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남성불임술의 임상적 고찰 : Clinical Evaluation of Male Sterilization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이희영 | - |
dc.date.accessioned | 2009-08-29T04:59:52Z | - |
dc.date.available | 2009-08-29T04:59:52Z | - |
dc.date.issued | 1982-06 | - |
dc.identifier.citation | Seoul J Med, Vol.23 No.2, pp. 143-164 | - |
dc.identifier.issn | 0582-6802 | - |
dc.identifier.uri | https://hdl.handle.net/10371/8018 | - |
dc.description.abstract | 정관절제술은 1950년 중반기부터 가족계획의 목적으로 세계적으로 널리 보급되기 시작하였다. 그 이유는 정관절제술이 안전하고, 확실하고, 유효하고, 간편하고, 염가이고, 복원적이고, 그리고 피임효과이외의 다른 영향이 없기 때문에 무해유익한 피임법으로 애용되게 된 것이다. 따라서 여기서는 정관절제술과 정관복원수술(혹은 정관정관문합술)을 성공적으로 시술하는데 관여하는 모든 요인들을 정리 평가함으로써 앞으로 이 피임법이 더욱 완벽하고 이상적으로 발전 성숙할 수 있도록 하려고 한다. 이 논문은 저자가 지난 1956년 이래 시술한 약 8,000예에 달하는 정관절제술과 1964년 이래 시술한 약 600예에 달하는 정관정관문합술의 치험결과를 토대로 하였으며, 정관절제술, 정관정관문합술, 가역성정관차단법등의 3부로 대별하여서 기술하기로 한다. | - |
dc.language.iso | ko | - |
dc.publisher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 - |
dc.title | 남성불임술의 임상적 고찰 | - |
dc.title.alternative | Clinical Evaluation of Male Sterilization | - |
dc.type | SNU Journal | - |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 | Lee, Hee Yong | - |
dc.citation.journaltitle | 서울 의대 잡지 | - |
dc.citation.journaltitle | 서울 의대 학술지 | - |
dc.citation.journaltitle | Seoul Journal of Medicine | - |
dc.citation.endpage | 164 | - |
dc.citation.number | 2 | - |
dc.citation.pages | 143-164 | - |
dc.citation.startpage | 143 | - |
dc.citation.volume | 23 | - |
- Appears in Collections:
- Files in This Item:
Item View & Download Count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