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법관과 법철학 : The Judge and Legal Philosophy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Authors
- Issue Date
- 2012-03
- Publisher
-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 Citation
- 법학, Vol.53 No.1, pp. 299-324
- Keywords
- 법추론 ; 법철학 ; 좋은 법관 ; 범주 확장 ; 유추 ; 메타포 ; legal reasoning ; legal philosophy ; good judge ; category extension ; analogy ; metaphor
- Description
- 이 글은 초고 상태에서 지난 2011년 7월 15일 사법연수원 주최 제1회 법철학 포럼
에서 발표했으며, 그 후 생각을 더 다듬고 진전시켜 논문으로 완성하였다.
- Abstract
- 법철학의 이론적 난제에 속하는 것들은 실천적으로 보면 모두 법관의 올바른 판단
과 결정 행위에 관여되어 있다. 법철학은 법의 기본개념들을 분석하고, 이 기본개념들
이 권위적 강제질서로서의 법제도에 어떻게 효과적으로 연결되는지 따지며, 더 나아
가 법적 당위의 정당화근거를 찾고자한다는 점에서 통합법학을 지향한다. 통합은
활동 속에서 이루어지며 사법적 활동은 바로 이런 의미의 통합적 활동이다.
판결의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한 법관의 추론과정은 필요충분조건을 갖춘 명제나 원
리적 일관성 요구 수준을 넘어, 좀더 넓혀진 인간합리성과 객관성에 비추어 이해될
필요가 있다. 일상 언어를 포함하여 경험으로부터 발전된 인지 모델 및 체화된 합리
성에 입각하면, 우리는 법적인 개념 구성이나 범주 설정에 대해 이른바 블랙박스 이
론이나 규칙합리주의에서와는 다른 방식으로 더 잘 설명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법
추론에서 핵심이 되는 모델케이스와 이와 연관된 다양한 확장 형태들의 관계를 방사
형((放射形, radial) 범주 개념을 통해 더 구체화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법추론의 역
동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현상들 사이에 기능적 유사성이나 내적 상관성을
찾는 유추의 역할을 더 주목해야 한다. 그밖에도 법관은 법사고에서 메타포의 역할과,
단어나 명제를 넘어 이것들을 상당수로 엮어 이루어지는 서사 즉 이야기(narrative)
구조에 대해서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 마지막으로, 법관의 올바른 추론은 일반 규칙
내지 원리의 중요성과 더불어 상황의 중요성을 아는 프로네시스(phronesis) 즉 실
천적 지혜의 영역이라는 점도 기억해야 한다.
Seen from the practical point of view, every difficult theoretical problem of legal
philosophy is concerned with the question, what judgments and decisions made by
judges are correct ones? A good answer to this question can be given by legal
philosophy as integrative jurisprudence. By integrative jurisprudence, I mean that
(i) it analyzes the basic concepts of law; (ii) it explores how these basic concepts
are associated with legal institutions as an authoritative coercive order; (iii) it legitimates
legal ought or norms of the society in one way or another. Given this, the
integration is possible only within judge's activities; in this sense, judicial activities
are integrative activities.
Under the rubric of integrative jurisprudence, judges process of reasoning for legitimating
their judgments should be deemed to be more than merely meeting the
requirements of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s or principled consistency. It rather
should be understood in terms of the extended human rationality and objectivity.
In this regard, special attention needs to be paid to the cognitive models and
embodied rationality that burgeon from human experiences including those of ordinary
language. This attention enables us to explain legal conceptualization or categorization
better than does the so-called Blackbox Theory or Rule-rationalism. This
explanation requires specifying a model case and its relationship with the extended
ones. This specification, central to legal reasoning, is basically made through the
concept of radial category. In addition, the role of analogy―the functional similarity
or internal correlations among complex phenomena―should be stressed in
elucidating the dynamicity of legal reasoning. Next, judges need to be concerned
with the role of metaphors in legal thinking and the narrative structure that consists in the combinations or sequences of words and propositions. Lastly, it should be
noted that judges correct reasoning lies in phronesis―i.e., the realm of practical
wisdom that recognizes the importance of contexts as well as that of the general
rules or principles.
- ISSN
- 1598-222X
- Language
- Korean
- Files in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Item View & Download Count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