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역할 이론을 활용한 아바타의 사례 연구 : Case study on application for avatar based on social role theoryCase study on application for avatar based on social role theoryCase study on application for avatar based on social role theory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종윤; 윤주현

Issue Date
2011-12
Publisher
한국디자인학회
Citation
시그포럼 Vol.1 No.s001-s012, pp. 174-191
Keywords
예술체육아바타역할 이론가상 공간Q 방법론
Abstract
네티즌들은 가상공간에서 자기 자신의 대리자아인 아바타를 통해 사회적 역할 모습들을 보여주고 있다. 본 논문은 자기 자신의 성 입장과 다른 성의 입장에서 보는 이상적인 아바타의 사회적 역할을 보고 그 역할 변화에 따른 의상, 헤어스타일, 액서세리 등의 차이점을 발견하고자 한다. 아바타에 대한 개인의 의견, 태도 등을 주관성을 탐구하는 과학적 절차로 요인 분석의 통계방법인 Q방법론을 적용하였다. 아바타 캐릭터나 배경 등을 통해 네티즌들이 자기 현실의 입장에서 추구하는 사회적 역할을 보여 주었다. 구체적으로 제1유형인 현실적 대체자아-현실적 대체자아, 귀속적 지위-귀속적 지위. 제2유형인 이상적 대체자아-이상적 대체자아, 성취된 지위-성취된 지위, 제3유형인 비현실적 대체자아-비현실적 대체자아, 성취된 지위-성취된 지위, 제4유형인 현실적 대체자아-이상적 대체자아, 귀속적 지위-성취된 지위의 유형을 보여주었다. 이 연구는 네티즌들이 가상공간에서 나타내는 아바타의 사회적 역할과 현실세계의 사회적 역할이 동일시되어 가고 있다는 점을 고찰하여 사회과학측면에서 가상공간의 아바타 역할 변화와 디자인 측면에서 아바타의 의상, 헤어스타일, 액서서리의 변화들을 사회적 역할의 변화에 맞추어 제작에 활용될 수 있다.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8319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