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S-Space
College of Humanities (인문대학)
Institute of Humanities (인문학연구원)
Journal of humanities (인문논총)
Journal of Humanities vol.69/70 (2013) (인문논총)
소설, 공간, 정치 - 모하메드 딥의 "알제리 3부작"의 공간 묘사 -- : Roman, Espace, Politique - Description de lespace dans la Trilogie dAlgerie de Mohammed Dib -
- Authors
- Issue Date
- 2013
- Publisher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Citation
- 인문논총, Vol.69, pp. 289-316
- Keywords
- 마그레브 프랑스어문학 ; 『커다란 집』 ; 『화재』 ; 『베틀』 ; 문학의 공간 묘사 ; Litterature maghrebine de l`expression francaise ; La Grande maison ; L`Incendie ; LeMetier a tisser ; description de l`espace dans la litterature
- Abstract
- 이 논문은 2010년도 정부(교육과학기술부)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NRF-2010-32A-A00160).
모하메드 딥이라는 이름과 그의 작품들은 우리에게 이제 그다지 낯설지 않다.1) 특히 커다란 집,2) 화재,3) 베틀4)로 이루어진 알제리 3부작(trilogie dAlgérie)은 한편으로는 마그레브 프랑스어 문학 일반에 대한, 다른 한편으로는 알제리 식민해방운동과 전쟁에 대한 우리 학계의 점증하는 관심과 인식의 접점에 놓여 있어 상대적으로 많은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한 예로 진인혜는 2011년 발표한 논문5)에서 식민주의에 대한 저항의식의 재현이라는 관점에서 이 세 소설의 특징적 면모들을 정리한 바 있다. 알제리 3부작의 참여 문학(littérature engagée)으로서의 성격을 강조하는 것은 물론 우리 학계에 국한된 일은 아니다. 3부작 이 가진 정치적 성격은 부인할 수 없는 이 작품의 특징이자 강점이며, 이 성격은 ꠓ커다란 집ꠗ이 발간된 직후부터 이 작품을 높이 평가하는 쪽에서나 비판하는 쪽에서나 가장 집중적으로 주목하고 논의한 부분이다.
그러나 여러 연구가들이 강조하듯이 3부작의 미학적 성취는 무엇보다도 정치 담론과 시적 탐구의 상호작용에 있다.6) 이 상호작용을 텍스트의 엄밀한 분석을 통해 파악해내는 작업은 따라서 3부작의 독서에서 가장 중요한 일이다.
Notre propos dans cette étude consiste à examiner quelques aspects de la description de lespace dans la Trilogie dAlgérie de Mohammed Dib : La Grande maison, LIncendie et Le Métier à tisser. Dabord, on constate labsence ou la minimisation de la description extérieure de lespace. Il est difficile de trouver dans ces trois textes dits réalistes des peintures minutieuses et exhaustives des figures spatiales, telles quon les voit, par exemple, au début du Rouge et le Noir. Pourtant labsence de la description ne veut pas dire linsuffisance des nformations. Bien au contraire, et cest notre deuxième constat, cette absence permet au narrateur de situer le récit et les personnages dans un contexte historique et politique beaucoup plus riche en significations. Enfin, les espaces, et par conséquent les ersonnages, sont saisis et exprimés dans leur ambiguïté fondamentale. Cette nouvelle façon de décrire lespace est le fruit dun effort intransigeant de lécrivain qui refuse, en cherchant sans cesse de nouvelles formes littéraires aptes à décrire le réel, de voir son écriture se dégénérer en un véhicule
de mensonges.
- ISSN
- 1598-3021
- Language
- Korean
- Files in This Item: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