian viewpoint, and his Variorum Laozi (『老子集解』) became an exemplary commentary to subsequent Neo-Confucians who tried to embrace positively Laozis thought. This
paper studies the way that Xue Hui connected Laozis thought with the learning of human nature and mandate(性命之學) of Neo-Confucianism.
The Song Neo-Confucians sought to return to human nature(復性). Xue Hui argued that Laozi had the same purpose. According to him, Laozis Dao is identifiable as the principle of human nature that is rooted in
cosmological substance. However, most Neo-Confucians, including Chu Hsi, criticised Laozi for neglecting the aspect of being of Dao and the activity of mind. To refute such criticism, Xue Hui explained non-being
(無) as the substance(體) of Dao and being(有) as the function(用) of it,
and regarded the two aspects as inseparable. His theory of substance and function is based on Cheng Yis idea that substance and functions come from the same source, and there is no gap between the manifest and the
hidden.
ISSN
1598-3021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75923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