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S-Space
Kyujanggak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규장각한국학연구원)
Korean Culture (한국문화)
Korean Culture (한국문화) vol.57-60(2012)
18세기 조선 음악지식 集成의 방식 : <東國文敵備考><樂考>를 중심으로 : A Compilation Method for Knowledge about 18th Century Joseon Music
- Authors
- Issue Date
- 2012-03
- Publisher
-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Citation
- 한국문화, Vol.57, pp. 127-151
- Keywords
- 18th Century Joseon Music ; Dongguk Munheon Bigo 東國文敵備考 ; Akgo 樂考 ; Yego 禮考 ; King Yeongjo ; Korean musicology ; 18세기 조선음악, ; 영조 ; 한국음악학 ; 악고 ; 예고
- Abstract
- 『東國文敵備考』는 우리나라의 典章, 禮樂, 文物, 制度전반을 정 려한 것으로 영
조의 명을 받아 1 770년(영조 46), 9개월이리는 단기간에 편찬이 이루어진 닫I除의
典籍이다. 象繹考5권, 與地考17권 , 禮考16권, 樂考13권, 兵考4권, 퓨.IJ考 7권,
田眼考4권, 戶口考 1권, 財用考4권, 市羅考2, 選瓚考9권, 學校考8권, 職官考
10권의 13考분야에 총 100권의 구성으로 되어 었다 1) 이는 영조가 국가적인 규모의 지식 집성을 생각하고 제도와 문물에 대한 국가 차원의 정비를 염두에 둔 결과
물이라 할 수 있다. 본고에서 살펴고자 할 「樂考」는 『동국문헌비고』 전체 100권
가운데 13권이라는, 결코 적지 않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데, 「여지고」 와 「예고」
에 이어 세 번째로 권수가 많다. 이는 『동국문헌비고』 가운데 「악고」가 「예고」와
함께 쌍을 이루논 것으로 그 중요도가 높다는 사실을 알려준다.
- ISSN
- 1226-8356
- Language
- Korean
- Files in This Item: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