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아리스토텔레스의 보편자 이해와 개별주의 실체관 -『형이상학』 Z 13을 중심으로- : Aristotles Understanding of the Universal and His Individualist View of Substance in the Metaphysics Z 13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권혁성-
dc.date.accessioned2012-04-09T12:02:01Z-
dc.date.available2012-04-09T12:02:01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citation철학사상, Vol.39, pp. 59-99-
dc.identifier.issn1226-7007-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75965-
dc.description본고는 2010년 7월 10일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개최된 서양고전철학회 하계학술대회에서 발표된 논문으로서 본문의 표현들이 얼마간 다듬어지고 각주와 참고문헌에 약간의 보완이 가해진 완성본이다.-
dc.description.abstract본고는 『형이상학』 Z 13에 나타나는 보편자의 실체로서의 지위에 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비판과 여기에서 작용하는 그의 실체관을 그의 형이상학에서 첫째 실체로서 주목되는 본질로서의 형상에 대한 보편주의적해석에 대항하며 재조명하려 한다. 이 해석에 따르면, 그에게 있어 하나의 주어진 개별적 실체의 본질로서의 형상은 같은 종의 모든 개별적 실체들에 공통적인 종적 보편자이다. 그에게 있어 하나의 주어진 실체의 본질로서의 형상은 그것의 실체라고도 불리는 원리적 의미의 실체인데, Z 13에 따르면, 이것은 주어진 실체에 고유한 것이다. 따라서 그에게 있어 하나의 주어진 개별적 실체의 본질로서의 형상은 그것에 고유한 개별자이며, 반면 유와 종의 모든 보편자는 이런 원리적 의미의 실체의 지위에서 제외된다. Z 13에서 그는 또한 하나의 주어진 실체의 지위에서도 모든 보편자를 제외시키는데, 그에 따르면 어떤 이것으로서의 개별자만 이 지위를 갖는다. 이러한 개별주의적 실체관은 그의 『범주론』의 첫째 실체 이해에 연속되는 것으로서 어떤 이것이라고 불리는 개별자만이 단적으로 근본적인 실재로서 엄밀하고 궁극적인 의미에서 실체라는 그의 실체론 전체의 근간논제를 대변한다. 따라서 Z 13에서 그는 모든 보편자를 이런 엄밀하고 궁극적인 의미의 실체의 지위로부터 제외시키는데, 이것은 그러나 보편자에게 예컨대 Z 13에 선행하는 장들 같은 다른 곳에서 범주론적 실체관의 다른 한 견지에서 인정되는 무엇임이라는 의미의 실체의 지위까지 부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렇게 작용하는 그의 개별주의적 실체관은 그런데 Z 13의 논의의 귀결로서 개별적 실체의 정의 불가능성 문제에 직면한다. 그에 따르면 그러나 이것은 어떤 견지에서는 해결될 수 있다. Z 13에는 그 해결 방법이 설명되지 않으나, 다른 곳에 나타나는 그의 생각에 비추어 보면 개별적 실체는 자신의 종적 종체성에 따라 정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그의 개별주의적 실체관은 그 본래의 존재론적 기반 뿐만 아니라 인식론적 견지에서도 합당한 기반을 갖는 그의 실체론 전체의 근간논제로서 조망된다.
This paper examines Aristotles criticism of the understanding of the universal as substance and his own view of substance in the Metaphysics Z 13. This approach will be taken in contrast to the universalist interpretation of the form, i.e. the essence that is called the primary substance in the Aristotelian metaphysics. According to this interpretation, the form or essence of an individual substance, in his metaphysics, is a specific universal common to every individual substance of the same species. In the Aristotelian metaphysics, the form or essence of a substance is called substance
of and is a substance in the sense of the principle of the given substance. According to Metaphysics Z 13, however, the form or
essence of a given substance is that which is peculiar to this given substance. Therefore, that of an individual substance is an individual that is peculiar to this given substance, while every universal at the
level of species and genus cannot have this status of substance as the principle of the given substance. In Metaphysics Z 13, he also
deprives every universal of the status of a given substance, because, he suggests, only an individual as a this has this status. This individualist view of substance stands in accordance with his understanding of the primary substance in the Categories, forming
the basis of his entire theory of substance, according to which only an individual as a this is an absolutely fundamental reality and, therefore, is a substance in the strict and ultimate sense.
Accordingly, in Metaphysics Z 13 he deprives every universal of the status of substance in this strict and ultimate sense. However, this does not mean that the universal is also deprived of the status of substance in the sense of what-something-is. The universal has this status according to the other view within the categorical
understanding of substance and is the case, for example, in the preceding chapters of Metaphysics Z 13. At the end of Metaphysics
Z 13, Aristotles individualist view of substance meet with the difficulty of the indefinability of individual substance. However, according to him, this is soluble in a way. Although in Metaphysics Z 13 he gives no explanation about the way of solution, in the light of his thoughts on related issues expressed in other texts the
problem can be solved in the way that individual substance can be defined in terms of its specific identity. Therefore, his individualist view of substance is considered a basic thesis in his substance
theory that has a solid foundation in the ontological as well as the epistemological respect.
-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dc.subject보편자-
dc.subject실체-
dc.subject어떤 이것-
dc.subject무엇임-
dc.subject범주론적 실체관-
dc.subject개별주의적 실체관-
dc.subjectUniversal-
dc.subjectSubstance-
dc.subjectCategorical Understanding of Substance-
dc.subjectIndividualist View of Substance-
dc.title아리스토텔레스의 보편자 이해와 개별주의 실체관 -『형이상학』 Z 13을 중심으로--
dc.title.alternativeAristotles Understanding of the Universal and His Individualist View of Substance in the Metaphysics Z 13-
dc.typeSNU Journal-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Kwon, Hyeock-Seong-
dc.citation.journaltitle철학사상-
dc.citation.endpage99-
dc.citation.pages59-99-
dc.citation.startpage59-
dc.citation.volume39-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