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S-Space
College of Engineering/Engineering Practice School (공과대학/대학원)
Dept. of Architecture and Architectural Engineering (건축학과)
Journal Papers (저널논문_건축학과)
축력과 면내 및 면외 휨모멘트를 받는 철근콘크리트 벽체 : RC Wall under Axial Force and Biaxial Bending Moments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박홍근 | - |
dc.date.accessioned | 2009-08-31 | - |
dc.date.available | 2009-08-31 | - |
dc.date.issued | 1998-08 | - |
dc.identifier.citation | 한국콘크리트학회지, 제10권 제4호, pp. 113-124 | en |
dc.identifier.issn | 1229-5515 | - |
dc.identifier.uri | http://www.kci.or.kr | - |
dc.identifier.uri | https://hdl.handle.net/10371/8104 | - |
dc.description.abstract | 축력과 면내 및 면외의 두방향 휨모멘트를 받는 철근콘크리트 벽체에 대한 비선형 해석연구를 수행하였으며 , 해석결과를 분석하여 벽체의 강도산정법을 유도하였다. 비선형 해석연구를 위하여 철근콘크리트 벽체에 대한 재료 및 기하학적 비선형 해석을 수행할 수 있는 유한요소 해석방법을 개발하였다. 철근콘크리트의 재료모델로서 소성이론과 파괴모델의 통합모델을 사용하였다. 철근콘크리트 벽체에 대한 해석결과를 토대로 단면의 응력분포를 이상화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새로운 강도산정법을 개발하였다. 이 방법에 따르면, 면외 휨모멘트에 의하여 단위길이의 벽체가 지지할 수 있는 축력이 결정되며, 이 허용 단위 축력에 따라서 총 축력과 면내 휨모멘트의 상호관계곡선이 결정된다. 면외 휨모멘트가 증가할수록 축력과 면내 휨모멘트의 상호관계곡선이 축소되며 이는 벽체 강도의 감소를 가리킨다. 이 새로운 방법을 , 휨변형후에도 단면이 평면으로 유지된다는 가정을 사용하는 기존의 강도산정법과 비교한다. 이 비교결과에 따르면 , 새로운 방법에 비하여 기존의 방법은 면외 휨모멘크가 작은 영역에서 벽체의 강도를 과소평가하며, 면외 휨모멘트가 큰 영역에서는 벽체의 강도를 과대평가한다. | en |
dc.language.iso | ko | en |
dc.publisher | 한국콘크리트학회 = Korean Concrete Institute | en |
dc.subject | biaxial bending | en |
dc.subject | finite element | en |
dc.subject | interaction curve | en |
dc.subject | plasticity | en |
dc.subject | reinforced concrete wall | en |
dc.title | 축력과 면내 및 면외 휨모멘트를 받는 철근콘크리트 벽체 | en |
dc.title.alternative | RC Wall under Axial Force and Biaxial Bending Moments | en |
dc.type | Article | en |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 | Park, Hong-gun | - |
- Appears in Collections:
- College of Engineering/Engineering Practice School (공과대학/대학원)Dept. of Architecture and Architectural Engineering (건축학과)Journal Papers (저널논문_건축학과)
- Files in This Item: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