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초월론적 자아의 유한성 -후설의 한계사건 분석을 중심으로- : The Finitude of Transcendental I: Husserls Analysis of Limit-Case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태희

Issue Date
2011
Publisher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Citation
철학사상, Vol.40, pp. 135-166
Keywords
후설초월론적 자아유한성상호주관성한계사건HusserlTranscendental IFinitudeIntersubjectivityLimit-Case
Abstract
후설의 초월론적 현상학에 대한 고전적 해석에서는 후설 자신의 언급들에 기초하여 초월론적 자아의 영원성이라는 사유를 발견한다. 후설 이후의 현상학자들은 이러한 해석에 기초하여 초월론적 현상학에 대해 비판을 가하면서 자신의 고유한 사유를 전개시켰다. 그러나 후설의 시간의식에 대한 발생적 분석들, 특히 한계사건들, 즉 (꿈 없는) 잠과 출생과 죽음에 대한 C 원고의 분석들을 살펴보면, 초월론적 자아의 유한성이라는 사유가 발견된다. 초월론적 자아의 한계사건들에 대한 분석에 따르면, 초월론적 자아는 한계사건들에 기초하여 자신의 유한성을 의식하는데 이는 단지 우연적이고 경험적인 사태가 아니라 초월론적 자아의 삶의 시간 구성에 있어 본질적이고 초월론적인 사태이기 때문이다. 나아가 한계사건들에 기초한 이러한 유한성의 의식은 상호주관적 세계 구성에 있어 본질적이다. 초월론적 자아는 한계사건들을 통해 자기 자신이 상호주관적 세계시간 속에서 태어났고 잠을 자고 죽을 운명을 지닌 존재임을 의식하는데, 이는 초월론적 자아의 개체적 유한성에 대한 의식일 뿐 아니라, 바로 상호주관적으로 구성되는 세계시간에 대한 의식인 것이다.
The eternity of the transcendental I is concluded by traditional interpretations of Husserls transcendental phenomenology. This
conclusion, based on references to Husserls own descriptions, has been a firm foundation for severe criticisms by post-Husserlian
phenomenologists developing their own thoughts about the finitude of subjectivity. Nevertheless, further investigations into Husserls genetic analyses of time-consciousness, especially analyses of limit-cases, i.e. sleep (without dreaming), birth, and death in C-manuscripts propose a new interpretation claiming that the finitude of the transcendental I is possible. According to these analyses of limit-cases, the transcendental I is conscious of his/her own finitude on the basis of these phenomena
being not merely accidental, but also transcendental for the constitution of the transcendental Is lifetime. Furthermore, this consciousness of finitude based on limit-cases is of substantial importance for the intersubjective constitution of an objective world.
Based on these phenomena, the transcendental I is conscious of himself/herself as having been born, periodically sleeping, and being
bound to die in the intersubjective world. This consciousness is not only of the individual finitude of the transcendental I himself/herself, but also of an eternal world-time constituted intersubjectively.
ISSN
1226-7007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7597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Humanities (인문대학)Philosophy (철학과)철학사상철학사상 40호 (2011)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