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아프로쿠바니스모(afrocubanismo)의 의미와 한계: 룸바를 중심으로 : The Meaning and Limitation of Afrocubanismo: Rumba in the 1920s- 1940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은아

Issue Date
2013
Publisher
서울대학교 라틴아메리카연구소(SNUILAS)
Citation
Revista Iberoamericana, Vol.24 No.1, pp. 277-302
Keywords
쿠바성아프로쿠바니스모룸바알레호 까르뻰띠에르페르난도 오르띠스아프로 쿠바니스타민족음악학CubannessAfrocubanismoRumbaAlejo CarpentierFernando OrtizAfrocubanistaEthnomusicology
Abstract
아프로쿠바니스모는 20세기 초, 특히 1920년대부터 40년대 사이 쿠바의 예술계와 대중문화계 전반을 휩쓴 문화 현상이자 운동이며, 쿠바성(cubanness)을 이루는 시대적 담론이었다. 아프로쿠바니스모가 가장 활발한 영향력을 드러낸 영역은 아프로쿠바 음악으로, 그중에서도 특히 룸바 음악이라고 할 수 있다. 룸바는 단순한 음악 장르를 넘어서 아프리카성, 혹은 쿠바성과 연관된 예술적 기호로 사용되었다. 1장에서는 예술 전반에서 중요한 소재로 차용된 룸바 음악의 확산, 변형, 소재의 점유 방식을 살펴보고 아프로쿠바니스모의 의미와 한계를 논의한다. 2장에서는 룸바에 대한 국내외적 수용과 해석을 다룸으로써 엘리트 계급과 대중계층 사이의 모순적 경향을 확인해 본다. 3장에서는 알레호 까르뻰띠에르(Alejo Carpentier)가 저술한 음악사인 『쿠바의 음악 La Musica en Cuba』을 중심으로 30, 40년대 쿠바에서 룸바의 형태와 리듬을 도입한 고전음악을 살펴보고, 까르뻰띠에르의 해석을 통해 아프로쿠바 음악에 대한 그의 편파적 시각을 살펴본다. 4장에서는 아프로쿠바니스모의 철학적·이론적 토대를 제공한 페르난도 오르띠(Fernando Ortiz)의 시평, 특히 룸바를 소재로 삼은 아프로쿠바니스타 시들에 대한 해석을 살펴봄으로써 그가 지닌 인종과 문화에 대한 모순적 인식을 점검한다. 까르뻰띠에르와 오르띠스는 쿠바의 민족음악학의 토대를 마련함으로써 쿠바성을 주창하고 예술적 실천을 모색한 지식인이었지만 아프로쿠바니스모의 모순과 한계를 극복하지 못했다. 이는 당시 쿠바성 담론 자체가 지닌 한계와 모순에 대한 근거로 삼을 수 있다.
Afrocubanismo was a dominant cultural trend as well as artistic

movement of Cuba during the 1920s~1940s. It also occupied a central place in

nationalist discourse. Rumba, more so than any other Afro-Cuban popularmusic

genre, was reinterpreted as a national music practice as well as an artistic

embodiment of cubanness. This studymainly analyzes the scholarly contribution

to cuban ethnomusicology and the contradicting ways in which Alejo Carpetier

and Fernando Ortiz understood afrocubanismo, by delving into their ambivalent

perspectives on rumba. The first chapter examines howrumba, as a core signifier

of afrocubanismo, pervaded all genres of art in this period, both nationally and

internationally. The second chapter discusses the commercial adaptation and

reinterpretation of rumba in order to highlight the ambivalence that the elite and

middle class experienced toward cultural expressions that boreAfrican influences.

The third chapter focuses on Carpentiers LaMúsica en Cuba, his contribution to

Cuban contemporarymusicology and also his biased perspective on rumba. The

fourth chapter examines Ortizs criticism of afrocubanista poets, especially their

appropriation of rumba as thematic material and linguistic experiment based on

what was conceived as the mulato spirit. Carpentier and Ortiz reveal their

contradictory attitudes toward a racially and culturally based cubanness and a

deeply rooted belief in the inherent superiority of whites over afrocuban heritage.

The study argues that Carpentier andOrtiz failed to overcome their contradicting

disposition toward afrocubanismo. Nevertheless, they were successful in laying

out the foundational theories on cubanness, while producing pioneering work in

national musicology and personifying its textual embodiment.
ISSN
1598-7779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8392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